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인당 진료비 108만 사용..노령층 큰폭 증가

  • 등록 2015.02.24 12:07:21
크게보기

심사평가원, 2014년 진료비 심사 총 62조원, 전년 대비 9.1% 증가 70세 이상 진료비는 1인당 362만원사용 총 14조 5,824억원(26.7%)으로 전년 대비 11.4%로 껑충

심사평가원의 2014년 심사실적은 총 진료비가 61.9조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율을 보였다.

보험자별 진료비 심사금액은 건강보험 54.5조원(7.5% 증가), 의료급여 5.6조원(6.3% 증가), 보훈 0.3조원(4.8% 감소), 자동차 진료비 1.4조원(268.0% 증가)을 나타냈으며,수가유형별 구성비는 행위별수가 93.1%(58조원), 정액수가 6.9%(3조 904억원)로, 행위별수가 58조원의 4대 분류 구성을 살펴보면 기본진료료 15.7조원(27.1%), 진료행위료 25.7조원(44.3%), 약품비 14.2조원(24.5%), 치료재료대 2.4조원(4.1%)에 이르렀다.

이같은 사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요양기관 종별 및 진료행태별 진료비 실적, 다빈도 상병 등 건강보험 주요 지표를 수록한 '2014년도 진료비통계지표' 자료에서 나타났다..


 

<1보험자별 진료비 심사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2013

2014

증감(증감율)

합 계

567,687

619,093

51,416(9.06)

건강보험

507,426

545,275

37,849(7.46)

의료급여

53,041

56,402

3,360(6.34)

보 훈

3,342

3,183

-159(-4.76)

자동차보험

3,868

14,234

10,366(268.02)

’13년 자동차보험 진료비는 6개월 심사 실적(‘137월부터 수탁)

2014년도 건강보험 진료비는 54조 5,275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진료비는 108만원(6.8% 증가),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20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진료비는 42조 270억원으로, 입원은 7.5% 증가한 19조 576억원(45.3%), 외래는 8.6% 증가한 22조 9,694억원(54.7%)이며, 외래진료비 증가율이 입원보다 1.1%p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입원 2.6일, 외래 17.1일로 2013년에 비해 입원일수는 0.1일, 외래는 0.3일 증가하였다.

약국 진료비는 12조 5,005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약국 방문일수는 9.7일로 나타났다.

병원 8조 9,410억원, 상급종합병원 8조 5,649억원 순이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치과의원 25.4%, 치과병원 20.9%, 요양병원 18.4%, 병원 9.0% 순이다. 

의원 진료비는 전년도 대비 6.0%, 약국 진료비는 5.3% 증가하였고, 의원 방문일수는 5.3억일로 0.7%(입원 7.8% 감소, 외래 0.9% 증가), 약국 방문일수는 1.4% 증가하였다.

건강보험 적용 대상자 1인당 진료비는 108만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으며, 진료비는 남성의 경우 25조 880억원(46%), 여성의 경우 29조 4,395억원(54%)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4조 3,515억원(8%p)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2조 8,241억원으로 전년 대비 6.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30대는 남성이 2조 333억원, 여성이 2조 7,025억원으로 1인당 진료비가 남성은 50만원, 여성은 70만원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 진료비는 14조 5,824억원(26.7%)이며, 전년 대비 11.4%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1인당 진료비는 362만원(전체 평균의 3.3배)으로 6.7%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도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601만명이고, 진료비는 19조 3,551억원이며, 전년 대비 증가액은 1조 8,268억원, 증가율은 10.4%인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구성비는 11.9%이며, 진료비 구성비는 35.5%로 전년대비 각각 0.4%p와 1.0%p 증가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은 노년성 백내장(192,252명), 상세 불명의 병원체의 폐렴(86,251명), 뇌경색증(85,101명) 등의 상병으로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가 많으며, 고혈압(2,335,586명), 치은염 및 치주질환(1,786,319명), 급성기관지염(1,649,573명) 등의 순으로 외래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노인 환자의 진료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상병은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로 연간 8,078억원(25% 증가)이며, 환자 1인당 진료비는 1,167만원으로 나타났다.

