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잦아지는 눈병... 안약 올바르게 사용하는 4가지

  • 등록 2025.07.19 07:49:07
크게보기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한 환경, 강한 자외선, 물놀이 등으로 인해 다양한 안질환이 늘어난다.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안질환과 안약의 성분을 알아보고, 안약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도 익혀두자.

여름철 빈발 안질환

유행성각결막염(눈병)

아데노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 주로 수영장, 워터파크 등에서 오염된 물이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한쪽 눈의 충혈, 눈곱, 눈꺼풀 부종, 눈물흘림, 이물감이 먼저 나타나고, 며칠 뒤 반대쪽 눈에도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심한 경우 결막에 위막이 생기거나 각막에 상처가 생겨 통증, 시력 저하, 눈부심이 동반될 수 있다.

급성출혈성결막염(아폴로눈병)

엔테로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물감, 충혈, 결막하출혈이 특징이며, 잠복기가 짧고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었다가 1~2주 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광각막염(자외선 각막염, 각막화상)

여름철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발생한다. 바닷가, 수영장 등의 물이나 모래 표면에 반사된 자외선이 눈에 직접 닿으면서 각막에 화상을 입힌다. 충혈, 눈물흘림, 통증,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각막혼탁, 시력 저하가 동반될 수 있다.

안구건조증

에어컨 사용 시간이 늘어 실내 습도가 낮아지고, 장시간 스마트폰·컴퓨터 사용으로 눈 깜박임이 줄어들면서 발생한다. 눈시림, 이물감, 뻑뻑함, 작열감, 피로감 등이 나타난다.

안약의 성분별 효과

  • 히알루론산 물과 결합해서 각막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상처를 치유해 수술 부위가 빨리 치유되도록 돕고 염증을 억제한다.
  •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눈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준다.
  • 포비돈요오드 주로 점액층에 작용해 점성을 유지하고 각막 상피세포를 보호한다.
  •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눈물을 보충해준다.
  • 라놀린, 카보머 점도가 높아 눈 표면에 오래 머물며 눈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준다. 점도가 높을수록 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지만 시야 흐림을 유발할 수 있어 끈적한 겔제나 연고는 대개 자기 전에 사용한다.

개봉한 안약은 한 달 내에 사용

냉장 보관해야 하는 일부 안약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안약은 1~30도의 실온에 보관하는 것을 권장하므로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된다. 안약 포장에 표기된 유통기한은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권장되는 기간이며, 개봉 후 한 달이 지난 약은 폐기해야 한다. 사용 시에도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엔 뚜껑을 꼭 닫아서 보관해야 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면 안 된다. 방부제가 들어 있지 않은 안약은 되도록 1회 사용 후 버리는 것이 좋다.

방부제 함유 여부 확인

안약은 방부제 함유 여부에 따라 사용 기한이 달라진다. 방부제가 함유되지 않은 안약은 작은 플라스틱 용기에 몇 번 정도만 쓸 양이 들어 있다. 다회용 안약에는 감염을 막기 위해 방부제가 들어 있으며, 벤잘코늄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항균 효과는 뛰어나지만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벤잘코늄이 포함된 안약은 하루 6회 이상, 장기간 사용은 피한다. 특히 눈 수술 후에는 각막회복 시간이 필요하므로 방부제가 없는 인공눈물 사용을 권장한다. 또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 방부제 성분이 든 인공눈물을 사용하면 방부제가 렌즈에 흡착되어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방부제가 없는 제품을 사용한다.

▲올바른 안약 사용법

① 손을 깨끗이 씻는다.
② 고개를 살짝 뒤로 젖히고 엄지와 검지로 아래 눈꺼풀을 잡아 당긴 후, 앞을 보며 고개를 돌려 흰자가 많이 보이도록 한다.
③ 코보다는 귀 쪽의 흰자위 공간이 크므로 이 부분에 약을 넣는다. 검은자위 위에 직접 약을 떨어뜨리지 말고 안약 통이 눈썹이나 피부 등에 닿지 않게 주의하며 한 방울만 넣는다.
④ 30초 이상 눈과 코 사이를 눌러준다. 끈적한 겔제나 안연고를 넣고 나면 1분 이상 눈을 감고 안약이 잘 퍼지도록 한다.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