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2016년 12월 8일 발령하였던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6월 2일(금)부터 해제한다고 밝혔다.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결과 의사환자수(유사증상환자)*는 제19주 (5.7~5.13) 6.8명(외래환자 1,000명당), 제20주(5.14~5.20) 7.6명, 제21주(5.21~5.27) 6.7명으로 3주 연속 유행기준(8.9명)보다 낮았다.
      
질병관리본부는 유행해제 결정은 의사환자수가 3월 이후 3주 연속 유행기준이하일 경우 인플루엔자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결정하고 있으며, 5월 31일 자문결과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6월 2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는 2015-2016 절기에 비하여 정점이 빠르고 높게 왔으나 3~4월의 봄철 인플루엔자 발생수준은 낮았다.
2016-2017절기의 정점은 52주(12.18~12.24) 86.2명으로 지난 절기의 정점인 7주(2.6~2.13) 53.8명보다 시기가 빨랐으며 의사환자분율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3~4월 봄철 유행의 경우 지난 절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주(Week)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015-2016절기  | 30.1  | 30.5  | 32.0  | 28.3  | 21.1  | 15.4  | 11.8  | 7.7  | 6.3  | 5.0  | 
2016-2017절기  | 13.1  | 13.7  | 16.7  | 15.8  | 14.5  | 13.3  | 9.5  | 6.8  | 7.6  | 6.7  |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인플루엔자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임(200개 기관 참여)  | ||||||||||
 유행주의보 발령시점은 지난절기에 비해 한 달 빨랐으나 종료시점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절기  | 유행기준 (/1,000명)  | 유행주의보 발령 시점 (ILI/1,000명)  | 유행주의보 해제 시점(ILI)  | 정점(ILI/1,000명)  | |
1차  | 2차  | ||||
2016-2017  | 8.9  | 2016.12.8.(13.5)  | 2017.6.2.(6.7)  | 86.2(52주)  | -  | 
2015-2016  | 11.3  | 2016.1.4(12.3)  | 2016.5.27.(5.9)  | 53.8(7주)  | -  | 
2014-2015  | 12.2  | 2015.1.22(14.0)  | 2015.5.21(6.2)  | 45.5(8주)  | 35.6(12주)  | 
2013-2014  | 12.1  | 2014.1.2(15.3)  | 2014.5.1(6.4)  | 64.3(7주)  | -  | 
2012-2013  | 4.0  | 2013.1.17(4.8)  | 2013.5.27(2.8)  | 12.7(9주)  | -  | 
2011-2012  | 3.8  | 2012.1.5(4.7)  | 2012.5.25(2.8)  | 23.1(6주)  | 20.3(13주)  | 
2010-2011  | 2.9  | 2010.10.1(4.48)  | 미실시  | 23.89(52주)  | -  | 
2009-2010  | 2.6  | [A(H1N1)pdm09 발생]  | 미실시  | 44.96(45주)  | 20.45(15주)  | 
65세 이상에서 의사환자수가 다른 연령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무료예방접종사업을 국가에서 시행함에 따라 해당 연령층에서 인플루엔자 발병이 다소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