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강박장애' 환자 급증.. 2명 중 1명 차지

  • 등록 2014.03.02 14:18:23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결과, 지난해 강박장애 환자 진료인원 총 23,846명 중 45.2%는 20~30대가 차지,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으로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강박장애(F42,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 1천명에서 2013년 약 2만 4천명으로 5년간 약 3천명(13.1%)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3.1%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약 88억원에서 2013년 112억원으로 5년간 약 23억원(26.6%)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6.1%로 나타났다.

표1. <강박장애(F42)> 성별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현황(2009년~2013년)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진료인원

()

21,082

21,823

22,197

24,181

23,846

12,163

12,641

12,924

14,061

13,817

8,919

9,182

9,273

10,120

10,029

총진료비

(천원)

8,812,255

9,703,254

10,435,924

10,783,238

11,157,343

5,517,313

6,139,363

6,665,468

6,739,033

7,000,437

3,294,943

3,563,891

3,770,456

4,044,205

4,156,906

 최근 5년간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57.7%~58.2%, 여성은 41.8%~42.3%였다. 5년간 평균 성비(여성대비 남성)는 약 1.4 정도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강박장애(F42)>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변화율(2009년~2013년)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성비(남성대비여성)

1.36

1.38

1.39

1.39

1.38

-

점유율

57.7%

57.9%

58.2%

58.1%

57.9%

-

42.3%

42.1%

41.8%

41.9%

42.1%

-

전년대비 증가율

-

3.5%

1.7%

8.9%

-1.4%

3.1%

-

3.9%

2.2%

8.8%

-1.7%

3.2%

-

2.9%

1.0%

9.1%

-0.9%

3.0%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20대가 24.0%로 가장 높았고, 30대 21.2%, 40대 16.3% 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45.2%를 차지해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 연령구간 비율은 30대를 기준으로, 30대 이전 연령층(10~20대)에서는 남성환자가, 30대 이후 연령층(40~70세 이상)에서는 여성환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 <강박장애(F42)>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9년~2013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09

2010

2011

2012

2013

2009

2010

2011

2012

2013

0~

9

235

246

224

286

269

1.1%

1.1%

1.0%

1.2%

1.1%

120

138

110

169

144

1.0%

1.1%

0.9%

1.2%

1.0%

115

108

114

117

125

1.3%

1.2%

1.2%

1.2%

1.2%

10~19

3,462

3,481

3,435

3,710

3,410

16.4%

16.0%

15.5%

15.3%

14.3%

2,356

2,381

2,299

2,473

2,226

19.4%

18.8%

17.8%

17.6%

16.1%

1,106

1,100

1,136

1,237

1,184

12.4%

12.0%

12.3%

12.2%

11.8%

20~ 29

5,164

5,384

5,424

5,886

5,731

24.5%

24.7%

24.4%

24.3%

24.0%

3,277

3,378

3,490

3,843

3,722

26.9%

26.7%

27.0%

27.3%

26.9%

1,887

2,006

1,934

2,043

2,009

21.2%

21.8%

20.9%

20.2%

20.0%

30~ 39

4,401

4,524

4,639

5,033

5,053

20.9%

20.7%

20.9%

20.8%

21.2%

2,411

2,464

2,590

2,820

2,885

19.8%

19.5%

20.0%

20.1%

20.9%

1,990

2,060

2,049

2,213

2,168

22.3%

22.4%

22.1%

21.9%

21.6%

40~ 49

3,277

3,449

3,519

3,796

3,885

15.5%

15.8%

15.9%

15.7%

16.3%

1,746

1,874

1,905

2,022

2,084

14.4%

14.8%

14.7%

14.4%

15.1%

1,531

1,575

1,614

1,774

1,801

17.2%

17.2%

17.4%

17.5%

18.0%

50~ 59

2,151

2,348

2,442

2,781

2,713

10.2%

10.8%

11.0%

11.5%

11.4%

1,089

1,188

1,236

1,372

1,356

9.0%

9.4%

9.6%

9.8%

9.8%

1,062

1,160

1,206

1,409

1,357

11.9%

12.6%

13.0%

13.9%

13.5%

60~ 69

1,401

1,358

1,442

1,525

1,550

6.6%

6.2%

6.5%

6.3%

6.5%

724

735

771

784

790

6.0%

5.8%

6.0%

5.6%

5.7%

677

623

671

741

760

7.6%

6.8%

7.2%

7.3%

7.6%

70세 이상

991

1,033

1,072

1,164

1,235

4.7%

4.7%

4.8%

4.8%

5.2%

440

483

523

578

610

3.6%

3.8%

4.0%

4.1%

4.4%

551

550

549

586

625

6.2%

6.0%

5.9%

5.8%

6.2%

‘강박장애’ 증상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사고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며 불안해하는 강박성 사고와 손 씻기, 청소하기, 헤아리기, 검토하기 등 특정행동을 여러번 반복하는 강박행위로 나눌 수 있다.


세부 상병별로 보면 강박장애 전체 환자 3명 중 1명(31.6%)이 강박성 사고에  해당하는 ‘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F42.0)’이며, 강박행위에 해당하는 ‘현저한 강박행위(F42.1)’는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F42.2)'는 전체 환자  5명 중 1명(19.2%)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4. <강박장애(F42)> 세부 상병별 진료인원(2009년~2013년) (단위:명)

상 병

2009

2010

2011

2012

2013

F42

강박장애

411

261

130

43

15

F42.0

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

7,763

7,505

7,760

8,189

8,118

F42.1

현저한 강박행위

1,688

1,683

1,543

1,675

1,481

F42.2

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

3,872

4,542

4,899

5,335

4,926

F42.8

기타 강박장애

2,354

2,491

2,342

2,636

2,749

F42.9

상세불명의 강박장애

6,748

7,258

7,518

8,189

8,377

 ‘강박장애’의 원인으로는 생물학적 원인(유전적요인, 뇌의 기능 이상)과 심리적 원인이 있으며, 특히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30대의 젊은층 환자들이 많은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임신 및 출산 등의 스트레스가 주된 심리적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강박장애’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약물치료법이 널리 활용되는 편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사용하거나 병행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