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유전자치료·조직공학 등 재생의료분야.....미래 유망기술산업 연구 개발 강화

  • 등록 2017.02.26 18:07:47
크게보기

1단계(’08~18) 재생의료 R&D 제품화 2건, 기술이전 11건 등 가시적 성과 속 보건복지부,2단계 확대계획 수립

첨단재생의료 연구가 가시적 성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바탕으로 2단계 확대계획 수립된다.지난 10년간 재생의료 분야 연구에 182개 과제 1,856억원을 지원하여, 2개 제품의 시판허가 및 14건 국내외 임상시험, 총 2천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11건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줄기세포·유전자치료·조직공학 등 재생의료분야에 대해 그간의 연구결과를 평가하고, 향후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술 이전내역(2천억원 대 규모의 국내외 기술이전 11건)

과 제 명

시행기관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확립 및 다계통 위축증 질환 모델 이식을 통한 치료 효능 규명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루푸스 신염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골수유래중간엽줄기세포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제1상 임상시험

코아스템

뇌종양 치료목적의 유전자세포치료제 개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성 족부궤양치료제 ALLO-ASC-DFU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제 1상 임상시험

안트로젠

윤부유래상피세포판을 이용한 각막상피 재생 효능 분석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개념 줄기세포클러스터를 이용한 말초동맥폐색질환 치료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골수 조혈줄기세포 니쉬 조절을 통한 항암치료 부작용 극복 및 치료제 개발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아줄기세포유래 중배엽줄기세포치료제 상용화를 위한 비임상시험

서울대학교병원

배아줄기세포유래 중배엽줄기세포치료제 상용화를 위한 비임상시험

서울대학교병원

다양한 역분화 신경줄기세포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신경질환의 치료효능 평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유래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세포치료제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그간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뉴로나타-알, 큐피스템 2종의 제품(지원액 14.4억원)이 임상시험 및 판매가 허가되었으며,또한, 다수의 원천기술 및 기반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희귀난치질환에 대한 효과적 치료방법 후보를 발굴하였다.

-국내 12건, 해외 2건 임상시험 수행< 국내 임상시험 진행 치료제 >
 

단계

개발 치료제

연구기관

임상

1

루푸스 치료제(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

한양대학교

뇌졸중 치료제(Cordstem-ST)

차의과학대학교

중증하지허혈 질환 치료제(Cellgram-CLI)

가천대학교

판상형 건선 치료제(퓨어스템-시디주)

가톨릭대학교

난치성 발기부전 치료제(Cellgram-ED)

서울아산병원

다계통위축증에서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의 상용화를 위한 허가용 비임상 연구

연세대학교

휴먼 콜라겐,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직재생용 줄기세포치료제

차의과대학교

임상

1/2a

발목관절 골연골 손상의 재생치료제(카티스템)

삼성서울병원

중간엽 줄기세포의 TGFβ 수용체 선별을 통한 추간판 및 관절연골 재생 치료법 개발

차의과학대학교

지방유래 줄기세포와 히알루론산 지지체를 이용한 퇴행성 요추 추간판 세포치료제 개발

분당차병원

임상

2

크론성 누공 치료제(ALLO-ASC)

안트로젠

당뇨병성족부궤양치료제(ALLO-ASC-DFU)

안트로젠


성균관대학교 백용한 교수팀은 일반 체세포를 간세포로 바꾸는 기술(직분화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 효과적인 치료책이 없는 간경변증의 치료에 중요한 진전을 보였다.


-해외임상시험치료제

국가

임상 단계

개발 치료제

시행기관

미국

임상1/2a상 진행중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제(뉴모스템)

메디포스트

비임상 추가진행 및 자료준비

알츠하이머형 치매치료제(뉴로스템)


서울대학교 김병수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심장 근육세포로 바꾸는 특수 장비를 개발, 심근경색으로 인해 파괴된 심장 근육세포를 복구하는 기반기술을 개발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김한수 교수팀은 편도선절제술을 통해 버려지는 편도선 조직에서 줄기세포를 추출, 부갑상선* 세포로 바꾸어 체내에 삽입하는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타 국가연구개발 분야에 비해 월등한 수의 논문 및 특허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재생의료 분야 신기술 개발이 그만큼 활발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연구비 10억원당 논문 3.6편, 특허 2.3건타 국가연구개발 분야 : 10억원당 논문 1편, 특허 1.8건)
 

보건복지부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운영되한 1단계 연구개발 지원 사업에 이어 2단계 사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단계 사업의 목표 및 방향성을 논의하는 작업에 나섰다.


이를 위해 「2단계 재생의료지원사업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향후 재생의료 분야 기술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연구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기획위원회는 세포치료기술, 유전자치료기술, 조직공학치료기술, 재생 의료기반기술 등 4개 분과 40명 규모의 산·학·연·병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


보건복지부는 2월 27일(월) 「2단계 첨단재생의료 R&D 연구기획 워크숍」을 개최, 향후 5년간 재생의료 분야 연구개발 방향을 논의하고,2017년 상반기 동안 토론을 거쳐 도출된 연구과제는 예비타당성 조사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2019년부터 시행된다.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그간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혁신 노력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향후 미래 유망기술산업인 첨단 재생의료 분야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앞으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