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의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억제제(SGLT-2 inhibitor) 계열의 포시가(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가 메트포르민(metformin) 단독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이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년간 메트포르민을 병용 투여했을 때, 설포닐우레아(SU) 계열인 글리피지드(glipizide)보다 혈당 강하 효과 및 지속성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제50회 유럽당뇨병학회 연례학술대회(EASD)에서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메트포르민 단독 요법으로 충분한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 814명을 대상으로 52주 동안 포시가(≤10mg/d)과 글리피지드(≤20mg/d)를 각각 병용 투여 했을 때, 당화혈색소(HbA1c)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난 바 있는 기존 임상 결과에서 나아가 4년(208주) 간의 혈당 강하 효과와 지속성을 비교했다.
연구팀은 18주부터 208주까지 실패계수(coefficient of failure, CoF; 회귀선의 기울기 대 시간)를 산출하여 당화혈색소 및 공복혈당을 평가했으며,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 포시가와 글리피지드의 용량을 감량했다. 총 3개 군(전체 참여군, 208주 투여 완료군, 용량 감량 없이 208주 투여 완료군)의 혈당 조절에 대한 실패계수를 평가했으며, 추가 약물 투여가 필요한 환자는 제외했다.
연구 결과, 52주차 연구 시 포시가 및 메트포르민의 병용과 글리피지드 및 메트포르민 병용의 혈당 강하 효과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이를 4년으로 연장해 추적 관찰한 결과에서는 포시가와 메트포르민을 병용했을 때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잘 지속됐다. 포시가의 혈당 조절 실패계수는 모든 환자 군에서 글리피지드 대비 유의하게 낮았으며, 전체 환자에서 당화혈색소에 대한 실패계수를 분석한 결과, 포시가 투여군은 연간 0.2%(95% CI, 0.1-0.3), 글리피지드 투여군은 연간 0.6%(95% CI, 0.5-0.7) 각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