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유소아 급성중이염 치료에 항생제 '범벅'

  • 등록 2013.11.18 12:04:16
크게보기

심평원, 항생제 적정성 2차 평가결과 항생제처방률 여전히 높고(86.1%),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 증가

급성중이염은 외래에서 항생제를 처방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임상진료지침에 따라 항생제 적정사용을 위해 관리하고 있는 상병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도에 대한이과학회,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대한이비인후과 학회를 중심으로 개발된 유소아중이염 진료지침을 권고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전국의 7,383개 요양기관(의원이 6,691기관으로 90.6%)의 ‘13년 1월~6월 심사분(약 300만건) 대상으로 2013년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적정성평가(항생제 처방률, 부신피질호르몬제처방률 등 5개 지표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아래 표 참조)를 공개하였다.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처방률은 86.1%로 전년대비 2.9%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급성비화농성중이염과 급성화농성중이염 구분 없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요양기관 규모별로는 상급종합병원 50.2%, 병원 85.8%, 의원 86.5%로 종별규모가 작을수록 항생제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생제 처방률이 가장 높은 연령구간은 6개월~2세미만으로 86.7%이고 가장 크게 감소한 연령구간은 7~15세미만으로 전년대비 4.0%감소한 84.2%였다.
 

의원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급성화농성중이염 항생제처방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충남지역이 90.2%로 가장 높았고, 제주지역은 화농성과 비화농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표시과목(의원)별로는 소아청소년과가 88.8%로 의원 전체 평균보다 높았고 전년대비 감소율은 내과(5.9%), 일반의(4.2%), 이비인후과(4.0%), 가정의학과(3.6%), 소아청소년과(2.3%)순으로 나타났다.

 

성분계열별 항생제 처방비율 평가결과, 2차 선택 약제로 권고되는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라네이트(Amoxicillin/ Clavulanate) 복합제를 가장 많이(52.2%) 처방하고, 세팔로스포린계열(Cephalosprin, 35.6%), 아목시실린(Amoxicillin, 21.3%)순으로 처방하였다.
 

2010년 진료지침에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을 1차 선택 항생제로 권고하고 있으나, 병원과 의원은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라네이트(Amoxicillin/Clavulanate)복합제, 종합병원급 이상은 세팔로스포린계열(Cephalosporin) 약제 처방비율이 높았다.
 

급성중이염에 원칙적으로 권고되지 않는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처방률은 8.5%로 전년 (8.0%)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스테로이드제 적정사용을 위한 노력 및 관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기관 규모별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 1.6%, 종합병원 6.6%, 병원 8.8%, 의원 8.6%로 병․의원의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다.

□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적정성 평가결과

종별 항생제 처방률

(단위: %)

구분

급성중이염

급성화농성중이염

급성비화농성중이염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전 체

88.67

86.10

-2.9

90.49

88.50

-2.2

85.32

80.71

-5.4

상급종합

49.94

50.19

0.5

59.82

61.29

2.5

45.39

42.96

-5.4

종합병원

77.09

73.87

-4.2

83.37

79.94

-4.1

69.26

63.82

-7.9

병 원

86.35

85.87

-0.6

88.15

88.29

0.2

79.48

77.51

-2.5

의 원

89.15

86.49

-3.0

90.84

88.74

-2.3

86.13

81.58

-5.3

.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을 대상으로 함

연령별 항생제 처방률

(단위: %)

구분

급성중이염

급성화농성중이염

급성비화농성중이염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전체

88.67

86.10

-2.9

90.49

88.50

-2.2

85.32

80.71

-5.4

6개월미만

83.57

81.26

-2.8

85.88

84.10

-2.1

76.41

70.27

-8.0

6개월~2세미만

88.72

86.71

-2.3

90.16

88.56

-1.8

85.07

81.02

-4.8

2~7세미만

89.22

86.45

-3.1

91.07

88.96

-2.3

86.09

81.23

-5.7

7~15세미만

87.70

84.22

-4.0

90.87

87.83

-3.4

84.64

80.13

-5.3

.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을 대상으로 함

의원 주요표시과목별 항생제 처방률

(단위: %)

구분

급성중이염

급성화농성중이염

급성비화농성중이염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의원 전체

89.15

86.49

-3.0

90.84

88.74

-2.3

86.13

81.58

-5.3

소아청소년과

90.91

88.79

-2.3

91.57

89.89

-1.8

87.75

82.43

-6.1

이비인후과

86.49

83.03

-4.0

88.69

86.04

-3.0

85.31

80.94

-5.1

일 반

88.90

85.21

-4.2

90.81

86.58

-4.7

86.04

82.75

-3.8

내 과

90.38

85.04

-5.9

90.98

85.57

-6.0

89.10

83.87

-5.9

가정의학과

89.10

85.89

-3.6

89.39

86.55

-3.2

88.50

84.55

-4.5

. 의원 다빈도(내원횟수) 표시과목대상

의원 지역별 항생제 처방률

(단위: %)

