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자궁암,뇌졸중 진료성과..한국, 세계 최고

  • 등록 2015.11.05 10:13:11
크게보기

OECD 회원국간 보건의료 질 비교결과 항생제 사용량도 낮게 나타났으며 암과 급성기 진료 성과 또한 지속적 향상,다만 만성질환 관리는 개선 필요

지난 4일(프랑스 현지시각) OECD가 발표한 2013년 기준 회원국별 보건의료 성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대장암과 자궁암, 뇌졸중 진료성과는 OECD국가 중 최고수준인 반면 만성질환 관리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상세 내용 아래 2015년 Health at a Glance 수록 보건의료 질 영역의 한국 수치  표 참조)


OECD는 보건의료 질 지표(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프로젝트를 통해 회원국의 보건의료의 성과지표를 수집․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Health at a Glance)」에 공표하고 있다.


한국은 보건복지부의 연구용역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과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에서 진료비 청구자료와 중앙 암등록자료를 사용하여 통계를 산출하였으며 이번 공표는 2007년에 이어 다섯 번째로 OECD에 보건의료 성과를 제출한 것이다.  


이번 보건의료 질 지표 분석결과 1) 우리나라의 대장암과 자궁암, 뇌졸중 진료성과는 세계 최고수준이며, 2) 급성기 질환과 암 진료 성과는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3) 일차의료 환경의 만성질환 관리 성과는 다소 낮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5년 Health at a Glance 수록 보건의료 질 영역의 한국 수치

영역

지표

단위

연도

한국

OECD

평균

영국

미국

일본

일차

의료

병원

입원율

천식과 만성폐색성폐질환 입원율

인구 10만명당

2013

310.6

242.2

273.2

319.6

58.1

울혈성심부전 입원율

인구 10만명당

2008

131.9

256.9

-2)

420.9

138.6

2013

102.2

244.4

99.4

366.6

136.9

당뇨 입원율

인구 10만명당

2008

378.4

174.7

-

-

191.0

2013

310.7

149.8

64.3

198.2

162.3

당뇨 하지절단율

인구 10만명당

2013

2.4

6.4

3.1

-

-

약제

처방

전체 항생제 사용량

DDDs/1000/

2012

16.2

20.7

21.5

-

-

전체 항생제 중 퀴놀론 혹은 2세대계열 항생제 처방

DDDs/1000/

2012

6.1

3.3

0.8

-

-

당뇨 환자의 지질저하제 처방

당뇨환자 100

2012

42.7

65.5

-

-

-

고혈압이 동반된 당뇨 환자의 일차선택 항고 혈압제 처방

당뇨환자 100

2012

77.2

77.8

-

-

-

65세 이상 환자 벤조다이아제핀계 약제 장기처방

65세 이상 환자 1000

2012

6.3

28.9

-

-

-

65세 이상 환자 장기작용 벤조다이아제핀계 약제 처방

65세 이상 환자 1000

2012

205.4

62.0

-

-

-

급성기 진료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

45세이상 입원 100

(입원단위)

2008

11.3

10.3

9.4

-

12.9

2013

8.3

8.0

7.6

5.5

12.2

45세이상 입원 100

(환자단위)

20031)

15.6

14.3

-

-

-

2008

14.2

11.0

12.0

-

-

2013

10.3

9.5

9.1

-

-

허혈성 뇌졸중 30일 치명률

45세이상 입원 100

(입원단위)

2008

3.9

9.6

14.8

-

3.1

2013

3.2

8.4

9.2

3.6

3.0

45세이상 입원 100

(환자단위)

20031)

7.7

12.7

-

-

-

2008

6.0

11.6

17.0

-

-

2013

4.8

10.1

10.6

-

-

환자안전

복부수술 후 패혈증 발생

퇴원 10만건

2013

434.2

1050.4

-

-

 

정신보건3)

조현병 초과사망비

(ratio)

