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계통 장애’ 급증..어린이 눈꼽 자주끼면 진료 필요

  • 등록 2015.12.23 12:03:40
크게보기

심사평가원 분석결과,1~3월 동절기 차고 건조한 바람에 전년 10~12월 대비 진료인원 10.8%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찬바람이 강하게 부는 겨울을 맞아 ‘눈물계통의 장애(H04)'에 대해 최근 5년간(2010 ~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4년 기준 진료인원 약 252만명에 총진료비는 약 997억원으로    2010년에 비해 각각 10만여명(3.9%), 129억여원(14.9%)이 증가하였고,주로 1월부터 3월(전년 분기 대비 10.8% 증가)까지 진료인원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또한 전체 연령 중 50대(전체인원 중 19.6%)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눈물계통의 장애’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0년 약 242만명에서 2014년 약 252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0만명(3.9%)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1.0%이며,총진료비는 2010년 약 868억원에서 2014년 약 997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29억원(14.9%)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5%를 보였다.


‘눈물계통의 장애’ 진료인원은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보다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중 차지하는 비중은 50대 19.6% > 70세 이상 17.9% > 40대 15.8% 순으로 나타났다.


-<눈물계통의 장애>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0

2011

2012

2013

2014

0~ 9

44,036

42,261

42,021

40,982

38,979

1.8%

1.6%

1.5%

1.6%

1.5%

23,450

22,549

22,295

21,891

20,668

3.0%

2.7%

2.6%

2.7%

2.6%

20,586

19,712

19,726

19,091

18,311

1.2%

1.1%

1.0%

1.1%

1.0%

10~ 19

137,496

146,339

148,271

128,337

118,767

5.6%

5.5%

5.4%

5.1%

4.7%

41,483

42,268

42,078

36,175

34,353

5.4%

5.1%

4.9%

4.5%

4.3%

96,013

104,071

106,193

92,162

84,414

5.7%

5.7%

5.6%

5.3%

4.8%

20~ 29

307,868

334,579

357,134

329,073

320,392

12.6%

12.5%

13.0%

12.9%

12.6%

80,496

90,184

99,638

94,470

93,060

10.4%

10.8%

11.5%

11.8%

11.6%

227,372

244,395

257,496

234,603

227,332

13.6%

13.3%

13.6%

13.5%

13.0%

30~ 39

331,852

351,088

359,499

322,615

314,634

13.5%

13.1%

13.1%

12.7%

12.3%

102,319

106,133

108,831

97,779

96,016

13.2%

12.7%

12.6%

12.2%

11.9%

229,533

244,955

250,668

224,836

218,618

13.7%

13.3%

13.3%

12.9%

12.5%

40~ 49

417,072

436,823

441,274

396,390

403,470

17.0%

16.3%

16.0%

15.6%

15.8%

135,585

138,591

139,858

124,735

123,854

17.5%

16.6%

16.2%

15.6%

15.4%

281,487

298,232

301,416

271,655

279,616

16.8%

16.2%

16.0%

15.6%

16.0%

50~ 59

444,121

499,985

520,417

487,380

498,650

18.1%

18.7%

18.9%

19.2%

19.6%

141,431

155,254

162,743

150,710

151,953

18.2%

18.6%

18.8%

18.8%

18.9%

302,690

344,731

357,674

336,670

346,697

18.0%

18.8%

19.0%

19.3%

19.9%

60~ 69

395,729

427,702

424,179

390,730

399,421

16.1%

16.0%

15.4%

15.4%

15.7%

134,681

145,026

146,113

133,982

137,974

17.4%

17.4%

16.9%

16.7%

17.2%

261,048

282,676

278,066

256,748

261,447

15.6%

15.4%

14.7%

14.8%

15.0%

70세 이상

374,568

434,391

459,249

445,619

455,561

15.3%

16.3%

16.7%

17.5%

17.9%

115,782

134,894

144,055

140,958

145,793

14.9%

16.2%

16.6%

17.6%

18.1%

258,786

299,497

315,194

304,661

309,768

15.4%

16.3%

16.7%

17.5%

17.7%


특히,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여성 호르몬의 영향이 가장 크며, 이 외에도 과도한 눈 화장으로 화장품이 눈에 들어가 이물감을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것으로 추측된다.


‘눈물계통의 장애’는 겨울부터 초봄(1분기)에 진료인원이 크게(2014년 기준 전기 대비 1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이봄선의 지질(lipid) 분비가 안되어 눈물이 빨리 증발하거나, 찬 바람으로 인한 눈물의 증발 촉진, 난방으로 인한 건조한 환경이 조성되어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눈물계통의 장애’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질환은 ‘안구건조증’으로 알려진 ‘눈물샘의 기타 장애’로 전체 진료인원의 87.3%를 차지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눈물계통의 장애> 세부상병별 진료인원 (2010년~2014년)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H04

눈물계통의 장애

1,884

735

301

257

257

H040

누선염

6,598

5,282

4,178

3,703

3,518

H041

눈물샘의 기타 장애

1,945,486

2,285,911

2,395,802

2,215,181

2,242,158

H042

눈물흘림

66,418

56,208

52,200

49,220

48,102

H043

눈물길의 급성 및 상세불명의 염증

15,753

12,629

11,347

11,075

11,007

H044

눈물길의 만성염증

11,191

9,394

8,672

8,541

7,846

H045

눈물길의 협착 및 기능부전

165,176

159,370

156,244

148,120

148,867

H046

눈물길에서의 기타 변화

3,798

5,620

5,077

4,885

4,934

H048

기타 눈물계통의 장애

219,390

130,317

94,384

78,910

63,944

H049

상세불명의 눈물기관의 장애

65,087

58,228

49,715

41,640

37,189

‘눈물계통의 장애’는 눈물샘, 눈물길 등에 염증, 협착 등의 이상이 생겨 눈물의 분비 및 배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눈이 시리고 뻑뻑하거나 이물감 등이 있으며, 눈물 흘림이 심한 경우도 있다. 

 
특히, 눈물계통의 장애 중 가장 흔한 ‘안구건조증’은 눈물 분비 기능의 저하나 안검염(마이봄선염)이 원인으로, 안질환의 진행 시 각막손상을 일으켜 시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아울러, 건조한 환경 및 책·TV·컴퓨터·스마트폰 등을 장시간 계속해서 보는 경우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눈물계통의 장애’ 치료방법은 증상별로 인공눈물 사용, 약물투여, 수술 등이 있다.눈물이 적게 생성되거나 지나친 증발들로 인한 안구건조증의 경우는 눈물층에 따라 인공눈물 점안, 눈꺼풀 염증 치료, 항염증 치료방법 등이 있으며, 반대로 과도한 눈물이 흐르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속눈썹 제거 등의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눈물계통의 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어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하경 전문심사위원은 ‘눈물계통의 장애’는 “성인의 경우 외관상 쉽게 구분 가능하고 스스로 느낄 수 있지만, 유아들은 이와 달리 선천적인 눈물길의 막힘으로 인해 지속적인 눈물 또는 눈꼽이 있거나 한쪽 눈물 흘림으로 인한 주변 피부의 짓무름 증상이 있는지 등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