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지난해 우리 국민이 많이 소비하는 농산물(쌀 등 15품목) 232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283종) 성분을 조사한 결과, 총 230건(99.1%)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깻잎 1건 및 복숭아 1건 등 총 2건이 농약성분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됨에 따라 해당 농산물에 대해서는 즉시 회수 및 폐기조치를 요청(’13.5.14, 8.20.)하고 생산자 등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깻잎 1건에서는 살충제 용도로 사용되는 클로르피리포스 농약성분이 초과(0.39 mg/kg, 기준 0.01 mg/kg) 검출되었고, 복숭아 1건에서는 살균제 용도로 사용되는 피콕시스트로빈 농약성분이 초과(0.4 mg/kg, 기준 0.3 mg/kg)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230건은 기준에 적합하였다.
이번 조사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등에 소재한 농수산물도매시장 10곳과 지역별 대형마트 5곳에서 우리 국민이 많이 섭취하는 쌀, 사과, 배 등 15개 농산물을 대상으로 농약 283종에 대한 잔류실태를 파악하였다.
1. 2013년 검사결과 부적합 내용
식품 |
검출농약 |
잔류허용기준 (mg/kg) |
결과 (mg/kg) |
판정 |
비고 |
깻잎1) |
클로르피리포스 (chlorpyrifos)2) |
0.01 |
0.39 |
부적합 |
위해성 평가 결과 평생동안 매일 60 kg의 깻잎을 먹어도 안전함 |
복숭아2) |
피콕시스트로빈 (picoxystrobin)3) |
0.4 |
0.3 |
부적합 |
위해성 평가 결과 평생동안 매일 600 kg의 복숭아를 먹어도 안전함 |
1) 기존 농약 살포 후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지 않고 농약살포
2)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 살충제
3) 인근 감농장의 농약살포로 오염됨
4)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 살균제
- 2. 2013년 검사 대상 농산물
분류 |
농산물명 |
수거건수 |
일일섭취량(g/day) |
곡류 |
쌀 |
16 |
236.6 |
감자류 |
감자 |
15 |
23.6 |
콩류 |
콩 |
15 |
39.8 |
과일류 |
사과 |
16 |
21.1 |
배 |
15 |
15.4 | |
오렌지 |
15 |
9.3 | |
복숭아 |
15 |
3.8 | |
딸기 |
19 |
3.8 | |
바나나 |
15 |
2.8 | |
채소류 |
무 |
15 |
49.0 |
수박 |
15 |
30.6 | |
호박 |
15 |
12.7 | |
오이 |
15 |
9.8 | |
토마토 |
16 |
11.7 | |
깻잎 |
15 |
2.2 | |
합계 |
232 |
472.2 |
* 상기 일일섭취량의 합은 전체 농산물 섭취량(726 g/day) 대비 65%를 차지하는 수준임
<첨부> 3. 2013년 수거 대상매장
연번 |
매장명 |
1 |
서울가락농수산물도매시장 |
2 |
서울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
3 |
부산엄궁농수산물도매시장 |
4 |
부산반여농수산물도매시장 |
5 |
대구북부농수산물도매시장 |
6 |
인천삼산농수산물도매시장 |
7 |
광주각화농수산물도매시장 |
8 |
대전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 |
9 |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 |
10 |
수원농수산물도매시장 |
11~15 |
지역별 대형 유통마트 5곳 |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내 유통 식품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하여 안전한 농산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총 44품목의 농산물(935건)을 수거하여 농약 잔류여부를 검사한 결과 931건(99.6%)이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된 농약성분의 위해수준을 평가한 결과, 모두 일일섭취허용량(ADI) 대비 1%이하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