2013

4.4

4.2

-

-

-

양극성정동장애 초과사망비

(ratio)

2013

3.9

3.2

-

-

-

암 진료4)

자궁경부암 생존율

%

1998-

2003

75.3

64.0

57.5

62.0

70.2

%

2008-

2013

77.8

66.0

59.5

61.8

-

유방암 생존율

%

1998-

2003

78.1

80.5

75.4

88.1

87.3

%

2008-

2013

85.9

84.9

81.1

88.9

-

대장암 생존율

%

1998-

2003

57.7

55.8

49.5

64.2

68.0

%

2008-

2013

70.9

62.2

56.1

64.2

-


급성심근경색증과 뇌졸중 30일 치명률은 급성기 진료(acute care) 영역의 질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2013년 45세 이상 허혈성 뇌졸중 입원환자 30일 치명률은 3.2%로 OECD회원국 중 가장 우수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의 경우 2011년 비교(2009년 진료분 10.4%)에서 OECD회원국 중에서 최하 수준을 보였으나, 올해 비교(2013년 진료분)에서는 8.3%로 낮아지는 등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5년 상대생존율로 본 암 진료 성과에서 한국의 대장암은 70.9%, 자궁경부암은 77.8%로 OECD회원국 중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그리고 유방암의 경우 85.9%로 OECD평균(84.9%) 수준이었으나, 2011년 82.2%보다는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만성질환 관리 영역에서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입원율은 인구 10만 명당 310.6명으로 OECD회원국 평균(242.2명)에 비해 높았다. 당뇨 입원율 또한 인구 10만 명당 310.7명으로 OECD회원국 평균(149.8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은 일차의료 영역에서 관리를 잘 하면 입원이 예방되는 질환이다. 즉, 이들 질환으로 인한 병원 입원율이 높다는 것은 일차의료 환경에서 관리가 제대로 안되어 질병이 악화되었거나, 입원 병상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 처음 수집․비교된 영역인 ‘일차의료 약제처방 지표’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16.2(DDD/1,000명/일)로, OECD회원국 평균 수준(20.7 DDD/1,000명/일)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나, 광범위 항생제에 해당하는 퀴놀론과 2세대 세파로스포린 항생제 사용량은 6.1(DDD/1,000명/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ECD평균 3.3 DDD/1,000명/일).


당뇨 환자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하여 지질저하제 처방을 진료지침에서 권고하고 있다. 한국의 당뇨 환자 지질저하제 처방률은 2012년도 기준 42.7%로 OECD평균(65.5%)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2014년 3월, 당뇨 환자의 고지혈증치료제 처방을 인정하도록 약제급여 기준이 변경되어 처방률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고혈압이 동반되는 당뇨 환자의 일차선택 항고혈압제 처방률은 77.2%로, OECD평균(77.8%)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5세 이상 일반 인구집단 중에서 최면진정제 종류인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 장기 처방 환자(연간 365DDD 초과 처방)는 인구 1,000명당 6.3명으로 OECD평균(28.9명)보다 낮았다. 그러나 벤조다이아제핀계 중 장기작용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는 인구 1,000명당 205.4명으로 OECD평균(62.0명)보다 높아,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노인 주의의약품인 장기작용 벤조다이아제핀 13개 성분을 의약품안심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DUR)를 통하여 점검하고 있어, 장기작용 벤조다이아제핀 약물 처방률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심사평가원은 2015년 10월 1일부터 DUR을 통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20개 성분)을 의․약사가 처방․조제할 경우 의약품 정보와 발생 가능한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도, 복부수술 후 패혈증 발생률은 퇴원 10만건 당 434.2건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낮은 수준이었다. 조현병 초과사망비(4.4)와 양극성정동장애 환자 초과사망비(3.9)의 경우 OECD회원국 평균(조현병 초과사망비 : 4.2, 양극성정동장애 초과사망비 : 3.2)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