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사망자가 900명에 이르는 자궁경부암이 다른 암에 비해 젊은 여성에게서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는 자료가 발표돼 경종을 울리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 자궁경부암으로 진료받은 진료인원은 2015년 기준 약 5만5000명이었으며, 연평균 진료인원은 약 5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856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7.0%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집계되었다.
더불어 자궁경부암 진료인원 대부분은 30세 이상으로 2015년 기준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40대가 27.7%, 50대 25.0%, 30대 19.9%, 60대 14.5% 순으로 나타났으며, 30세 미만도 매년 2000명 이상 진료를 받는 것으로 분석돼 주의가 필요하다.
자궁경부암은 자궁 경부(입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이 주된 원인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질 출혈, 분비물 증가 등이 있다. 시간이 경과해 병이 진행되면 혈뇨가 나올 수도 있으며, 자궁 경부뿐만 아니라 주위 장기에 번지면서 허리가 아프거나 다리로 통증이 퍼져 나가는 증상을 보인다.
자궁경부암은 예방접종을 통해서 예방이 가능한데, 자궁경부암의 주된 발생원인인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중 16, 18형이 70% 정도를 차지해 이는 예방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하지만 자궁경부암 백신이 모든 유형의 HPV에 의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지속적인 정기검진을 통해 자궁경부암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검진은 국가 암 검진 대상에 포함되어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고, 올해부터는 대상 연령이 확대돼 20세 이상 여성은 2년 주기로 받을 수 있다
조은여성의원(구리소재) 조영열원장은 “자궁경부암은 조기 검진 시 완치율이 높은 편이므로 정기검진이 필수적이다. 암이 되기 이전 단계인 '전암 단계'가 7~20년까지이므로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다면 조기 진단이 가능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하며, “오는 6월 중순부터 보건복지부에서 2003.1.1.~2004.12.31.사이 출생한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6개월 간격으로 두 번 무료 지원할 예정 이여서 젊은 여성들의 자궁경부암 예방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