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중 1명 척추질환..57%가 50대 이상

  • 등록 2015.11.26 12:01:14
크게보기

심사평가원 분석결과,2014년 척추질환은 남성이 약 520만명(41.7%), 여성이 약 730만명(58.3%)으로 여성의 비중이 더 높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척추질환 및 수술’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2014년 약 1,260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척추질환 건수는 8,790만건, 진료비는 3조8,760억원으로 전체질환 건수 14억1,300만건의 6.2%, 진료비 59조2,550억원의 6.5%를 차지하며, 2007년과 비교하여 각각 88%, 95%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 지역별 척추질환 입원 발생건수는, 광주가 인구 1,000명당 52.3건으로 가장 높은 반면, 제주도가 12.7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14년 척추수술 건수는 약 15만5천건이며, 진료비는 약 4,642억원으로 2007년 대비 각각  31.6%,  26.7% 증가하였다.

 

‘척추질환 및 수술’에 대해 분석한 결과,척추질환 진료인원은 2007년 약 895만명에서 2014년 약 1,260만명으로 365만명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질환 건수는 2007년 약 4,660만건에서 2014년 약 8,790만건으로 약 4,130만건(88.4%)증가했으며, 진료비는 2007년 약 1조9,860억원에서 2014년 약 3조8,760억원으로 약 1조8,890억원(95.2%)이 증가하였다.2014년 척추질환은 남성이 약 520만명(41.7%), 여성이 약 730만명(58.3%)으로 여성의 비중이 더 높았다.
 

한편, 2007년에서 2014년 사이 척추질환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5.7%, 여성이 4.5%로 남성 진료인원 증가가 더 높았다.


2014년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50대가 약 270만명(21.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약 210만명(17.0%), 60대 약 200만명(16.3%), 70대 약 170만명(13.8%), 30대 약160만명(12.5%) 순으로 높게 나타나, 50대 이상이 전체의 57%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90세 이상도 약 5만명(0.4%)이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붙임1)
 

연령별 분포는 30대까지는 남성이 , 40대 부터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0대는 여성이 약 166만명(13.2%)으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보였다.



`-척추수술 다빈도 유형별 건수와 진료비 


                                                                                                         (단위: 백건, 일억원)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전체

건수

1,175

1,325

1,513

1,650

1,678

1,757

1,726

1,545

진료비

3,664

4,124

4,680

5,108

4,935

5,066

5,076

4,642

감압술

건수

521

589

705

768

791

795

748

657

진료비

1,003

1,170

1,422

1,616

1,643

1,646

1,588

1,381

감압술 + 고정술

건수

340

375

416

424

405

425

410

368

진료비

1,649

1,840

2,082

2,138

1,906

1,926

1,925

1,763

척추 고정술

건수

38

38

42

46

53

65

63

58

진료비

172

195

229

252

267

285

303

286

척추변형의 척추관절고정

건수

3

4

4

5

5

5

5

5

진료비

36

46

55

62

59

52

56

53

경피적 척추성형술

건수

131

175

214

264

287

320

347

318

진료비

187

267

333

417

471

522

561

530

경피적 척추후굴풍선복원술

건수

103

86

68

72

66

73

78

68

진료비

374

276

194

217

202

216

218

190

기타

건수

39

58

63

72

71

75

74

72

진료비

244

330

366

407

389

419

427

438

                            
                     
척추질환으로 입원한 인구 천 명당 발생건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 광주 52.3건 〉전남 45.3건 〉전북 45.1건 〉부산 32.2건 〉경남 30.3건 순으로 높은 반면, 제주도가 12.7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년 대비 2014년 증가율 역시 광주가 249.7%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강원도는 66.8%로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 주요 질환별 진료인원은 입원의 경우 기타 추간판장애(27만5천명), 외래는 등통증(644만명)이 가장 많았으며, 1인당 진료일수 및 진료비는 입원의 경우 ‘병적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이 25.8일, 282만원, 외래는 ‘척추증(M46-M49)’이 6.4일, 17만5천원, 기타 추간판장애는 6.3일, 17만4천원으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건수는 2014년 약 15만5천건이며, 진료비는 약 4,642억원으로 2007년과 비교하여 각각 31.6%, 26.7% 증가하였다.
 

2012년까지는 수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13년부터는 감소 추세로 2014년은 전년 대비 수술 건수(10%), 진료비(9%)가 각각 감소하였다.

2014년 척추수술을 시행한 곳은 1,097기관으로 2007년 1,021기관에서 8년간 76기관(7.4%)이 증가하였다.의원을 제외한 병원, 종합병원의 기관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병원이 2014년 556기관으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여 2007년 대비 2014년 증가율도 35.6%로 가장 높았다.