외래 노인 환자의 진료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연간 1,223억원(30.1% 증가)이며, 환자 1인당 진료비는 7만원으로 나타났다.



구분

순위

상 병 명

진료인원

 

()

내원일수

 

()

요양급여

비 용

(백만원)

급여비

 

(백만원)

1인당

진료비

()

증감율

(%)

 

 

 

1

기타 추간판 장애

279,327

2,556,474

255,927

194,924

916,229

0.5

2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66,450

2,623,430

398,766

319,664

1,496,587

8.6

3

노년성 백내장

251,052

381,174

299,421

240,070

1,192,666

11.9

4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222,367

1,122,366

141,415

110,369

635,953

4.8

5

치핵

194,596

585,538

173,757

140,972

892,913

-3.9

6

뇌경색증

120,690

6,223,749

713,192

540,576

5,909,291

8.6

7

급성 충수염

110,305

481,387

209,844

167,841

1,902,400

3.5

8

기타 척추병증

109,722

1,448,228

185,153

141,709

1,687,472

5.8

9

어깨 병변

96,829

885,392

152,262

118,842

1,572,482

11.6

10

무릎관절증

96,311

2,199,359

432,489

337,883

4,490,547

2.1

 

 

 

1

급성 기관지염

15,083,588

51,828,486

696,207

514,121

46,157

11.2

2

치은염 및 치주질환

12,896,270

25,684,661

906,550

630,599

70,296

36.7

3

급성 편도염

6,924,705

14,591,338

206,960

149,738

29,887

2.8

4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

6,562,113

13,764,691

195,617

140,393

29,810

8.1

5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6,298,202

14,794,962

214,095

153,243

33,993

11.8

6

치아우식

5,445,972

9,078,770

292,566

207,146

53,722

11.7

7

위염 및 십이지장염

5,358,539

10,124,753

196,379

132,657

36,648

-0.6

8

본태성(일차성)고혈압

5,271,127

40,829,967

639,592

476,730

121,339

4.9

9

급성 인두염

5,107,139

10,746,712

150,544

109,218

29,477

6.7

10

급성 비인두염[감기]

4,914,706

10,615,020

133,814

99,724

27,227

6.0



수가유형별 진료비는 행위별 수가가 93.12% 정액 수가(요양병원 정액, 포괄수가)가 6.88%로 나타났다 

수가유형별 진료비는 행위별 수가가 50조 7,740억원, 정액 수가가 3조 7,535억원이다.정액 수가 구성비는 요양병원 정액이 2조 3,843억원(63.52%), 포괄수가가 1조 3,692억원(36.48%)으로 나타났다.

행위별 수가 청구건을 4대 분류별로 구분한 진료비는 기본진료료 14조 3,199억원(28.20%), 진료행위료 20조 8,169억원(41.00%), 약품비 13조 4,491억원(26.49%), 재료대 2조 1,881억원(4.31%)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4대 분류별 구성비는 기본진료료 37.41%, 진료행위료 45.89%, 약품비 10.98%, 재료대 5.72%으로 나타났다.

약국의 진료비 구성비는 행위료(약국관리료, 복약지도료 등) 26.01%, 약품비 73.99%로 나타났다.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기준, 입원 다발생 상병은 기타 추간판 장애 28만명,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7만명 순이며, 외래 다발생 상병은 급성 기관지염 1,508만명, 치은염 및 치주질환 1,290만명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상병 10개 중 전년 대비 총 진료비 증가율이 높은 입원 상병은 노년성 백내장으로 11.9%가 증가하였으며, 외래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36.7%가 증가하였다.

진료비가 가장 높은 입원 상병은 뇌경색증(7,132억원)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가 591만원이며, 외래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9,066억원)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가 7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암상병으로 발생한 진료비는 4조 2,777억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율을 보였다.입원 진료비는 총 2조 7,413억원(3.1%) 증가하였으며,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폐암으로 3,174억원, 간암 3,069억원, 위암 2,68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외래 진료비는 총 1조 5,364억원(9.2%) 증가하였으며,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유방암으로 3,002억원, 갑상선암 1,458억원, 폐암 1,35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6노인(65세 이상) 다빈도 상병

(단위 : 억원, %)

순위

 

상 병 명

진료인원

 

