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 의료비 지원 절실

  • 등록 2016.08.18 11:21:50
크게보기

NICU 퇴원 후 이른둥이 가정 12.6%, 28주 미만 이른둥이 가정은 21.7%가 의료비로 1천만원 이상 지출

저출산 고령화 만혼과 고령 산모 증가에 따라 다태아와 이른둥이 출생이 증가하는 가운데, 이른둥이를 낳은 경험이 있는 국내 이른둥이(미숙아) 부모 중 62%가 추가 출산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이른둥이 재출산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았고(32.3%) 치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27.4%), 태어난 이른둥이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14.7%)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이는 2012년 조사 결과 나타난 추가 출산 기피율(44%)에 비해 무려 18%가 증가한 수치로[1], 결국 신생아중환자실(NICU: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퇴원 후에도 지속되는 잦은 입원과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추가 출산에 대한 의욕을 저하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대한신생아학회(회장 김병일/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가 2016년 6월~7월 전국 주요병원 1007명의 이른둥이 부모를 대상으로 <이른둥이 가정의 의료비 부담 및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른둥이 평균 10가정 중 1가정(12.6%)은 자녀의 NICU 퇴원 후 입원, 진료, 재활, 예방접종 등의 의료비로 1천만원 이상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은 13%, 2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은 24.9%였다. 이 중 재태기간이 적은 28주 미만 이른둥이는 1,000만원 이상이 21.7%로 다른 이른둥이 가정보다 상대적으로 의료비 부담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이른둥이 가정은 전체에서 3인 가정이 44.4%로 가장 많았으며, 60.6%는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대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480만원(3인 가구 기준)으로, 이른둥이 가정의 수입과 치료를 위해 상급종합병원 이용이 잦은 이른둥이 특성 상 지속 지출해야만 하는 의료비를 감안하면 이른둥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은 심각한 상황이다.


-이른둥이 4명 중 1명은 NICU 퇴원 후에도 재입원, 재입원ㆍ응급실 주요 원인은 호흡기 질환


이른둥이는 만삭아와 달리 신체가 완전히 발달되지 않은 채 태어나 면역 기능이 떨어져 감염 등으로 잦은 상급종합병원 방문과 입원, 재활치료 등 생후 2-3년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조사 결과 이른둥이 4명 중 약 1명 꼴인 24.6%가 NICU 퇴원 이후 재입원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입원 시 입원 일수로는 7일 이내가 39%로 가장 많았고, 7~14일이 24.1%, 30일 이상 재입원한 비율도 18.9%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재입원 원인은 호흡기 감염(37.7%)이었으며, 이 외 수술(18.1%), 호흡기 외 감염(14.5%), 성장부진 및 영양 문제(3.9%)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 해 이른둥이 부모 조사에서도 이른둥이 출생 후 호발 질환으로 호흡기 관련 질환이 59.9%로 조사된 바 있다.


특히, 이른둥이들은 일찍 태어나 폐 성숙이 덜 되어 태어나는 경우가 많아 호흡기 질환에 취약하다 보니 응급실을 찾는 원인으로도 호흡기 질환이 42.4% 차지했다. 이와 관련 이른둥이 부모들이 자녀 미래를 위해 가장 걱정하는 것으로도 만성호흡기 질환에 대한 염려가 20%를 차지해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신체적 발달이 뒤쳐지는 것을 염려(63%)하는 것에 뒤를 이었다.


 

또한 NICU 퇴원 후에도 종합병원에서 다양한 진료과를 자주 방문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로 방문하는 진료과는 소아청소년과(35.7%)에 이어 안과(27.3%), 재활의학과(18.4%), 이비인후과(7.9%), 외과계(6%)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2013년 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회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이른둥이는 NICU 퇴원 후 1년간 평균 27회 외래를 방문하는 것으로 보고됐다[2].


-끊임없이 치료비에 쫓기는 이른둥이 부모, NICU 퇴원 후 정부의 지원 절실


NICU 퇴원 후 의료비 지출 현황으로는 입원ㆍ수술비와 외래진료비, 미숙아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 접종비, 보조장비 이용의 지출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듯 NICU 퇴원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심리적, 경제적 부담에 시달려야만 하는 이른둥이 부모들이 정부 지원으로 가장 절실히 바라는 부분은 의료비 부담 경감(61.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상대적으로 건강이 취약하고 의료비 부담이 더 큰 재태연령이 낮은(34주 미만) 이른둥이 가정은 의료부담 경감(62.3%)에 이어 재입원ㆍ응급실 비용(10.5%), 이른둥이 바이러스 예방 주사(10.2%), 재활 치료비(7.6%) 등의 지원을 꼽았다.


대한신생아학회 김병일(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회장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적 위기를 두고 최근 정부의 저출산 고령화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정작 점차 늘어가는 이른둥이들이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에도 계속되는 지출로 부담이 큰 의료비 지원이나 경감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상태다”고 전하며, “이른둥이는 출생 후 2년간 적극적 치료와 보살핌으로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해 저출산 해법이자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기에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김영숙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