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외품시장 큰폭 성장했다고? ..일반약서 외품 전환 '박카스' 전체 시장 10% 이상 차지 '왜곡 우려'

  • 등록 2016.06.22 10:07:17
크게보기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해 대비 12% 증가 메르스,황사 영향 마스크, 손소독제 등 보건위생관련 품목 성장세 뚜렷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이 1조 8,562억원으로 '14년(1조 6,57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생산실적: 1조 2,816억원('11년)→ 1조 3,204억원('12년)→ 1조 5,451억원('13년)→ 1조 6,579억원('14년)→ 1조 8,562억원('15년).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 대기 중 황사·미세먼지 증가 등으로 보건위생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약제, 보건용 마스크 등의 생산실적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  ▲보건위생, 콘택트렌즈관리용품 관련 제품 큰 폭 상승 ▲치약제, 생리대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생산실적 1위 업체, 품목 전년과 동일 등이다.


-상위 30위 생산품목 현황
                                                                                                                            (단위 : 억원, %)

순위

업체명

제품명

금액

비중

품목군

1

동아제약

박카스디액

1,664

9

내복용제제

2

엘지생활건강

페리오캐비티케어플러스치약

752

4

치약제

3

()아모레퍼시픽

메디안어드밴스드타타르솔루션 치약맥스

706

4

치약제

4

동아제약

박카스에프액

536

3

내복용제제

5

()아모레퍼시픽

려화윤생뿌리볼륨에센스액

516

3

탈모방지제

6

엘지생활건강

죽염 영지백고 치약

364

2

치약제

7

동아제약

가그린레귤러액

302

2

구중청량제

8

엘지생활건강

페리오 토탈7 오리지널플러스 치약

293

2

치약제

9

()아모레퍼시픽

메디안후레쉬마린치약

250

1

치약제

10

()아모레퍼시픽

()송염우리아이치아에좋은치약(감귤향)

244

1

치약제

11

()아모레퍼시픽

려홍진단진결모샴푸액

203

1

탈모방지제

12

()아모레퍼시픽

메디안쿨앤치약

193

1

치약제

13

엘지생활건강

46센티미터 티엠 화이트나우

민트 치약

169

1

치약제

14

()유니버셜

아이미액(20%염산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드)

169

1

콘택트렌즈관리용품

15

엘지생활건강

리엔보양진민감성오리엔탈샴푸

162

1

탈모방지제

16

한국콜마

애터미치약

156

1

치약제

17

동화약품()

까스활액

148

1

내복용제제

18

엘지생활건강

리엔 모강비책 민감성 두피샴푸

140

1

탈모방지제

19

경남제약()

레모나산

139

1

내복용제제

20

()아모레퍼시픽

아윤채스칼프리밸런싱트리트먼트

138

1

탈모방지제

21

엘지생활건강

파이브데이즈 워터링민트 에센스 치약

124

1

치약제

22

엘지생활건강

페리오 46센티미터 시트러스치약

119

1

치약제

23

애경산업

덴탈크리닉2080오리지날알파블루치약

112

1

치약제

24

엘지생활건강

죽염 잇몸고 치약

106

1

치약제

25

애경산업

덴탈크리닉2080오리지날알파그린치약

106

1

치약제

26

깨끗한나라()

릴리안순수한면울트라중형날개형

99

1

생리대

27

유한킴벌리

코텍스좋은느낌2울트라중형날개형에이

96

1

생리대

28

애경산업

덴탈크리닉2080케이치약 스트롱윈터그린

93

1

치약제

29

엘지생활건강

죽염 청출어람 치약

89

0

치약제

30

애경산업

2080어드밴스블루치약

82

0

치약제

합 계

8,270

45

 


〈 보건위생, 콘택트렌즈관리용품 관련 제품 큰 폭 상승 〉
보건위생 관련 제품 중 마스크는 90억원에서 190억원으로 111%나 증가했고, 손소독제 등 외용소독제는 166억원에서 339억원으로 104%,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도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100%로 급증했다.
 

이러한 증가세는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증가,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으로 위생관리 중요성이 높아지고 국민관심이 증가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콘택트렌즈 제외) 생산실적은 '15년 259억원으로 ‘14년(84억) 대비 3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입제품이 국내 생산제품으로 일부 대체되었고 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은 젊은 층의 콘택트렌즈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상위 30위 생산업체 현황

                                                                                                                             (단위 : 억원, %)

순위

업체명

’14

’15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총계

16,579

100

18,562

100

소계(상위 30)

13,671

82.46

15,398

82.95

1

()아모레퍼시픽

3,327

20.07

3,317

17.87

2

엘지생활건강

2,431

14.66

2,809

15.13

3

동아제약

2,651

15.99

2,801

15.09

4

유한킴벌리

1,202

7.25

1,216

6.55

5

애경산업

285

1.72

996

5.37

6

깨끗한나라

501

3.02

550

2.96

7

엘지유니참

408

2.46

492

2.65

8

동성제약

311

1.88

301

1.62

9

한국피앤지유한회사

129

0.78

285

1.54

10

한국콜마

166

1.00

237

1.28

11

헨켈홈케어코리아

354

2.14

236

1.27

12

경남제약()