-주요 척추수술별, 연령별 건수

   

 

 

(단위: , %)

 

연령 

전체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4

점유율

‘07vs'14

증감률

감압술

10

6,478

747

838

910

907

819

861

749

647

1.0

-13.4

20

36,848

4,792

4,925

5,424

5,359

4,920

4,371

3,776

3,281

5.0

-31.5

30

83,034

7,933

8,921

10,908

11,975

11,900

11,461

10,902

9,034

13.7

13.9

40

111,142

10,780

12,137

14,766

15,785

15,501

15,535

14,277

12,361

18.8

14.7

50

123,468

10,290

11,842

14,744

16,424

18,085

18,662

17,623

15,798

24.0

53.5

60

110,689

10,787

12,203

14,172

15,249

15,638

15,444

14,430

12,766

19.4

18.3

70

75,081

6,049

7,188

8,519

9,822

10,804

11,364

11,205

10,130

15.4

67.5

80

10,421

685

829

1,056

1,241

1,415

1,720

1,795

1,680

2.6

145.3

90

250

14

14

21

34

25

49

54

39

0.1

178.6

전체

557,411

52,077

58,897

70,520

76,796

79,107

79,467

74,811

65,736

100.0

26.2

감압술

+

고정술

10

737

101

108

85

114

98

92

91

48

0.1

-52.5

20

3,898

534

571

644

554

491

406

362

336

0.9

-37.1

30

13,605

1,767

1,732

1,957

1,880

1,691

1,607

1,581

1,390

3.8

-21.3

40

42,293

5,619

5,789

6,027

5,870

5,170

5,117

4,629

4,072

11.1

-27.5

50

83,691

9,301

9,949

10,902

11,040

10,926

11,375

10,648

9,550

25.9

2.7

60

101,040

11,159

12,802

13,761

13,796

12,789

13,226

12,364

11,143

30.3

-0.1

70

65,187

5,132

6,131

7,610

8,490

8,593

9,729

10,232

9,270

25.2

80.6

80

5,779

335

425

624

654

756

917

1,071

997

2.7

197.6

90

99

4

8

11

12

12

17

20

15

0.0

275

전체

316,329

33,952

37,515

41,621

42,410

40,526

42,486

40,998

36,821

100.0

8.5

고정술

10

875

104

94

100

102

124

129

124

98

1.7

-5.8

20

1,919

262

258

256

251

227

234

224

207

3.6

-21

30

4,400

495

490

534

513

591

655

598

524

9.1

5.9

40

8,801

969

826

935

996

1,172

1,439

1,309

1,155

20.0

19.2

50

10,690

892

970

1,045

1,131

1,453

1,870

1,698

1,631

28.2

82.8

60

8,059

747

734

832

985

1,079

1,277

1,278

1,127

19.5

50.9

70

5,021

322

394

465

563

619

818

970

870

15.1

170.2

80

622

27

44

49

61

57

93

131

160

2.8

492.6

90

13

-

-

-

2

2

2

2

5

0.1

-

전체

40,400

3,818

3,810

4,216

4,604

5,324

6,517

6,334

5,777

100.0

51.3

척추

변형의 관절

고정

10

2,784

246

273

331

362

390

406

407

369

78.7

50

20

315

40

43

37

50

41

23

43

38

8.1

-5

30

71

12

10

10

7

12

9

7

4

0.9

-66.7

40

74

8

14

15

7

10

5

5

10

2.1

25

50

77

9

8

8

6

17

9

14

6

1.3

-33.3

60

142

17

19

17

14

19

19

17

20

4.3

17.6

70

122

8

11

17

18

13

19

15

21

4.5

162.5

80

6

1

1

1

1

-

-

1

1

0.2

-

90

-

-

-

-

-

-

-

-

-

-

-

전체

3,591

341

379

436

465

502

490

509

469

100.0

37.5

경피적

척추

성형술

 