구분

급성중이염

급성화농성중이염

급성비화농성중이염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전 체

89.15

86.49

-3.0

90.84

88.74

-2.3

86.13

81.58

-5.3

서 울

87.33

84.19

-3.6

89.82

87.92

-2.1

83.05

75.50

-9.1

부 산

88.62

87.15

-1.7

91.66

90.51

-1.3

83.52

81.29

-2.7

인 천

90.04

88.20

-2.0

91.78

90.54

-1.4

86.90

82.74

-4.8

대 구

88.00

85.13

-3.3

89.48

87.79

-1.9

84.65

78.49

-7.3

광 주

90.70

88.72

-2.2

92.35

90.51

-2.0

87.21

83.95

-3.7

대 전

87.57

80.75

-7.8

88.43

80.57

-8.9

85.67

81.23

-5.2

울 산

90.27

88.67

-1.8

91.80

91.10

-0.8

86.38

83.29

-3.6

경 기

89.32

86.86

-2.8

90.78

88.77

-2.2

86.76

82.46

-5.0

강 원

88.80

86.61

-2.5

91.48

89.11

-2.6

86.31

83.83

-2.9

충 북

91.17

88.14

-3.3

92.10

89.21

-3.1

89.03

84.26

-5.4

충 남

90.98

90.18

-0.9

91.67

91.60

-0.1

89.44

86.97

-2.8

전 북

87.71

84.63

-3.5

88.92

86.22

-3.0

85.00

79.56

-6.4

전 남

90.22

87.27

-3.3

92.26

90.00

-2.5

88.74

85.18

-4.0

경 북

89.88

86.22

-4.1

91.40

87.73

-4.0

86.31

82.07

-4.9

경 남

89.62

87.70

-2.1

92.20

91.73

-0.5

85.18

79.71

-6.4

제 주

93.45

90.02

-3.7

93.92

90.14

-4.0

93.06

89.92

-3.4

세 종

-

76.01

-

 -

74.76

-

-

86.49

-

. 의원 다빈도(내원횟수) 표시과목대상

 

급성중이염 성분계열별 항생제 처방률

(단위: %)

구분

Amoxicilline

Amoxicilline/ Clavulanate

Cepha

Macrolide

전체

Cepha-3

‘13

증감률

‘13

증감률

‘13

증감률

‘13

증감률

‘13

증감률

전 체

21.33

10.2

52.23

0.8

35.57

2.5

27.83

7.0

9.04

-14.6

상급종합

12.76

26.5

37.73

-4.0

50.96

2.6

49.85

4.4

9.61

-10.0

종합병원

11.3

-4.2

39.35

6.4

52.13

0.9

49.93

0.6

7.51

-32.7

병 원

21.38

10.8

54.91

4.1

37.23

-3.2

33.5

1.9

5.73

-32.0

의 원

21.53

10.4

52.26

0.4

35.1

2.8

26.91

7.1

9.36

-12.7

.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을 대상으로 함

종별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

(단위: %)

구분

급성중이염

급성화농성중이염

급성비화농성중이염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12

‘13

증감률

전 체

8.04

8.53

6.1

7.69

8.15

6.0

8.69

9.37

7.8

상급종합

1.77

1.58

-10.7

0.97

1.01

4.1

2.13

1.95

-8.5

종합병원

5.45

6.55

20.2

5.91

6.84

15.7

4.89

6.09

24.5

병 원

8.03

8.79

9.5

7.37

8.50

15.3

10.54

9.76

-7.4

의 원

8.12

8.58

5.7

7.75

8.16

5.3

8.76

9.49

8.3

.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을 대상으로 함

 

요양기관 종별, 공개등급별 기관수

 

등급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 원

의 원

전체

전체

36

159

161

3,852

4,208

(100)

(100)

(100)

(100)

(100)

1등급

32

58

12

433

535

(88.89)

(36.48)

(7.45)

(11.24)

(12.71)

2등급

2

26

20

370

418

(5.56)

(16.35)

(12.42)

(9.61)

(9.93)

3등급

1

39

35

764

839

(2.78)

(24.53 )

(21.74)

(19.83)

(19.94)

4등급

1

32

80

1,511

1,624

(2.78)

(20.13)

(49.69)

(39.23)

(38.59)

5등급

-

4

14

774

792

-

(2.52)

(8.70)

(20.09)

(18.8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요양기관 업무포털(http://biz.hira.or.kr)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고, 홈페이지(www. hira.or.kr) (병원평가정보>유소아 중이염 항생제) 및 스마트폰용 ‘병원정보앱’과 ‘건강정보앱’을 통해 국민이 좀더 빠르고 편리하게 병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평가등급은 평가대상기간 중 진료건수 30건 이상인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급성중이염 항생제처방률 결과를 1등급에서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1등급은 535기관(12.7%)이고, 5등급은 792기관(18.8%)이다.
 

 ‘12년 평가등급 공개기관수 대비 1등급은 174기관 증가하였고, 5등급은 358기관이 감소하는 등 평가결과가 향상되었으나, 병․의원은 4,5등급에 해당하는 기관수 비율이 여전히 높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평가결과를 요양기관에 제공하여 자율적인 진료 행태 개선을 유도하는 한편, 관련 학회와 개원의사회 등에 진료지침의 홍보 및 회원 교육 등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붙임>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적정성 평가 개요 및 결과 

김영숙 기자 imph7777@daum.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