198

1.19

226

1.22

13

()유니버셜

1

0.01

193

1.04

14

부광약품

155

0.93

181

0.98

15

세화피앤씨

161

0.97

178

0.96

16

동화약품

39

0.24

157

0.85

17

소망화장품

152

0.92

135

0.73

18

지에스켐

131

0.79

119

0.64

19

원바이오젠

72

0.43

99

0.53

20

신신제약

98

0.59

94

0.51

21

()웰코스

85

0.51

84

0.45

22

금호덴탈제약

69

0.42

83

0.45

23

두리화장품

257

1.55

81

0.44

24

한국쓰리엠

69

0.42

80

0.43

25

()영케미칼

91

0.55

80

0.43

26

()웰크론헬스케어

79

0.48

80

0.43

27

고려은단()

46

0.28

76

0.41

28

국보싸이언스

67

0.40

75

0.40

29

중외제약

90

0.54

73

0.39

30

()장정

46

0.28

64

0.34



〈 치약제, 생리대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
생활 속에 많이 사용되는 치약제, 생리대, 내복용 제품, 염모제, 탈모방지제 등 5개 품목군의 생산실적은 1조 4,735억원으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전체 생산실적의 80%를 차지했다.
 

특히, 치약제는 ’14년(4,281억원)에 비해 29.5%나 증가한 5,545억원(‘15년)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29.9%를 차지하였으며, 생리대 2,739억원(14.8%), 내복용제제 2,729억원(14.70%), 염모제 2,227억원(12.0%), 탈모방지제 1,495억원(8.1%)가 뒤를 이었다.


〈 생산실적 1위 업체, 품목 전년과 동일 〉
생산실적 4위 내에 있는 업체는 ‘13년 이후 변동이 없는 가운데 (주)아모레퍼시픽(3,317억원), 엘지생활건강(2,809억원), 동아제약(주) (2,801억원), 유한킴벌리(1,216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업체의 생산실적은 전체 생산실적의 55%에 달했다.

  -연도별 수입실적

                                                                                                       (단위: 개소, 억원, 백만달러, %)

구분

업체수

업체수

증감률

품목수

품목수

증감률

수입금액

전년대비 성장률

적용환율

()

억원

백만$

2011

167

6

1,867

16

1,455

131.3

16

1,107.99

2012

172

3

1,843

-1

1,714

152.2

18

1,126.76

2013

182

6

2,129

16

1,705

155.7

-1

1,095.04

2014

184

1

2,281

7

1,748

166.0

3

1,053.12

2015

194

5

2,542

11

2,043

180.6

17

1,131.52


국내 생산실적 1위 품목은 ‘14년과 동일하게 동아제약(주) ‘박카스디액’(1,664억원)이었으며, ‘페리오캐비티케어플러스치약’(752억원), ‘메디안어드밴스드타타르솔루션치약맥스’(706억원), 박카스에프액(536억원)가 뒤를 이었다.


 -품목군별 수입실적

 

(단위: 1,000US$, %)

구분

품목

14

15

전년대비 증감율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합계

166,005

100.00

180,575

100.00

9

1

붕대, 반창고등 위생용품, 이와 유사물품

39,659

23.89

40,805

22.60

3

2

염모제(탈색, 탈염포함)

32,247

19.43

38,081

21.09

18

3

생리대

29,836

17.97

29,067

16.10

-3

4

치약제

19,111

11.51

26,862

14.88

41

5

콘택트렌즈관리용품

14,793

8.91

14,191

7.86

-4

6

구중청량제

12,198

7.35

12,168

6.74

-0

7

가정용 살충제

4,495

2.71

4,370

2.42

-3

8

구강위생등에 사용하는 제제

2,985

1.80

3,272

1.81

10

9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외용소독제

2,187

1.32

2,786

1.54

27

10

마스크

1,533

0.92

2,399

1.33

56

11

액취방지제

2,051

1.24

1,928

1.07

-6

12

탈모방지제

1,958

1.18

1,404

0.78

-28

13

방역용 제제(살충, 살서제)

293

0.18

745

0.41

154

14

제모제

691

0.42

738

0.41

7

15

욕용제

689

0.42

549

0.30

-20

16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

431

0.26

399

0.22

-7

17

땀띠.짓무름용제

262

0.16

391

0.22

49

18

금연보조제

50

0.03

377

0.21

654

19

내복용제제

35

0.02

44

0.02

26

20

연고제, 카타플라스마제,

스프레이파스

501

0.30

0

0.00

-100


지난 ‘11년에 일반의약품에서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박카스에프액’과 ‘박카스디액’ 전체 생산액은 2,200억원으로 의약외품 생산의 1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30위 수입품목

(단위: 1,000US$, %)

순위

업체명

제품명

수입금액

비중

품목

1

한국피앤지판매

위스퍼소프트클린슬림날개형슈퍼롱오버나이트-

7,061

4

생리대

2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

리스테린액

(내추럴시트러스)