()

내원일수

 

()

요양급여

비 용

(백만원)

1인당진료비

 

()

증감율

 

(%)

 

 

 

1

노년성 백내장

192,252

294,399

231,310

1,203,160

11.8

2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86,251

1,300,052

229,522

2,661,094

9.0

3

뇌경색증

85,101

5,146,047

559,342

6,572,684

9.1

4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69,199

11,658,410

807,849

11,674,287

25.0

5

기타 척추병증

53,313

884,687

114,435

2,146,475

6.9

6

무릎관절증

51,705

1,370,914

310,844

6,011,875

3.0

7

요추 및 골반의 골절

51,019

953,556

90,461

1,773,085

8.5

8

늑골, 흉골 및 흉추의 골절

47,201

767,414

73,457

1,556,259

4.9

9

협심증

45,394

305,242

154,773

3,409,548

6.7

10

대퇴골의 골절

40,043

1,638,292

220,067

5,495,767

6.3

 

 

 

1

본태성(일차성)고혈압

2,335,586

18,872,141

306,136

131,075

6.9

2

치은염 및 치주질환

1,786,319

4,293,806

122,257

68,441

30.1

3

급성 기관지염

1,649,573

4,890,734

65,307

39,590

15.3

4

등통증

1,374,186

10,832,123

203,882

148,366

8.5

5

무릎관절증

1,300,904

10,600,783

253,855

195,137

10.4

6

위염 및 십이지장염

1,057,285

2,750,958

46,384

43,871

2.7

7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883,238

6,758,863

138,123

156,383

10.8

8

기타 척추병증

813,854

6,265,444

162,339

199,469

16.0

9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794,862

2,226,440

28,875

36,327

8.9

10

-식도역류병

775,058

2,268,718

43,468

56,084

7.8

) 1. 다빈도 순위는 각 상병별 진료인원 기준

2. 증감율은 전년 대비 진료비임

    


구분

순위

상 병 명

2010

2011

2012

 

2013

2014

증감율

(%)

총합계

3,436,581

3,627,627

3,846,760

 

4,065,815

4,277,705

5.21

 

 

 

입원진료비 합계

2,385,154

2,446,333

2,526,177

 

2,658,232

2,741,299

3.12

1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286,004

289,654

289,252

 

307,305

317,391

3.28

2

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 신생물

271,645

276,897

291,467

 

313,164

306,859

-2.01

3

위의 악성 신생물

288,030

280,295

274,378

 

274,028

268,705

-1.94

4

결장의 악성 신생물

191,407

196,051

194,900

 

193,182

199,862

3.46

5

유방의 악성 신생물

147,793

162,333

172,439

 

184,613

188,273

1.98

6

직장의 악성 신생물

116,726

113,620

116,846

 

110,015

112,093

1.89

7

골수성 백혈병

95,557

91,628

87,571

 

96,489

112,089

16.17

8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93,700

103,576

117,271

 

117,338

96,826

-17.48

9

췌장의 악성 신생물

61,196

65,406

69,938

 

76,566

80,951

5.73

10

비소포성 림프종

53,914

51,533

56,789

 

66,663

71,837

7.76

 

 

 

외래진료비 합계

1,051,427

1,181,294

1,320,583

 

1,407,582

1,536,406

9.15

1

유방의 악성 신생물

182,838

221,652

253,302

 

270,066

300,222

11.17

2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76,682

90,084

110,155

 

126,460

145,807

15.30

3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110,449

116,460

122,029

 

131,046

135,855

3.67

4

위의 악성 신생물

101,171

108,355

113,598

 

120,243

127,659

6.17

5

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 신생물

84,256

87,791

95,838

 

101,147

106,392

5.19

6

결장의 악성 신생물

64,663

72,949

73,751

 

72,595

79,769

9.88

7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

44,379

54,369

67,658

 

71,275

76,433

7.24

8

직장의 악성 신생물

57,226

62,432

63,458

 

63,574

67,578

6.30

9

다발성 골수종 및 악성 형질세포신생물

17,847

21,286

25,715

 

30,172

38,701

28.27

10

자궁경부의 악성 신생물

26,905

27,457

29,316

 

30,375

30,946

1.88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