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굿씨병’은 무릎뼈 위쪽의 앞부분이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허벅지 근육이 붙는 부위의 정강이뼈(경골)가 반복적으로 당기는 힘을 받게 되면서 힘줄의 뼈 부착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결절 또는 골극이 생겨 통증 및 부종을 유발하게 되는 것. 이 부분을 손으로 누르면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심할 경우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양반자세로 앉기 위해 다리를 굽히는 것도 힘들어질 수 있으며 성장판 손상 및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뼈 성장이 빠르게 일어나는 청소년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즐겨 하거나, 활동성이 많은 학생, 연간 10cm 이상 키가 큰 급성장을 겪은 학생들에게서도 발병할 수 있다.
동탄시티병원 전태환 원장은 “오스굿씨병은 흔히 성장통으로 오인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청소년뿐만 아니라 평소 움직임이 많지 않다가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걸릴 수 있는 질환이라 주의가 필요하다”며 “오랜 시간 방치하게 되면 뼈의 손상으로 인해 염증 반응이 나타나거나 성장판 손상으로 인한 정강이뼈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힘줄 조직의 부착부가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아 성장이 끝난 후에도 자칫 만성 통증을 일으키거나 나이가 들어 정강이뼈 변형에 의한 퇴행성 관절염으로도 발전할 수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스굿씨병은 x-ray 촬영을 통해 증상을 판별하는데 초기에는 운동을 삼가고 휴식을 취하며 찜질을 해주면 염증과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소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깁스 등으로 무릎을 고정해 주는 것도 도움 된다. 증상이 심할 경우 정강이뼈의 앞쪽에 도드라지게 혹이 있거나 뼈조각이 관찰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튀어나온 뼈 부위가 크면 뼈조각을 없애주는 수술을 해야 하지만 키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걱정할 필요는 없다.
평소 운동을 시작할 때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게 좋다. 성장판을 자극하는 운동이 키 성장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처음부터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것보다 줄넘기 같은 가벼운 운동을 시작하고 아이의 체력에 맞는 운동을 선택해야 한다. 운동을 할 때는 무릎과 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운동화에 푹신한 깔창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 된다.
전원장은 “성장기에는 운동량 증가와 함께 근육이 성장하게 되면서 많은 힘을 발생시키는데 성장기 뼈는 단단하지 않아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고 뼈의 이상 변형이 생기기 쉽다”며 “청소년기에 겪는 질환은 조기에 치료해야 성인이 돼서 큰 병으로 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데 특히 무릎 통증은 한번 만성화되면 오랫동안 낫지 않고 지속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이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