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방치하면 큰 위험, ‘동맥색전증’주의보

  • 등록 2011.11.10 12:44:25
크게보기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진료인원 연평균 8.3% 증가, 고연령대 많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I74)’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9,121명에서 2010년 12,244명으로 5년간 약 3,123명이 증가(34.2%)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8.3%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6년 58억5천만원에서 2010년 101억9천만원으로 5년간 약 43억4천만원이 증가(74.1%)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5.0%로 나타났다.


        그림1.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추이(2006~2010년)


표1.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2006~2010년)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진료인원

(명)

9,121

9,484

12,207

12,673

12,244

5,301

5,502

6,620

6,848

6,966

3,820

3,982

5,587

5,825

5,278

총진료비

(천원)

5,856,677

6,729,077

7,638,641

8,304,425

10,196,912

4,394,041

4,964,210

5,473,646

6,023,992

7,525,352

1,462,636

1,764,867

2,164,996

2,280,433

2,671,560

 

동맥색전증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6,966명, 여성이 5,278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증감률(2006~2010년)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

성비(남성대비여성)

1.4

1.4

1.2

1.2

1.3

-

점유율

58.1%

58.0%

54.2%

54.0%

56.9%

-

41.9%

42.0%

45.8%

46.0%

43.1%

-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연평균

전년대비

증감률

-

4.0%

28.7%

3.8%

-3.4%

8.3%

-

3.8%

20.3%

3.4%

1.7%

7.3%

-

4.2%

40.3%

4.3%

-9.4%

9.9%

               그림2.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성별 진료인원 추이(2006~2010년)

 

동맥색전증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50대 20.8%, 60대 29.1%, 70세이상 35.9%로 50대이상의 고연령층에서 85.8%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세이상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2006년 29.8% → 2010년 35.9%로 증가했으며, 동 기간(2006년~2010년) 70대이상의 진료인원 증가율은 61.6%로, 50대 32.2%, 60대 28.0%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연도별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6~2010)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령별 점유율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세

미만

46

45

47

63

44

0.5%

0.5%

0.4%

0.5%

0.4%

30

27

32

31

21

16

18

15

32

23

20~29세

174

174

185

176

151

1.9%

1.8%

1.5%

1.4%

1.2%

95

95

108

101

87

79

79

77

75

64

30~39세

382

371

493

445

415

4.2%

3.9%

4.0%

3.5%

3.4%

240

230

286

254

244

142

141

207

191

171

40~49세

1,092

1,080

1,408

1,366

1,132

12.0%

11.4%

11.5%

10.8%

9.2%

642

652

799

737

676

450

428

609

629

456

50~59세

1,926

1,986

2,540

2,693

2,547

21.1%

20.9%

20.8%

21.2%

20.8%

1,084

1,091

1,354

1,405

1,441

842

895

1,186

1,288

1,106

60~69세

2,782

2,800

3,649

3,701

3,562

30.5%

29.5%

29.9%

29.2%

29.1%

1,658

1,658

1,997

2,083

2,103

1,124

1,142

1,652

1,618

1,459

70세이상

2,719

3,028

3,885

4,229

4,393

29.8%

31.9%

31.8%

33.4%

35.9%

1,552

1,749

2,044

2,237

2,394

1,167

1,279

1,841

1,992

1,999

              그림3.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연령별 진료인원(2006/2010년)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이란 이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말한다. ‘혈전색전증’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혈관에 혈전에 의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발병원인으로는 혈류의 느림, 응고 과다, 혈관 손상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색전증이 발생한 장기의 위치에 따라 동맥색전증, 정맥색전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동맥색전증의 경우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발생하므로 적절한 응급치료가 시행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거나 사지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혈전제거술,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응급수술을 통해 막힌 혈관을 뚫어주어 혈류를 신속히 정상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색전증은 생활습관에 따라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과식을 하지 않으며, 음주, 흡연 등을 삼가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히 과거 색전증이 발생한 적 있는 환자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고치지 않을 경우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교정이 필요하다.

과거 색전증은 동양인들에게 잘 발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등 혈전 발생요인이 늘어나면서 고연령의 색전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혈전 발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평소 자신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혈류가 원활하도록 적당한 휴식 및 스트레칭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심사평가원 오주형 심사위원은 말했다.

장건오 기자 kuno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