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병원에 무슨일이?..위암 수술 등 3등급 '수모'

  • 등록 2016.01.06 12:00:19
크게보기

심사평가원,위암 적정성 평가결과 최초 공개 1등급 기관 89.5%, 전반적으로 의료 질 우수한 가운데 대학병원으로 드물게 서울백병원 3등급 받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2014년 7~12월(6개월) 진료분을 대상으로 실시한 ‘위암 1차 적정성 평가’ 결과를 1월 7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암은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이며, 특히 남자 암 발병률 1위는 위암으로‘13년 예비평가 결과 의료기관 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진료편차를 감소시키고, 진단과 수술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또는 적기에 항암치료를 실시하고 있는지 등 위암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위암평가를 실시하였다.

 

암 병기는 1기~4기로 구분되며, 이번 위암 평가결과 1기가 74.5%로 1기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TNM 분류를 살펴보면, 종양이 위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분포하고 림프절 전이는 없는 T1N0 상태가 67.5%를 차지하여 조기에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연령별로는 남성(68.7%)이 여성(31.3%)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은 60대, 여성은 70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에 대한 적정성 평가는 위암수술(내시경절제술, 위절제술 모두 포함)을 시행한 201개 기관의 9,969건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전체 종합점수 평균이 95.30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부 평가결과, 구조지표인 ‘치료 대응력’은 5개 진료과의 전문인력 구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전체평균이 81.7%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등급별 ․ 권역별 요양기관 현황 (가나다 순)

- 1등급 의료기관 85개

권역별

종별

요양기관

서울

상급종합병원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강남세브란스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고려대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고려대의과대학부속병원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삼성서울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삼성의료재단강북삼성병원

한양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종합병원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강동성심병원

의료법인을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경기권

상급종합병원

고려대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학교법인동은학원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의료법인길의료재단길병원

 

종합병원

가톨릭관동대학교국제성모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

동국대학교일산불교병원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의료법인명지의료재단명지병원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

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지샘병원

검단탑병원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국립암센터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경상권

상급종합병원

경상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부산대학교병원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영남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종합병원

대구파티마병원

재단법인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창원파티마병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학교법인성균관대학삼성창원병원

인제대학교해운대백병원

학교법인울산공업학원울산대학교병원**

병원

사단법인부산의료선교회세계로병원

강원권

상급종합병원

연세대학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종합병원

강릉아산병원

한림대학교부속춘천성심병원

강원대학교병원

 

전라권

상급종합병원

원광대학교의과대학병원

조선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종합병원

전주예수병원

충청권

상급종합병원

단국대의과대학부속병원

충북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학교법인동은학원순천향대학교부속천안병원

종합병원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학교법인가톨릭학원 가톨릭대학교대전성모병원

청주성모병원

학교법인건양학원건양대학교병원

학교법인 을지학원 을지대학교병원

 

제주권

종합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한라병원


-2등급 의료기관

권역별

종별

요양기관

서울

종합병원

삼육서울병원

경기권

종합병원

대아의료재단한도병원

의료법인 우리의료재단 김포우리병원

대진의료재단분당제생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3등급 의료기관

권역별

종별

요양기관

서울

종합병원

학교법인인제학원인제대학교부속서울백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중앙보훈병원

경상권

종합병원

포항성모병원

-4등급 의료기관

권역별

종별

요양기관

서울

종합병원

대림성모병원

-5등급 의료기관

권역별

종별

요양기관

경상권

종합병원

메리놀병원


  
진료과정을 평가하는 과정지표는 ▲진단적 평가영역(3개 지표) ▲수술영역(6개 지표) ▲ 보조항암화학요법 영역(6개 지표)으로 94.4%~99.9%의 우수한 평가결과를 보였다.

