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랜베리, 요로감염증의 일반적 치료제인 항생제 사용 감소에 도움

  • 등록 2016.06.15 10:10:03
크게보기

매일 크랜베리 주스 240mL 섭취 재발성 요로감염을 앓고 있는 여성들의 증상성 요로감염 증상을 40% 가량 감소시켜준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미국 임상영양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게재되었다. 이를 통해 크랜베리가 요로감염증 치료제로 알려진 항생제를 대체할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방광염 요로감염증은 여성들이 흔히 겪는 감염 하나로 발병 치료를 위해 항생제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 2015 국내 방광염 환자는 160 명에 이르렀고, 94% 여성이다.

보스턴약학대학 감염 질환 전문의인 칼파나 굽타 박사(Dr. Kalpana Gupta, the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and Professor of Medicine at Boston University’s School of Medicine)요로감염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를 지속해서 사용하는데, 경우 부작용과 내성이 생기기 마련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졌듯이, 크랜베리 주스 섭취가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도움이 되고, 요로감염증 증상으로 고통 받는 여성들의 삶의 향상에도 도움이 있다 설명했다.

보스턴 대학교와 메리유 뉴트리사이언스(Merieux Nutrisciences) 연구기구인 바이오포티스 이노베이션 서비스(Biofortis Innovation Services) 공동 연구팀은 미국과 프랑스 18 지역에서 최근 요로감염의 경력이 있는 20대에서 70 여성 373명을 그룹으로 나눠, 그룹에는 매일 240mL 크랜베리 주스를, 다른 그룹은 크랜베리가 들어 있지 않은 다름 음료를 24주간 제공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크랜베리가 요로 건강 만성 요로 감염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한 한편, 지난 50년간 축적돼온 크랜베리 임상 연구를 더욱 강화해 준다.

크랜베리 주스의 요로감염 재발 예방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현재는 건강하지만 지난 1 동안 차례 이상 요로감염 증상을 겪었던 평균 40 대의 건강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는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은 매일 240mL 크랜베리 주스가, 다른 그룹은 크랜베리가 아닌 대체 음료가 제공됐다. 결과, 6개월간 크랜베리 주스를 섭취한 그룹의 요로감염증 재발 환자는 39명으로 대체 음료를 섭취한 비교군의 67명에 비해 현저히 감소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참가자 개개인의 요로감염증 발생률를 분석해 감염 경향을 파악하고, 높은 실험 규정 준수율(98%), 그리고 비교적 많은 인원이 치료 기간을 끝까지 참여한 (86%) 등을 고려 기존 관련 연구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

증상성 요로감염증을 앓고 있는 여성은 여러 불편한 증상들을 경험하는데, 요로감염 환자 중에는 박테리아 감염에 양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요로감염 환자들은 박테리아 발견 여부와 상관없이 증상 완화를 위해 항생제를 처방 받고 있어항생제 내성문제가 발생할 있다.

과도한 항생제 사용은 특히 국내에서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은 OECD 국가 평균 대비 항생제 사용률이 50% 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지나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이 생긴 비율도 지난 7년간 3 이상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과도한 항생제 사용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바로 항생제 내성을 유발해 기존 치료제가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의 지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광염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항생제의 내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방광염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퀴놀론계 항생제의 내성 또한 2002 15%에서 2006 23%, 2008 28%까지 증가했다고 한다.

크랜베리에는 세균 유착 감염을 방지하는 A타입 프로안토시아니딘(Type-A PACs) 성분 외에도 대장균의 항생제 역할을 하는 크실로글루칸 올리고당류(xyloglucan oligosaccharides) 특별한 효능을 가진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있다.

장건오 기자 kuno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