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근막염’환자 급증....발 스트레스가 원인?

  • 등록 2012.08.15 04:07:35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결과,진료인원 5년새 2.6배 증가,걷기 힘든 발바닥의 고통 벗어나려면 잘못된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발바닥근막염(M72.2)’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4만1천명에서 2011년 10만6천명으로 5년간 약 6만5천명이 증가(156.1%)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6.7%로 나타났으며, 총진료비는 2007년 22억9천만원에서 2011년 63억1천만원으로 5년간 약 40억2천만원이 증가(175.3%)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9.5%로 나타났다.

 

                     그림1. <발바닥근막염>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2007~2011년)

 

표1. <발바닥근막염>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7~2011년)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진료인원

(명)

41,463

49,989

65,252

89,906

106,197

18,747

22,320

28,713

39,077

45,136

22,716

27,669

36,539

50,829

61,061

총진료비

(천원)

2,293,512

2,821,649

3,849,811

5,673,428

6,314,503

1,010,318

1,197,284

1,620,879

2,378,633

2,523,620

1,283,194

1,624,364

2,228,933

3,294,795

3,790,884

 

발바닥근막염의 성별 진료인원 점유율은 2007년에 남성이 약 45.2%, 여성이 약 54.8%였고, 2011년은 남성이 약 42.5%, 여성이 약 57.5%의 점유율을 보여 여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해마다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표2. <발바닥근막염>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증감률(2007~2011년)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연평균

성비(남성대비여성)

1.21

1.24

1.27

1.30

1.35

-

점유율

45.2%

44.6%

44.0%

43.5%

42.5%

-

54.8%

55.4%

56.0%

56.5%

57.5%

-

전년대비

증감률

-

20.6%

30.5%

37.8%

18.1%

26.7%

-

19.1%

28.6%

36.1%

15.5%

24.8%

-

21.8%

32.1%

39.1%

20.1%

28.3%

                       그림2. <발바닥근막염> 성별 진료인원 추이(2007~2011년)

발바닥근막염의 진료인원을 연령별(10세구간)로 분석한 결과 2011년 기준 진료인원 점유율은 50대 23.8%, 40대 22.7%, 30대 18.2%로, 30~50대가 전체의 64.7%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표3. <발바닥근막염>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7~2011년)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령별 점유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0~

9세

640

751

911

1,370

1,319

1.5%

1.5%

1.4%

1.5%

1.2%

357

440

522

803

760

283

311

389

567

559

10~

19세

2,975

3,431

4,519

7,021

7,544

7.2%

6.9%

6.9%

7.8%

7.1%

1,756

2,055

2,714

4,130

4,469

1,219

1,376

1,805

2,891

3,075

20~29세

4,134

4,978

6,649

8,891

10,154

10.0%

10.0%

10.2%

9.9%

9.6%

2,323

2,681

3,541

4,589

5,227

1,811

2,297

3,108

4,302

4,927

30~39세

8,206

9,602

12,224

16,617

19,279

19.8%

19.2%

18.7%

18.5%

18.2%

4,439

5,083

6,449

8,707

9,948

3,767

4,519

5,775

7,910

9,331

40~49세

9,136

11,037

14,520

20,176

24,070

22.0%

22.1%

22.3%

22.4%

22.7%

3,750

4,365

5,808

7,946

9,245

5,386

6,672

8,712

12,230

14,825

50~59세

8,800

10,780

14,289

19,686

25,234

21.2%

21.6%

21.9%

21.9%

23.8%

2,982

3,789

4,720

6,395

7,950

5,818

6,991

9,569

13,291

17,284

60~69세

5,570

6,724

8,527

11,268

12,807

13.4%

13.5%

13.1%

12.5%

12.1%

2,230

2,686

3,331

4,388

5,025

3,340

4,038

5,196

6,880

7,782

70세이상

2,002

2,686

3,613

4,877

5,790

4.8%

5.4%

5.5%

5.4%

5.5%

910

1,221

1,628

2,119

2,512

1,092

1,465

1,985

2,758

3,278


                         그림3. <발바닥근막염> 성 및 연령별 진료인원 추이(2011년 기준)

남성 진료인원은 30대까지 증가하다 점차 감소하며, 여성 진료인원은 30대~50대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발바닥근막염은 발바닥근막이 오랜 기간 반복적인 미세손상을 입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남성의 경우 30대까지 축구, 농구 등의 스포츠 활동이 많고 이러한 운동은 발바닥에 심한 충격을 줄 수 있어 발바닥근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성은 20대 이후 사회생활을 하며 하이힐을 신고 장시간 생활하게 되는 경우 발바닥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추후 발바닥근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발바닥근막염의 월별 진료인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매년 여름철에 진료인원이 늘어나고, 겨울철에는 진료인원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표4. <발바닥근막염> 월별 진료인원 현황(2007~2011년)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7년

3,889

3,535

4,213

4,485

5,089

5,746

6,169

6,370

5,462

5,555

4,555

3,913

2008년

4,307

4,101

4,993

5,474

5,792

6,345

7,467

7,760

7,881

7,104

5,776

5,537

2009년

4,724

5,066

5,762

6,414

6,612

8,512

10,365

11,068

10,959

9,851

8,205

7,677

2010년

6,961

7,153

9,056

9,941

10,598

12,675

14,029

14,485

13,848

12,847

10,987

9,667

2011년

8,549

8,589

11,168

11,733

13,041

14,365

14,925

16,433

17,145

15,486

14,239

12,374

5년평균

5,686

5,689

7,038

7,609

8,226

9,529

10,591

11,223

11,059

10,169

8,752

7,834

                               그림4. <발바닥근막염> 월별 진료인원 추이(5년평균 수치)

휴가철을 맞아 무리한 운동을 할 경우 발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쌓여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겨울에는 푹신하고 큰 신발을 많이 신지만 여름이 되면서 바닥이 얇고 딱딱한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 발바닥근막염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발바닥근막이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연결되는 섬유띠를 말한다. 발바닥근막은 발의 아치(arch)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보행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바닥근막염은 이러한 발바닥근막이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염증성 변화가 생기고 섬유화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발바닥근막염은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 특징적이며, 주로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발바닥근막염은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천천히 스스로 증상이 완화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좋아지기까지 장시간(약 6개월~18개월)이 소요되므로 무작정 나아질 때까지 기다리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발바닥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보행에 영향을 주어 무릎, 고관절, 허리 등에도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발바닥근막염은 흔히 평발로 불리는 편평족이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요족 변형이 있는 경우, 또는 다리 길이의 차이 등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부학적 이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보다는 평소 잘못된 생활 습관(잘못된 운동방법, 무리한 운동량, 불편한 신발 착용 등)으로 인한 발의 무리한 사용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원인이 생활습관에서 기인한 경우 이를 교정하면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다.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며칠간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것이 중요하고, 얼음이나 차가운 물수건 등을 이용한 냉찜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비만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 역시 발바닥근막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평소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고, 적절한 체중유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장건오 기자 kuno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