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이트 덫에서 벗어나야 산다.' '우리 회사는 쌍벌제 시행 이후 리베이트라는 단어 조차 사용하지 않는다'
최근 리베이트와 관련해 사석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막상 리베이트 없는 영업의 근거를 대라면 '말못해'가 정답이다.
물론 예전 처럼 대놓고 리베이트를 주거나 받는 사람이 없어, 의약품 시장 질서가 많이 정화되어지고 있는 것만은 부인 할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건일제약 사건 발표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리베이트조사가 검찰과 경찰등 사정당국이 총 동원돼 조사를 벌이면서 제약업계가 다시 '긴장모드'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11월 쌍벌제 시행 이후 리베이트 관행을 없앤 제약사가 실제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리베이트 쇠사슬'에서 완전 자유로운 제약사가 없는 만큼 이번 사정당국의 전격적인 조사는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번 조사는 검찰이 다국적 제약사인 한국오츠카를, 경찰이 국내 10대 제약사 2곳을 각각 전격 압수 수색한 것이어서 파장의 울림이 커지고 있다.
특히 식약청 중앙수단과 서울지검등 정부 합동조사단은 한국오츠카제약을 압수 수색하면서 얼마전 건일제약 관련 마케팅 회사를 압수하면서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쪽집계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판 승부를 벌이고 있는 한국오츠카제약의 입지가 더욱 어려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흘려나오고 있다.
한국으츠카제약은 몇해전 공정위가 리베이트 관련 과징금을 부과하자 이에 불복, 행정소송을 제기하는등 강하게 반말하면서 '일체의 불공정 거래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재판 과정에서 굽이지 않았다.
경찰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2군데 국내 제약사는 '그런 조사를 받은 사실이 없다'며 끝까지 발뺌하고 있다.
식약청도 참고 자료 확보 차원에서 입소문이 나돌고 있는 2군데 제약사에 사실확인을 비공식 적으로 요청 했지만, 속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군데 제약사에 대한 경찰의 조사는 정부 합동 조사단과는 다르게 전방위 압수 수색이 아닌 조사 정도에 그쳐 회사의 일부 직원만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식약청 위해사범중앙조사단과 서울중앙지검 정부합동의약품 리베이트 전담 수사단은 최근 한국오츠카제약의 서울 강남구 역삼동 본사와 부산·경북·전남·강원 등 지역사무소를 동시에 압수·수색한 바 있다.
이번 압수·수색의 대상은 의약품 판촉과 관련해 전산화된 거래영업장부·회계자료·시장조사데이터 등은 물론 한국오츠카제약 건물 내부의구조도 확인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