특히,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는 ‘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은 전체평균이 98.2%이며, 수술의 근치율을 높일 수 있도록 권고하는 ‘위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비율’은 98.1%로 위암 수술은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시경 절제술 후 절제 면에 암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등 전이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로 위절제술을 권고하는 ‘내시경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은 전체 평균이 76.3%이며, 상급종합병원 77.8%, 종합병원 73.3%로 모든 종별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수술 후 적절한 시기에 투여하여 재발방지 및 생존률을 높일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는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항암화학요법 실시율(2기~3기)’도 전체평균이 84.0%, 상급종합병원 86.2%, 종합병원 80.7%, 병원 77.8%로 특히 병원이 더 낮게 나타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지표 중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평가하기 위한 ‘수술 사망률’은 전체평균이 0.88%로 사망환자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응급수술 등으로 수술 전 진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하는 경우 △암 병기가 4기인 경우 △수술 전 환자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ASA score 3점 이상) △75세 이상 고령인 경우로 나타났다.

구분

평가 지표

지표 설명

구조

(1)

1.전문인력 구성 여부

전문인력 (외과, 소화기내과, 혈액종양내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상근 전문의

과정

(15)

2.절제술 전 복부조영 CT 실시율

내시경 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절제술 전 복부조영 CT 실시율

3.절제술 전 진단적 내시경 검사 기록률

내시경 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절제술 전 실시한 진단적 내시경 검사의 결과가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비율

4.절제술 전 병리조직검사 실시율

내시경 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절제술 전 종양의 병리조직검사를 실시한 비율

5.전신상태 평가기록 비율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 환자 중 보조 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전신상태(performance status) 평가 기록이 있는 환자 비율

6.보조 항암화학요법 전문의 암병기 기록률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치료 내용이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의 비율

7.내시경 절제술 치료 내용 기록 충실률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치료 내용이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의 비율

8.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 실시율

내시경 절제술 후 추가 위절제술이 필요한 환자 중 위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비율

9.병리진단 보고서 기록 충실률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또는 위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중 병리진단 보고서가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비율

10.위절제술 후 수술 기록 충실률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기록지가 충실하게 기록된 환자 비율

11.국소 림프절 절제 및 검사율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15개 이상의 국소 림프절을 절제하고 병리조직 검사를 실시한 환자 비율

12.위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비율

cT2 이상인 위암 환자 중 첫 위암수술(위절제술)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비율

13.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 비율 (stage Ia)

위암 Stagea, T1N0으로 내시경 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보조 항암화학요법(또는 항암방사선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 비율

14.수술 후 8주 이내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stage II ~ III)

위암 stage ~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후 8주 이내 권고하는 첫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비율

15.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 실시율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중 권고된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비율

16.Flow sheet 사용률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환자 중 Flow sheet를 기재한 환자 비율

결과

(3)

17.평균 입원일수(LI)

입원일수 장기도 지표

18.평균 진료비(CI)

(Monitoring 지표)

진료비 고가도 지표

19.수술 사망률

위절제술을 받은 후 입원기간 이내 또는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 비율


평가결과는 각 평가지표 점수를 종합해 5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개하였으며, 평가대상 201개 기관 9,969건 중 종합점수 산출대상 기준에 해당하는 95개 기관(전체의 47.3%) 9,597건(전체의 96.3%)에 대해 산출하였다.

 

95개 기관 중 1등급은 85개 기관(89.5%)으로 전국 각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위와 같이, 위암 적정성 평가는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평가지표인 수술영역과 보조항암화학요법 등을 평가한 결과 높게 나타났다.

이번 1차 위암 평가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은 2012년에 실시한 대장암 평가를 통해 요양기관이 적정성 평가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진료지침에 기반한 평가기준에 따라 진료한 결과로 판단된다.

심사평가원은 위암 1차 적정성 평가결과를 국민들이 의료기관을 선택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별 평가등급, 각 지표별 평가결과 등을 홈페이지(www.hira.or.kr>병원평가정보>위암)에 공개하고, ‘16년 1월에 평가결과에 대한 설명회 개최와 더불어 하위기관 등에 대해서는 현장방문 등 질 향상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