'사회적 암' 요실금, 겨울에 더 심해지는 이유

  • 등록 2024.12.19 09:04:40
크게보기

겨울엔 땀·호흡으로 빠져나가는 수분 감소로 증상 더 심해져
알코올·탄산음료·커피등 피하고 금연·적정체중 유지해야 예방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참을 수 없을 정도로 소변이 심하게 마렵거나 참지 못해 소변을 흘리기도 한다모임은커녕 지인들과의 짧은 만남도 두려워 항상 집에만 있게 된다는 의미에서 사회적 암으로도 불린다.

 

요실금은 특히 요즘 같은 겨울철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날씨가 추워지면 방광의 자극이 심해지고 땀과 호흡으로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줄어 요실금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요실금은 남녀노소 모두에서 올 수 있지만 중년 이후 여성신경질환자노인에서 많이 나타난다특히 성인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시작되는 45~50세 전후로 크게 높아져 보통 성인 여성의 35~40%는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실제 국내 성인 여성의 45%가 요실금을 경험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김정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요실금을 노화 현상 중 일부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상태로 봐야 한다며 치료방법으로 수술밖에 없다고 생각해 병원을 찾는 것 자체를 주저하는 경우가 많지만 수술이 꼭 필요한 환자는 일부에 불과하고수술 이외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존재하고오히려 수술로 교정할 수 없고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해야만 하는 종류의 요실금도 흔하다고 했다.

 

국내 중년여성 10명 중 4명 경험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요실금절박성 요실금일류성 요실금 등으로 구분한다복압성 요실금은 기침하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누웠다 일어날 때처럼 복압이 상승할 때 주로 소변이 새는 증상을 말한다절박성 요실금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소변이 심하게 마렵거나 참지 못해 소변이 새는 증상이 나타난다일류성 요실금은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해 잔뇨가 쌓이면서 소변이 넘치는 증상이다.

 

여성에서 흔한 복압성 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 근육이 약해져 생긴다임신과 출산폐경자궁질환(자궁적출등으로 요도의 닫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요도의 길이가 짧아 요실금이 더 잘 생긴다노화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임신과 출산은 3의 성장통이라고 불릴 만큼 질 이완괄약근외음부 근육의 약화를 불러일으킨다폐경 이후 여성호르몬(에스트로젠)의 결핍은 요도점막 위축을 유발하고 요도 폐쇄력 감소로 이어져 요실금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요실금이 종종 발생하는데커피나 탄산음료 등에 들어 있는 카페인이 이뇨작용을 촉진해 방광과 요도를 자극하기 때문이다꽉 끼는 속옷이나 스타킹레깅스 등을 입는 것도 방광에 무리를 줄 수 있다통상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면 모든 종류의 요실금이 더 잘 발생하고그 증상 또한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방광에 소변이 조금만 차도 속옷이 젖는 절박성 요실금은 요로감염이나 약물 복용중풍이나 치매 같은 뇌신경 질환이 원인이 돼 나타난다.

 

증상·정도 따라 치료법 달라… 수술 능사 아냐요실금이라고 모두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환자마다 증상과 정도가 다른 만큼 각기 다른 치료법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복압성 요실금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골반근육운동 등 물리치료를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설사 수술이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하고 흉터가 남지 않는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요도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슬링(sling) 수술을 하기도 하는데요도 밑에 테이프(mesh)를 걸어 주는 방식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해 치료한다정상적인 배뇨에 관한 교육과 함께 바이오피드백자기장 치료케겔운동 등을 하면 방광의 크기가 늘어나고 강화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항콜린제라는 약물로 불필요한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고 방광의 용적을 늘리거나 베타작용제 등으로 중추신경계를 조절해 증상을 줄일 수 있다약물이 효과가 없다면 방광 벽에 보톡스를 주사해 근육을 부분적으로 마비시키는 치료를 받는다.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같이 동반한 혼합성 요실금은 약물치료와 수술적인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수술적 치료 혹은 약물치료를 단독으로 먼저 시행해 볼 수도 있다.

 

김정준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요실금은 수술 부담 때문에 치료를 미루거나 통증을 참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일상적 불편감과 심리적 불안함이 큰 질환으로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것이 좋다며 최근에는 흉터 없는 요실금 수술이 가능해져 환자들의 걱정을 줄이고 있다고 했다.

 

요실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다알코올탄산음료커피홍차초콜릿 등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맵고 자극적인 음식도 피한다특히 출산 뒤에는 골반근육운동을 꾸준히 하고비만이라면 당장 살부터 빼는 것이 좋다기름기 있는 음식은 피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수영이나 유산소 운동 등 전신운동을 하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고 요실금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김정준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흡연은 기침을 유발하고 방광을 자극해 요실금이 심해질 수 있다며 규칙적인 배뇨 습관도 중요한데이를 위해 취침 1~2시간 전에는 수분 섭취나 식사음주 등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또 최근 나이와 성별을 막론하고 저녁 식사를 건너뛰거나 양을 줄일 경우 요실금뿐 아니라 다른 여러 건강 지표가 향상된다는 결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아침과 점심을 든든히 먹고 저녁 식사를 생략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고 강조했다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