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한해 11조 1,366억원

  • 등록 2015.10.27 15:54:33
크게보기

국립재활원 2011년 기준 분석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1.5배 높고,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총비용의 89.6%가 발생

국립재활원(원장 이성재) 재활연구소는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고「장애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및 재활의료서비스의 비용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직접비(의료비, 교통비, 간병비)와 간접비(상병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비용,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비용)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2008~2011년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유형, 발생항목, 성,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표 1> 2008~2011년 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단위 조원 %)

순위

2008

2009

2010

2011

유형

비용

(%)

유형

비용

(%)

유형

비용

(%)

유형

비용

(%)

1

지체

3.505

(43.2)

지체

4.083

(43.6)

지체

4.366

(41.9)

지체

4.425

(39.7)

2

뇌병변

2.125

(26.2)

뇌병변

2.477

(26.4)

뇌병변

2.930

(28.1)

뇌병변

3.275

(29.4)

3

신장

1.014

(12.5)

신장

1.176

(12.5)

신장

1.381

(13.2)

신장

1.616

(14.5)

4

정신

0.374

( 4.6)

정신

0.491

( 5.2)

정신

0.556

( 5.3)

정신

0.603

( 5.4)

5

시각

0.347

( 4.3)

시각

0.350

( 3.7)

시각

0.352

( 3.4)

시각

0.357

( 3.2)

6

0.185

( 2.3)

청각

0.192

( 2.1)

청각

0.195

( 1.9)

청각

0.211

( 1.9)

7

청각

0.181

( 2.2)

0.179

( 1.9)

0.187

( 1.8)

0.175

( 1.6)

8

지적

0.094

( 1.2)

지적

0.110

( 1.2)

지적

0.122

( 1.2)

지적

0.137

( 1.2)

9

호흡기

0.084

( 1.0)

장루요루

0.084

( 0.9)

장루요루

0.095

( 0.9)

장루요루

0.100

( 0.9)

10

장루요루

0.073

( 0.9)

호흡기

0.083

( 0.9)

언어

0.089

( 0.9)

호흡기

0.083

( 0.7)

11

언어

0.064

( 0.8)

언어

0.073

( 0.8)

호흡기

0.086

( 0.8)

언어

0.082

( 0.7)

12

심장

0.046

( 0.6)

심장

0.046

( 0.5)

심장

0.044

( 0.4)

심장

0.042

( 0.4)

13

간질

0.016

( 0.2)

간질

0.019

( 0.2)

간질

0.021

( 0.2)

간질

0.020

( 0.2)

14

안면

0.005

( 0.1)

안면

0.006

( 0.1)

자폐성

0.005

( 0.0)

자폐성

0.006

( 0.1)

15

자폐성

0.003

( 0.0)

자폐성

0.004

( 0.0)

안면

0.003

( 0.0)

안면

0.004

( 0.0)

 

8.114

(100.0)

 

9.371

(100.0)

10.432

(100.0)

11.137

(100.0)

이번 연구는 등록 장애인 데이터베이스, 장애인 실태조사(이상 보건복지부), 진료비 청구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통계(통계청),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고용노동부) 등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국내 최초로 추계한 데 의의가 있다.


장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1년 기준으로 11.14조원이며 이는 2008년 8.11조원에 비해 37% 증가한 규모였다.


이는 2011년 국내 총생산(GDP)의 0.85%, 암의 사회경제적 비용(‘12년)(14.86조원)의 7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표 2> 2008~2011년 장애유형별 1인당 평균 사회경제적 비용

                                                                                                                         (단위 원)

순위

2008

2009

2010

2011

장애유형

비용

장애유형

비용

장애유형

비용

장애유형

비용

1

41,994,977

35,615,843

34,423,920

신장

30,285,540

2

신장

25,812,146

신장

26,481,221

신장

28,522,572

29,754,247

3

뇌병변

16,274,736

뇌병변

16,603,819

뇌병변

17,558,403

뇌병변

18,464,530

4

안면

11,551,547

안면

12,554,704

장루요루

9,399,553

장루요루

9,007,095

5

장루요루

9,383,291

장루요루

9,434,414

호흡기

7,145,978

안면

7,950,567

6

호흡기

8,486,590

호흡기

7,316,567

정신

7,064,058

정신

7,256,690

7

심장

6,319,863

정신

6,611,924

언어

6,625,594

호흡기

6,609,851

8

언어

5,680,188

언어

5,848,903

안면

6,417,038

언어

5,781,643

9

정신

5,571,638

심장

5,806,271

심장

5,550,662

심장

5,209,846

10

지적

4,946,418

지적

5,001,770

지체

4,504,919

지적

4,976,130

11

지체

4,583,691

지체

4,728,650

지적

4,157,096

지체

4,449,549

12

시각

3,365,509

시각

3,072,992

시각

2,955,371

시각

2,949,924

13

간질

2,524,346

간질

2,668,945

간질

2,813,145

청각

2,622,815

14

청각

2,471,142

청각

2,321,532

청각

2,243,216

간질

2,564,476

15

자폐성

641,533

자폐성

756,135

자폐성

888,729

자폐성

1,038,736

 

6,498,050

6,655,617

 

6,682,830

 

6,945,392

1인당 연평균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8년 650만원, 2009년 666만원, 2010년 668만원, 2011년 695만원으로 나타났다. (표 2)


1인당 평균 비용은 신장 3,029만원, 간 2,975만원, 뇌병변 1,846만원, 장루·요루 901만원, 안면장애 795만원 순이었고 자폐성장애가 104만원으로 가장 적었다(‘11년 기준, 그림 1).

유형별는 지체 4.43조원(39.7%), 뇌병변 3.28조원(29.4%), 신장 1.62조원(14.5%), 정신 6,026억원(5.4%), 시각장애 3,569억원(3.2%) 순으로 비용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5개 유형의 비용 규모가 전체의 92.3%를 차지하였다.


지체장애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국내 뇌졸중의 사회경제적 부담(‘10년, 4.15조원)과 유사하였고, 신장장애는 치매의 사회경제적 비용2)(’12년, 1.92조 원)과 유사한 규모를 나타냈다.


(비용항목) 항목별로는 의료비(46.7%),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30.9%), 간병비(11.7%), 상병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8.0%), 교통비(2.6%) 순으로 비용이 높았다.


과거(‘08~‘10년)와 비교하면 의료비 비율은 증가(40.0%→46.7%)하고,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 비율은 감소(41.3%→30.9%)하는 추세였다.


자폐(84.3%), 신장·지적(82.6%), 정신(80.1%)장애에서는 의료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안면(92.6%), 시각(84.5%), 청각(80.0%)장애에서는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비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 남성 장애인(59.3%)이 여성(40.7%)에 비해 사회경제적비용이 높게 나타났으나, 그 비율은 감소(60.5%→59.3%)하는 추세였다. (표 3)


남성 장애인의 유병자수가 여성 장애인에 비해 1.2배 정도 많아 남자의 비용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장장애(2.39%), 간장애(0.32%)는 등록장애 인구 비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사회경제적 비용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