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국내 유통 중인 축·수산물의 항생제내성균들이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환경부, 농림부 등 범 정부차원의「국가항생제내성 안전관리사업」(‘03~’12) 일환으로, 매년 전국 유통 축·수산물에 대한 항생제내성균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해마다 축산물 등의 항생제내성균에 대한 국가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 중에 있다.
식약청이 지난해 전국 유통 중인 쇠고기 등 축·수산물 총 209건에 대해 대장균 등 미생물을 분리하여 주요 동물용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을 조사 결과는 소고기 52건, 돼지고기 62건, 닭고기 41건, 수산물(돔, 광어 등) 54건 이었다.
대장균의 테트라싸이클린 내성률은 ‘03년 80%에서 ’11년 51%로 감소하였고, 암피실린 내성률은 52.2%로 ’03년(45%) 이후 ‘08년(65.9%)까지 증가 추세를 나타내다 최근 3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스트렙토마이신 내성률은 ‘08년 56%에서 ’11년 36%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내성률 66%는 식품에서 분리된 대장균 100마리당 66마리가 해당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테트라싸이클린 내성률의 경우 ‘03년 28.6%에서 ’11년 6.8%로 감소하였다. 아울러, 장구균의 테트라싸이클린 내성률은 77.1%로 ‘09년 84.4%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03년 이후 매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항생제내성균 감소 추세는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로 인한 동물용 항생제 사용량 감소, 올바른 축·수산 항생제 사용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 국가항생제내성종합대책(‘08~’12)에 따른 범부처의 항생제 오남용 방지를 위한 노력 등이 차츰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생활 주변 환경의 항생제내성률을 살핀 결과 축산환경이나 하천환경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의 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내성률의 경우 생활환경 16%, 축산환경 71%, 하천환경 24%이었으며,
장구균의 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내성률은 생활환경 5%, 축산환경 18%, 하천환경 21%이었다.
식약청은 항생제내성균 전파 방지 및 예방을 위해서는 축·수산식품에 존재하는 항생제내성균은 충분한 가열조리 후 섭취, 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청소 등 주변환경 청결 유지 등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앞으로도 식품 및 주변 환경의 항생제내성률을 지속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항생제내성의 확산을 감시하고 부처 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항생제내성을 저감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첨부> 1. 유통 축수산물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 검사 결과
2. 환경분야 테트라싸이클린 내성률 비교
3. 위생적인 생활을 위한 가정 수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