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 식중독예방 곳곳 허점 드러나

  • 등록 2016.03.31 09:19:31
크게보기

식약처, 전국 7,939 초.중.고 학교급식 점검, 위반업체 86곳(1.1%)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봄 신학기 학교 식중독 예방을 위하여 초·중·고 학교(6,402곳), 학교매점(502곳),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체(911곳) 등 총 7,939곳을 점검하고, 86곳(1.1%)을 적발하여 행정처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식품위생법 위반(초.중.고등학교) 내역

연번

업종

업소명

시도

시군구

위반유형

1

집단급식소

대현초등학교

서울

강남구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

집단급식소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웰스팜

서울

광진구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3

집단급식소

용산고등학교

서울

용산구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

집단급식소

용암초등학교

서울

용산구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

집단급식소

봉산초등학교

광주

광산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6

집단급식소

수완고등학교

광주

광산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7

집단급식소

신창고등학교

광주

광산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8

집단급식소

서일초등학교

광주

북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9

집단급식소

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

동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10

집단급식소

무거중학교

울산

남구

시설기준 위반

11

집단급식소

문수중학교

울산

남구

시설기준 위반

12

집단급식소

용연초등학교

울산

남구

시설기준 위반

13

집단급식소

월봉초등학교

울산

남구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14

집단급식소

월평초등학교

울산

남구

시설기준 위반

15

집단급식소

학성중학교

울산

남구

시설기준 위반

16

집단급식소

양지초등학교

울산

동구

시설기준 위반

17

집단급식소

화암중학교

울산

동구

시설기준 위반

18

집단급식소

동대초등학교

울산

북구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19

집단급식소

천곡중학교

울산

북구

보존식 미보관

20

집단급식소

명지초등학교

울산

울주군

시설기준 위반

21

집단급식소

반천초등학교

울산

울주군

시설기준 위반

22

집단급식소

성안중학교

울산

중구

기준규격 위반

23

집단급식소

울산중학교

울산

중구

시설기준 위반

24

집단급식소

중리초등학교

경기

포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5

집단급식소

보광초등학교

충북

괴산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6

집단급식소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전북

완주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7

집단급식소

유일여자고등학교 기숙사

전북

전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8

집단급식소

전주인후초등학교

전북

전주시

위생적취급기준위반

29

집단급식소

왕신여자고등학교

전북

정읍시

기준규격 위반

30

집단급식소

영산포초등학교

전남

나주시

시설기준위반

31

집단급식소

목포대연초등학교

전남

목포시

위생적취급기준위반

32

집단급식소

목포덕인고등학교

전남

목포시

시설기준위반

33

집단급식소

목포중앙초등학교

전남

목포시

시설기준위반

34

집단급식소

목포항도여중

전남

목포시

시설기준위반

35

집단급식소

여수서초등학교

전남

여수시

시설기준위반

36

집단급식소

영암독천초등학교

전남

영암군

시설기준위반

37

집단급식소

영암은광학교

전남

영암군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38

집단급식소

경북외국어고등학교

경북

구미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39

집단급식소

문경초등학교

경북

문경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0

집단급식소

창수초등학교

경북

영덕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1

집단급식소

영주남부초등학교

경북

영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2

집단급식소

영천고등학교

경북

영천시

시설기준위반

43

집단급식소

영천중앙초등학교

경북

영천시

표시기준위반

44

집단급식소

임고초등학교

경북

영천시

표시기준위반

45

집단급식소

기성초등학교

경북

울진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6

집단급식소

울진초등학교

경북

울진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7

집단급식소

평해초등학교

경북

울진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8

집단급식소

옥전초등학교

경북

의성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49

집단급식소

의성공업고등학교

경북

의성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0

집단급식소

점곡초등학교

경북

의성군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1

집단급식소

거제초등학교

경남

거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2

집단급식소

중앙고등학교

경남

거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3

집단급식소

칠천초등학교

경남

거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4

집단급식소

개양중학교

경남

진주시

보존식 미보관

55

집단급식소

경남체육고등학교

경남

진주시

시설기준 위반

56

집단급식소

문산초등학교

경남

진주시

보존식 미보관

57

집단급식소

봉곡초등학교

경남

진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58

집단급식소

사봉초등학교

경남

진주시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59

학교매점

대덕고등학교

대전

유성구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60

학교매점

전주한일고등학교

전북

전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61

학교매점

경구고등학교

경북

구미시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62

학교매점

영광여자고등학교

경북

영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63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공산농협직판장

서울

동대문구

시설기준 위반

64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유니푸드

서울

송파구

시설기준 위반

65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경남농산

울산

남구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66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서연유통

울산

남구

건강진단 미실시

67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풍산농협김치울산영업소

울산

중구

건강진단 미실시

68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해조음서울경기영업소

경기

광명시

시설기준 위반

69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케이에프에스

경기

안양시

시설기준 위반

70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드림푸드

충북

청주시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71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한국씨엔에프

충북

청주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72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서원종합유통

전북

김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73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곡성축산협동조합

전남

곡성군

건강진단 미실시

74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영산포농협하나로마트

전남

나주시

시설기준 위반

75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담양농협하나로마트

전남

담양군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76

식품제조가공업

마늘나라

대구

북구

표시기준 위반

77

식품제조가공업

해다올

인천

남동구

표시기준 위반

78

식품제조가공업

대성씨푸드

인천

서구

자가품질검사미실시

79

식품제조가공업

청화식품

광주

서구

표시기준 위반

80

식품제조가공업

스마일도시락

대전

대덕구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81

식품제조가공업

성우식품

경기

고양시

자가품질검사미실시

82

식품제조가공업

진양

경기

고양시

영업자준수사항위반

83

식품제조가공업

처가식품

경기

고양시

영업자준수사항위반

84

식품제조가공업

서부농산영농조합법인

충북

괴산군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85

식품제조가공업

샘초롱

경북

칠곡군

표시기준 위반

86

식품제조가공업

영농조합 무궁무진

제주

제주시

위생적 취급기준위반


이번 점검은 지난 3월 2일부터 3월 18일까지 교육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실시하였다.위반율은 ’14년 상반기(1.7%, 130개소/7,542개소) → ’15년 상반기(1.0%, 80개소/7,725개소) → ’16년 상반기(1.1%, 86개소/7,939개소)로 줄고 있다. 
 

위반내용은 ▲유통기한 경과제품 조리·판매 목적 보관(27곳) ▲조리장 방충망 파손 등 시설기준 위반(23곳) ▲위생모 미착용 등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18곳) ▲표시기준 위반(6곳) ▲건강진단 미실시(3곳) ▲기타(9곳) 등 86곳이다.


식약처는 앞으로 위반업체에 대해 집중 점검할 예정이라며, 재발방지 교육과 식중독예방 진단컨설팅 등도 병행하여 유사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건오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