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보건소는?... 금연클리닉 등록으로 '북새통'

  • 등록 2015.01.21 08:33:43
크게보기

올들어 16일만에 10만명 돌파,2014년 10만명 돌파시점인 3월28일에 비해 2달 이상 빨라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가 지자체 보건소 금연클리닉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5년 1월 16일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가 1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클리닉 등록자는 1월2일 하루 등록자로는 사상최대인 17,241명이 등록한 것을 필두로 1월5일 15,129명, 1월6일 11,592명이 등록하였고, 현 시점에도 작년의 4배 수준인 6천명대 등록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14년 1월16일) 등록자 수인 27,209명에 비하면 287.1%가 증가한 수치이고, ’14년 3월28일에 등록자 10만명을 달성한 것을 감안할 때 올해 10만명 돌파시점이 전년보다 2달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등록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북(426.9%)이며, 경남(422.0%), 세종(395.1%), 대전(387.0%), 제주(378.8%)의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서울(162.5%), 경기(244.6%), 인천(274.1%), 강원(275.5%)의 증가율은 전국 평균 증가율(285.4%) 보다 낮았음

시군구별로는 경남 고성군(5187.5%), 전남 신안군(2625.0%), 전남 담양군(2200.0%), 경북 울릉군(1500.0%), 경남 거창군(1500.0%) 등이 증가율이 높았으며,  서울 관악구(19.8%), 서울 강북구(50.2%), 서울 종로구(62.5%), 서울 영등포구(80.1%), 경기 과천시(85.5%) 등이 낮았다.

-시‧도별 금연클리닉 등록자 현황 (명)

순위

시 도

2014

(116)

2015

(116)

증감

증감율

1

경상북도

1,407

7,413

6,006

426.9%

2

경상남도

1,533

8,002

6,469

422.0%

3

세종특별자치시

61

302

241

395.1%

4

대전광역시

594

2,893

2,299

387.0%

5

제주특별자치도

273

1,307

1,034

378.8%

6

전라북도

941

4,503

3,562

378.5%

7

대구광역시

1,295

6,163

4,868

375.9%

8

울산광역시

522

2,478

1,956

374.7%

9

전라남도

1,020

4,791

3,771

369.7%

10

충청남도

1,200

5,528

4,328

360.7%

11

부산광역시

1,571

6,943

5,372

341.9%

12

광주광역시

629

2,754

2,125

337.8%

13

충청북도

834

3,374

2,540

304.6%

14

강원도

1,333

5,006

3,673

275.5%

15

인천광역시

1,591

5,952

4,361

274.1%

16

경기도

6,525

22,488

15,963

244.6%

17

서울특별시

5,880

15,435

9,555

162.5%

총합계

27,209

105,332

78,123

287.1%

복지부는 이 같은 금연열풍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2월부터 전국 병의원 이용시 금연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상담료, 약값 등)을 지원하고 상반기내 고도흡연자를 위한 단기금연캠프도 개설할 예정이다.

또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신 분들이 최대한 금연에 성공하실 수 있도록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시·공간적 제약, 사회적 편견 등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이용하기 어려운 군인·대학생·여성 흡연자 대상으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