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필리핀 등 홍역유행 계속..."여행 전 예방접종 꼭 해야"

  • 등록 2019.04.23 09:23:50
크게보기

입국 시 발열, 발진 등 증상이 있는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동남아,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홍역* 이 계속됨에 따라, 5월 연휴기간을 맞아 해당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홍역 예방접종 미접종자는 접종 후 출국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홍역 유행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여행객들의 방문이 많은 베트남, 필리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 해당 국가의 환자들 대부분은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베트남은 ’19.1.1.∼3.27.까지 1,560명이 발생했으며, 전체 환자 중 96%가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필리핀의 경우 ’19.1.1.∼4.5.까지 2만 8362명의 환자가 신고 됐으며, 이 중 389명이 사망했다. 환자(54%)와 사망자(84%)의 대부분이 5세 미만이었으며, 90%가 백신 미접종자였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같은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았으나, 계속되는 해외 유입 사례로 ’19.1.1.∼4.10.까지 홍역 환자 382명이 발생했다.


유럽지역 홍역은 2016년 루마니아에서 유행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프랑스, 이탈리아 등에서 유행이 지속 중이며, 발생 환자의 대부분 백신 접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2015~2018년 4년간 연 10건 내외이던 홍역 환자가, 해외여행객 및 외국인 입국 시 유입으로 올해 1.1.∼4.21.까지 총 147명의 확진 신고 되었다.


해외여행력이 확인된 환자가 홍역 확진 전 방문한 국가는 베트남(20건), 필리핀(13건), 태국(2건), 우크라이나(2건), 유럽, 대만, 마다가스카르,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싱가포르 각 1건으로 나타났다.


올해 신고 된 홍역 환자들의 대부분 경증이었으며, 합병증 및 중증도가 높은 경우는 없었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는 홍역 예방접종률이 높은 편이며, 발열, 발진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접근성이 좋아 조기 발견, 치료가 가능하여 해외처럼 홍역으로 인한 사망 등 중증 사례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유행 지역 방문 전 MMR* 백신을  2회 모두 접종완료 하였는지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붙임 1).

특히 국내 홍역 확진자 중 해외여행에서 귀국한 20~30대 환자 발생이 계속되고 있어,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출국 전에 최소 1회의 홍역(MMR) 예방접종을 권고하며,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라도 1회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국외 유입으로 인한 홍역환자가 의료기관 방문이 가능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홍역 의심환자 방문 시 해외 여행력 등 확인이 필요하며, 의료기관 종사자도 예방접종력 확인결과에 따라 MMR 백신의 2회 접종완료를 강조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 홍역(MMR) 예방 접종률*(1차 97.7%, 2차 98.2%)이 높아 국외에서 홍역바이러스가 유입 되더라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면역력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에서 소규모의 환자 발생이 있을 수 있다면서, 해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홍역 유행국가를 방문한 후 입국 시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며, 귀국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에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당부하였다.


아울러, 국내에 홍역 환자가 유입된 후에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발진 환자 진료 시 홍역 가능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홍역이 의심되면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연령별 MMR 접종력에 따른 접종 기준

연령

과거 MMR접종횟수

해외여행 대비

가속접종일정

향후 MMR 접종일정

0-5개월

없음

접종대상아님

권장 접종일정(생후 12-15개월, 4-6)에 따라 2회 접종

6-11개월

없음

1

1 세 전에 홍역 단독 또는 MMR 백신을 접종 받은 영아도 1215개월과 46세에 MMR 백신을 접종받아야 함

이 경우 총 3회 비용지원 가능

12개월1968.1.1.이후 출생자

없음

 

2회 접종

(최소 4주간격)

 

2회 접종을 완료한 경우 향후 추가 접종 필요하지 않음

 

1

 

1회 접종

(이전 접종과 최소 4주간격)

2

필요없음


 

우리나라 홍역 예방접종 정책

구분

국가 예방접종 사업

비고

1967년 이전 출생자

(52세 이상)

과거 자연감염 등으로 면역 보유

 

19681984년생

(35-51)

1983년부터 1회 접종, 1997년부터 2회 접종 권고함

 

1985319942월생

(25-34)

2001년 일제예방접종(MR접종) 실시

(19853-19942월생, 당시 초등2학년-고등2학년)

201111월부터 군 입소장병은 MMR 백신 1회 추가 접종(전환근무, 보충역 제외)

* 2001MR 따라잡기 일제접종 전산기록은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서 확인가능

1994년 이후 출생자(24세 이하)

2001년 초등학교 입학시부터 2MMR접종증명서 제출을 의무화하여 98%이상 제출함 (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사업)

201111월부터 군 입소장병은 MMR 백신 1회 추가 접종(전환근무, 보충역 제외)

* 2002년부터 예방접종력 전산 등록 시작(95년생 초등학교 입학시 부터 MMR 2차 접종 확인, 확인률 99%)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