10

10

2

2

4

2

-

-

-

-

0.0

-100

20

32

7

3

8

5

1

3

3

2

0.0

-71.4

30

165

17

17

27

21

20

17

27

19

0.1

11.8

40

886

86

109

116

138

133

116

98

90

0.3

4.7

50

9,179

716

900

1,006

1,205

1,347

1,333

1,481

1,191

3.7

66.3

60

41,211

3,639

4,525

5,051

5,839

5,858

5,800

5,807

4,692

14.8

28.9

70

90,243

5,952

8,035

9,730

11,755

12,704

13,967

14,964

13,136

41.3

120.7

80

59,037

2,556

3,672

5,111

6,886

8,006

9,900

11,353

11,553

36.3

352

90

4,858

159

244

363

512

627

841

1,002

1,110

3.5

598.1

전체

205,621

13,134

17,507

21,416

26,363

28,696

31,977

34,735

31,793

100.0

142.1

경피적

척추

후굴

풍선

복원술

10

7

4

1

1

-

-

-

-

1

0.0

-75

20

15

8

1

-

4

1

-

-

1

0.0

-87.5

30

87

19

13

11

12

10

11

8

3

0.0

-84.2

40

453

109

71

61

54

38

44

46

30

0.4

-72.5

50

3,027

628

448

334

347

320

309

370

271

4.0

-56.8

60

12,198

2,696

2,004

1,455

1,474

1,194

1,168

1,268

939

13.8

-65.2

70

26,386

4,618

3,879

2,944

3,076

2,772

3,030

3,324

2,743

40.4

-40.6

80

17,746

2,086

2,048

1,862

2,066

2,084

2,503

2,550

2,547

37.6

22.1

90

1,314

121

129

108

135

176

192

206

247

3.6

104.1

전체

61,233

10,289

8,594

6,776

7,168

6,595

7,257

7,772

6,782

100.0

-34.1

기타

10

2,559

330

373

297

328

321

339

289

282

3.9

-14.5

20

1,985

206

293

279

294

232

229

233

219

3.1

6.3

30

2,752

250

368

372

385

344

396

320

317

4.4

26.8

40

5,954

458

686

792

845

819

779

808

767

10.7

67.5

50

10,334

644

1,095

1,172

1,389

1,431

1,538

1,549

1,516

21.2

135.4

60

13,363

994

1,521

1,719

1,944

1,879

1,876

1,805

1,625

22.7

63.5

70

12,597

801

1,221

1,368

1,624

1,714

1,904

1,961

2,004

28.0

150.2

80

2,566

163

201

296

333

340

417

411

405

5.7

148.5

90

120

8

9

9

12

15

25

23

19

0.3

137.5

전체

52,230

3,854

5,767

6,304

7,154

7,095

7,503

7,399

7,154

100.0

85.6

전체

1,236,815

117,465

132,469

151,289

164,960

167,845

175,697

172,558

154,532

-

31.6

014년 척추수술 인구 천명당 발생건수는 광주가 5.2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 4.4건 〉대전 4.3건 〉전북 3.7건 〉부산 3.6건 〉인천 3.2건 순으로 높은 반면, 경북은 1.3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14년 척추질환 입원과 수술 여부를 비교해 보면, 입원건수는 130만 건이고, 척추수술 건수는 15만 5천건으로 입원한 환자의 약 12%가 척추수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비 척추질환 입원건수는 124.9%가 증가한 반면, 척추수술 건수는 31.6% 증가율을 보였다.아울러 인구 천명당 척추질환 입원건수도 2007년(12.9건)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나, 척추수술 건수는 2012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14년 성별 척추수술 건수 및 진료비 현황은 남성이 6만8천건(43.7%), 여성은 8만7천건(56.3%), 진료비는 전체 4,640억원 중 남성이 2,050억원(44.2%), 여성이 2,590억원(55.8%)으로 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증가율은 2007년 대비 2014년 여성(31.6%)과 남성(31.4%)이 유사하게 증가하였으나 진료비는 남성(33.4%)이 여성(219%)보다 더 높았다.


연령별 척추수술 현황은 2014년에 70대에서 높은 점유율 24.7%(3만8천건)을 보였으며, 진료비도 26.6%(1,230억원)로 가장 높았다. 특히, 90대 이상에서는 수술 건수가 1천435건(0.9%)으로 2007년 이후 서서히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50대 이상에서 척추수술 건수와 진료비 점유율은 각각 77.1%,  79.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8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2013년과 비교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에 80대에서는 수술 건수 및 진료비가 0.2%, 0.5% 각각 증가하였으며, 90대에서는 9.8%, 16.2%로 각각 증가세를 보였다.

                                   < 척추수술 연령별 건수와 진료비 >
2014년 척추수술은 주로 디스크탈출증에 실시하는 감압술이 약 6만6천건(42.5%)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디스크와 병행한 협착 등에 실시하는 감압술+고정술이 3만7천건(23.8%), 고령층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에 실시하는 경피적척추성형술이 3만2천건(20.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진료비는 감압술+고정술이 1,760억원(38%)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 감압술 1,380억원(29.7%), 경피적척추성형술 530억원(11.4%) 순으로 높으며, 반면에 척추측만증 등에 시술하는 변형고정술은 각각 약 500건(0.3%), 약 53억원(1.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척추수술에서 흔히 시행하는 감압술, 감압술+고정술, 경피적척추성형술의 연령대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감압술 및 감압술+고정술은 50대(24%), 60대(19.4%)에서, 경피적척추성형술은 70대(41.44%), 80대(36.3%)에서 많이 시행되었다.
 

2007년 대비 2014년 증가율은 전체적으로 70대 이상에서 높았고, 경피적척추성형술의 경우에는 80대에서 352%, 90대 이상에서 598%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 2014년 유형별 건수와 진료비 점유율 >  
척추질환 분석 결과, 최근 들어 척추질환의 빈도는 노인 인구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인구고령화에 따른 척추질환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 척추 질환은 대부분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손상 또는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보다는 주로 통증을 동반한 고통 및 생활의 지장을 나타내게 된다.

 ○ 퇴행성 변화에 따른 척추 질환이나 골다골증성 골절 등의 치료에 대해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은 그 동안 직·간접적인 치료 경험이나 언론 등을 통해 꾸준히 강조되면서 최근에는 수술사례가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심사평가원 김동준 전문심사위원은 “수술 전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 등을 홍보하고, 수술 적정성 여부에 대한 영상자료 확인 등 심사를 통해 척추질환 치료(보존적 요법, 수술)의 적정성 및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척추 질환의 변화 경향과 의학의 발전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들이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