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06년부터 전국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KONIS)*를 운영한 결과, 지난 10년간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 발생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2006년~2011년과 2012년~2016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000 재원일수 당 총 감염률,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모두 감소하였다.
총 감염률은 7.21(2006년∼2011년)에서 3.40(2012년∼2016년)으로 감소되었고, 요로감염은 3.82에서 1.07로, 혈류감염은 1.99에서 1.42로, 폐렴은 1.41에서 0.91로 감소하였다.
삽입기구관련 감염률 또한 1,000 기구 일수 당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모두 감소하였다.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4.41(2006년∼2011년)에서 1.26(2012년∼2016년)으로 감소하였고,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3.11에서 2.40으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2.11에서 1.38로 감소하였다.
의료관련감염 발생과 밀접한 것으로 알려진 기구사용비는 분석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도뇨관 사용비의 경우 0.85(2006년~2011년)에서 0.83(2012~2016년)으로 감소하였고, 중심정맥관 사용비는 0.55에서 0.51로 감소하였지만, 인공호흡기 사용비는 두 기간 0.40으로 동일하였다.
<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 발생률 및 기구사용비 >
| 연도 | 요로감염 | 혈류감염 | 폐렴 |
감염률 | 2006-2011 | 3.82 | 1.99 | 1.41 |
2012-2016 | 1.07 | 1.42 | 0.91 | |
|
노재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