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불편한 진실..70대 이상 노년층 진료인원 '껑충'

  • 등록 2016.04.17 12:24:09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 결과,80세 이상 노년층 10명 중 2명 90대는 3명 진료 받아.. 4년 새 국민 의료비도 7,630억원으로 급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치매(F00~03)'에 대해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5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46만명, 총진료비는 약 1조 6,285억원으로 2011년 대비 약 16만명, 7,630억원이 각각 증가하였다. 
 

전체 진료인원 중 70대 이상 노년층에서 진료인원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90대 이상은 전체 인구 10명 중 3명 이상이 ‘치매’ 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치매‘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1년 약 29만 5천명에서 2015년 약 45만 9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6만 4천명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11.7%였으며,총 진료비는 2011년 약 8,655억원에서 2015년 약 1조 6,285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7,630억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17.7%로 나타났다.


표1 . <치매> 성별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현황 (2011년~2015년)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진료인원

()

294,647

339,729

386,447

426,480

459,068

86,480

98,087

109,916

121,736

130,424

208,167

241,642

276,531

304,744

328,644

총 진료비

(천원)

865,522,904

1,047,663,714

1,247,850,618

1,465,039,464

1,628,536,484

214,954,234

254,255,937

299,460,124

349,383,318

380,962,264

650,568,670

793,407,777

948,390,494

1,115,656,146

1,247,574,220


‘치매’는 약 89%가 주로 70대 이상인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령구간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80대 42.8% > 70대 35.6% > 90세 이상 10.2% > 60대 8.7% 순이며, 특히 80대 연령구간은 전체 인구 10명 중 2명이, 90대 이상은 3명이 치매 진료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치매‘는 50세 미만 연령층에서도 진료인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소수이지만 젊은 층(전체 진료인원의 0.5%)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비교적 젊은 층에서는 퇴행성(알츠하이머 병에서의 치매) 이외에도 혈관손상 등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 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 <치매> 연령구간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1년~2015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

2012

2013

2014

2015

50세 미만

2,229

2,419

2,351

2,283

2,190

0.7%

0.7%

0.6%

0.5%

0.5%

1,293

1,325

1,311

1,281

1,182

1.4%

1.3%

1.1%

1.0%

0.9%

936

1,094

1,040

1,002

1,008

0.4%

0.4%

0.4%

0.3%

0.3%

50~ 59

9,292

10,094

10,340

11,029

10,689

3.0%

2.8%

2.6%

2.5%

2.2%

4,803

5,044

5,248

5,607

5,443

5.4%

4.9%

4.6%

4.4%

4.0%

4,489

5,050

5,092

5,422

5,246

2.1%

2.0%

1.8%

1.7%

1.5%

60~ 69

38,238

40,103

39,860

42,278

42,051

12.5%

11.3%

9.9%

9.4%

8.7%

16,118

16,854

16,875

18,196

18,507

18.0%

16.5%

14.7%

14.3%

13.6%

22,120

23,249

22,985

24,082

23,544

10.2%

9.2%

7.9%

7.5%

6.8%

70~79

118,296

136,781

153,504

166,775

171,217

38.7%

38.5%

38.0%

37.3%

35.6%

37,499

43,307

49,096

53,683

55,734

41.9%

42.3%

42.9%

42.2%

40.9%

80,797

93,474

104,408

113,092

115,483

37.3%

36.9%

36.1%

35.3%

33.4%

80~ 89

115,064

136,850

160,259

182,622

206,190

37.6%

38.5%

39.7%

40.8%

42.8%

25,940

30,758

35,674

41,373

47,092

29.0%

30.1%

31.2%

32.5%

34.6%

89,124

106,092

124,585

141,249

159,098

41.2%

41.9%

43.1%

44.1%

46.1%

90세 이상

22,786

29,126

37,491

42,458

49,070

7.4%

8.2%

9.3%

9.5%

10.2%

3,904

4,988

6,240

7,191

8,189

4.4%

4.9%

5.5%

5.6%

6.0%

18,882

24,138

31,251

35,267

40,881

8.7%

9.5%

10.8%

11.0%

11.8%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 내에서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치매’ 진료인원의 가장 많은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인 것으로 나타났다.‘알츠하이머병’은 5년 전에 비해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2015년에는 전체 진료인원 중 약 72%를 차지하였다.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F02)'의 원인은 뇌 질환, 대사성 질환 등이 있으며, ‘상세불명의 치매(F03)'의 원인은 중금속 오염물질, 알코올 등이 있을 수 있다.


표3. <치매> 세부상병별 진료인원 (2011년~2015년)

구 분

진 료 인 원 ()

2011

2012

2013

2014

2015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197,701

243,933

291,349

329,284

373,966

54,835

66,434

78,495

88,716

100,651

142,866

177,499

212,854

240,568

273,315

F01

혈관성 치매

43,966

47,157

47,602

51,419

52,858

15,484

16,646

16,772

18,374

18,996

28,482

30,511

30,830

33,045

33,862

F02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6,042

5,365

4,688

4,683

4,472

2,300

2,145

1,885

1,937

1,873

3,742

3,220

2,803

2,746

2,599

F03

상세불명의 치매

89,341

95,902

93,411

97,412

90,495

26,441

28,482

27,839

29,739

27,825

62,900

67,420

65,572

67,673

62,670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생기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며, 증상으로는 기억력, 언어능력 등의 인지기능이 저하되면서 일상생활이 어렵다. 관련 질병으로는 ‘알츠하이머병 ’, ‘혈관성 치매’, ‘파킨슨 증후군’ 등이 있다.


 ‘치매’의 ▲퇴행성(알츠하이머병 등) ▲혈관성 ▲뇌수두성 ▲중추신경계 감염▲대사성 장애▲독성상태(알코올, 중금속 오염 등) ▲외상 상태(경막하혈종 등) ▲만성염증 상태로 인한 치매 등 다양하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언어장애, 시간과 장소 혼동 등의 증상이 있으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으며, 즉시 전문의와 상담, 검진 등을 받도록 해야한다.
 

치매 검사는 ▲진찰 ▲혈액검사 ▲신경심리검사 ▲뇌 영상 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혈관성 치매의 경우 초기에 발견되면 다른 종류의 치매보다 호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 12월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16~’20)을 발표하여 “앞으로 치매정밀검진(CERAD-K, SNSB 등 신경인지검사) 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고, 중증 치매환자 가정에 요양보호사가 24시간 상주하는 방문요양서비스가 제공(1년 6일 이내)되며, 치매가족상담 및 치매전문병동 운영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가 신설된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 한창환 전문심사위원은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매예방수칙 3‧3‧3’을 실천하여 규칙적인 운동, 독서 등을 통해 뇌를 사용하고 음주, 흡연 등을 멀리 해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조기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