6,800

4

구중청량제

3

한국암웨이

글리스터르미낙트플로라이드치약

6,768

4

치약제

4

한국암웨이

글리스터멀티액션플로라이드치약

5,026

3

치약제

5

바슈롬코리아

리뉴후레쉬용액

4,780

3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6

대한위재상사

대한위재거즈-에스

4,096

2

거즈

7

한국알콘

옵티프리익스프레스액

3,909

2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8

장성

장성거즈3

2,816

2

거즈

9

글락소스미스클라인

폴리덴트 5분 클리닝정

2,812

2

의치세정제

10

해피콜

퀸즈헤나레드(헨나엽가루)

2,209

1

염모제

11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

리스테린 내추럴그린티

2,153

1

구중청량제

12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센소다인후레쉬치약

2,048

1

치약제

13

대한위재상사

대한위재탄력붕대-에스

2,038

1

탄력붕대

14

수성위생재료공업사

수성거즈에스3

1,962

1

거즈

15

한국피앤지판매

위스퍼소프트클린슬림윙리프레쉬슈퍼롱오버나이트-

1,775

1

생리대

16

한국쓰리엠

테가덤

1,651

1

반창고

17

중원

뉴시크릿데이러브울트라슬림중형

1,527

1

생리대

18

엘지생활건강

페리오뉴후레쉬알파치약

1,505

1

치약제

19

실란트로

덴티스테플러스화이트치약(이산화규소)

1,482

1

치약제

20

유한킴벌리

코텍스화이트탐폰레귤러

1,409

1

탐폰

21

일동제약

케어리브(멸균반창고)

(1회용)

1,320

1

반창고

22

헨켈홈케어코리아

홈키파씨모기향(-시스/트란스알레트린)

1,308

1

가정용살충제

23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에이피24화이트닝플로라이드치약

1,264

1

치약제

24

한국쓰리엠

듀러포서지칼테이프

1,228

1

반창고

25

에스씨존슨코리아

에프킬라티모기향

(일반형)

1,220

1

가정용살충제

26

아모레퍼시픽

미쟝센쉽고빠른거품염색캔2(흑색)

1,210

1

염모제

27

동아제약

비겐크림톤6G

1,186

1

염모제

28

더블류네트웍스

벨레다어린이치약

(덴탈타입실리카)

1,181

1

치약제

29

아모레퍼시픽

미쟝센쉽고빠른거품염색캔3(흑갈색)

1,165

1

염모제

30

바슈롬코리아

바이오트루다목적용액

1,113

1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합 계

76,022

42

 


무역흑자 규모는 '15년 1,255억원으로 `14년(1,991억원) 대비 37% 감소하였는데, 이는 수출은 감소한 반면 치약제, 마스크 등 위생관련 용품, 금연보조제 등의 수입이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무역수지: 1,962억원('11년)→ 1,823억원('12년)→ 2,486억원('13년)→ 1,991억원('14년)→ 1,255억원('15년).


-상위 30위 수입업체 현황

순위

수 입 자

’14

’15

수입금액

비중

수입금액

비중

총계

166,005

100

180,575

100

소계(상위 30)

121,868

67.49

138,728

76.83

1

한국암웨이

11,526

6.94

14,795

8.19

2

한국피앤지판매

12,898

7.77

13,008

7.20

3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

10,934

6.59

10,552

5.84

4

대한위재상사

9,301

5.60

9,152

5.07

5

글락소스미스클라인

7,181

4.33

7,438

4.12

6

바슈롬코리아

6,754

4.07

6,874

3.81

7

에스라

6,692

4.03

6,818

3.78

8

에스피더불유코리아

6,917

4.17

5,911

3.27

9

한국쓰리엠

5,325

3.21

5,264

2.92

10

아모레퍼시픽

0

-

5,195

2.88

11

한국알콘

5,768

3.47

5,093

2.82

12

장성

3,808

2.29

4,494

2.49

13

수성위생재료공업사

3,765

2.27

4,224

2.34

14

중원

0

-

3,846

2.13

15

동아제약

4,723

2.85

3,264

1.81

16

해피콜

2,592

1.56

2,827

1.57

17

헨켈코리아

1,241

0.75

2,812

1.56

18

엘오케이

2,954

1.78

2,811

1.56

19

새한화장품

1,849

1.11

2,486

1.38

20

엘지생활건강

243

0.15

2,404

1.33

21

파나메딕

2,407

1.45

2,345

1.30

22

에스씨존슨코리아

2,156

1.30

2,197

1.22

23

유한킴벌리

1,782

1.07

2,184

1.21

24

허브데이

1,517

0.91

2,008

1.11

25

실란트로

1,493

0.90

1,828

1.01

26

씨엔비코퍼레이션

1,888

1.14

1,827

1.01

27

바이어스도르프코리아

1,956

1.18

1,820

1.01

28

일동제약

1,499

0.90

1,810

1.00

29

유한양행

892

0.54

1,757

0.97

30

나음케어

1,807

1.09

1,684

0.93

손문기 식약처장은 “신종 감염병 발생 증가 등 사회 환경 변화로 의약외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의약외품 안전기준은 강화하고 안전과 무관한 규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건오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