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서 지난 해 발표한 ‘2014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의 89.2%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9명은 여생을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앓으며 보낸다는 것이다. 노인들이 많이 앓는 만성질환을 살펴보면, 1위인 고혈압(56.7%)에 이어 관절염(33.4%)이 그 뒤를 차지했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관절염을 앓게 되면 활동에 바로 제약이 가해져 일차적으로 신체 건강은 물론 노년의 삶의 질과도 직결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격차 좁히려면 ‘관절 건강’ 더욱 신경 써야
실제로 최근에는 노년의 삶의 질을 우선으로 생각하여 ‘기대수명(앞으로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명)’ 보다도 ‘건강수명(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 없이 건강하게 산 수명)’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얼마나 ‘오래’ 사느냐 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느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4 고령자 통계’를 보면 고령자들이 겪는 어려움 중 가장 많은 응답률을 차지한 항목이 건강문제(65.2%)였다. 건강을 유지하지 못한 채 노년을 맞는 노인들 중 우울증을 겪는 사례가 심심찮게 발견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자살까지 생각하는 등 노년의 삶의 질에서 건강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해 먼저 신경 써야 할 것은 노년층의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것인데, 특히 퇴행성관절염은 나이가 들면 누구나 겪는 질환으로 여겨 무심코 참거나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관절염은 치료를 통해 증상 개선이 가능하므로, 지체 없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근육-힘줄 보존 최소절개 인공관절수술’과 빠른 재활, 고령 환자도 안전하게 수술 가능
퇴행성관절염은 연골 손상정도에 따라 치료를 시행한다. 무릎 연골 손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약물이나 주사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 상태가 나아지지 않거나 이미 퇴행성관절염이 중기 이상 진행됐다면 관절내시경 수술을 실시하며, 연골이 거의 닳아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말기에는 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인공관절수술은 제 기능을 잃어버린 관절을 새로운 인공관절로 대체해 통증을 없애고,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수술적 치료로, 웰튼병원의 ‘근육-힘줄 보존 최소절개 인공관절수술’은 절개 부위를 9~10cm 정도로 최소화하여 근육과 힘줄을 보존, 고령의 만성질환 환자도 안심하고 받을 수 있는 수술로 손꼽힌다. 절개 부위를 줄이고 근육과 힘줄을 최대한 보존한 수술기법은 출혈과 통증 감소는 물론 조기 재활과 빠른 일상복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수술 후 당일부터 보행연습을 하는 웰튼병원의 빠른 재활은 고령 환자들의 관절 기능향상에 최적화됐다는 평이다. 관절 주위 근력 약화를 막고, 수술 부위의 연부조직 유착을 막아 관절의 유연성과 굴곡 및 각도를 증가시키는 일련의 과정들은 건강하게 걷는 것에 대한 고령 환자들의 막연한 부담을 없애, 재활 속도에 탄력이 붙게끔 한다.
웰튼병원 송상호 병원장은 “적극적인 관절 관리는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좁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령 환자도 안심하고 수술 받을 수 있는 의료환경이 구축돼 있으므로, 관절 통증이 있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아닌지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