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가원 "국민 3명 중 1명 근골격계 질환으로 진료"

  • 등록 2020.10.12 09:29:50
크게보기

VDT 증후군 등 현대인의 근골격계 질환...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올바른 자세유지 등의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관련 진료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5,139만 명 중 1,761만 명이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다. 이는 국민 3명 중 1명이 근골격계 통증과 기능저하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을 의미하며, 2009년 대비 수진자 비율이 7.9%p 증가했다.


[표1]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 및 수진자 비율

구분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 (만 명)

수진자 비율 (%)

2009

2019

연평균 증감률 (%)

2009

2019

증감(%p)

1,285

1,761

3.2

26.4

34.3

7.9

533

777

3.8

21.7

30.1

8.4

752

984

2.7

31.2

38.4

7.2

20대 미만

99

104

0.5

8.8

11.6

2.8

20

110

146

2.9

15.5

21.0

5.5

30

174

203

1.6

20.7

27.7

7.0

40

257

292

1.3

30.0

34.7

4.7

50

273

401

3.9

42.9

46.7

3.8

60

222

348

4.6

57.2

56.7

-0.5

70대 이상

181

314

5.7

60.1

62.5

2.4

주)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수진자 비율은 성별 연령구간별 건강보험적용대상자 대비 수진자수
 

2019년 근골격계 질환 여성 수진자수는 984만 명으로 남성의 1.3배 수준이며, 연령대별로는 50대 수진자수가 401만 명으로(전체의 23%) 가장 많았다.


또한, 2019년 근골격계 질환 연간 총진료비는 7조 4,599억 원으로 전체 건강보험 의료기관 총진료비의 10.9%를 차지하였다. 수진자 1인당 진료비는 42만 3,663원, 1인당 내원일수는 8.2일이었다.


[표2] 2019년 근골격계 질환 성별 연령대별 진료현황

구분

수진자수 (만 명)

총진료비

(억 원)

1인당 진료비

()

1인당 내원일수

()

1,761

777

984

74,599

423,663

8.2

20대 미만

104

56

48

1,280

123,295

2.7

20

146

76

70

2,368

161,792

3.4

30

203

106

97

4,070

200,739

4.2

40

292

139

153

7,721

264,267

5.5

50

401

165

236

15,254

380,643

7.3

60

348

140

208

19,797

569,079

10.2

70대 이상

314

113

201

24,109

768,634

15.0


근골격계 통증으로 병의원을 찾은 수진자는 의과의 경우 '심층열 치료'  '표층열 치료' 등의 물리치료를 주로 받았고, 한의과의 경우 '경혈침술'과 '투자법 침술' 등의 한방 시술을 주로 받았다.


[표3] 2019년 근골격계 질환 관련 다빈도 물리치료 현황

(단위: 만 명, %)

구분

순위

진료행위

수진자수

전체 대비 비율

의과

1

심층열치료[1일당]

723

41.1

2

표층열치료(심층열동시)

711

40.4

3

간섭파전류치료[ICT]

478

27.1

4

경피적전기신경자극치료[TENS]

434

24.6

5

표층열치료

279

15.8

6

재활저출력레이저치료[1일당]

236

13.4

7

간헐적견인치료-골반견인

94

5.3

8

단순운동치료[1일당]

71

4.0

9

간헐적견인치료-경추견인

62

3.5

10

파라핀욕[1일당]

47

2.7

) 1.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을 주상병으로 청구한 수진자들의 진료행위별 수진자수2. 비율은 전체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의과: 1,761만 명) 대비 진료행위 수진자수3. 물리치료: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2부 제7장 이학요법료-1절 기본물리치료료, 2절 단순재활치료료4. 순위는 진료행위별 수진자수 기준


[표4] 2019년 근골격계 질환 관련 다빈도 한방 시술 현황

(단위: 만 명, %)

구분

순위

진료행위

수진자수

전체 대비 비율

한의

1

경혈침술(2부위이상)

628

82.0

2

투자법 침술

460

60.1

3

온냉경락요법-경피적외선조사요법

430

56.1

4

침전기자극술

362

47.3

5

변증기술료

342

44.6

6

부항술(건식부항)-유관법

339

44.3

7

부항술(자락관법)

312

40.7

8

경혈침술(1부위)

301

39.3

9

관절내 침술

301

39.3

10

척추간 침술

219

28.6

) 1.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을 주상병으로 청구한 수진자들의 진료행위별 수진자수2. 비율은 전체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한의과: 766만 명) 대비 진료행위 수진자수3. 한방 시술: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2부 제14장 한방 시술 및 처치료4. 순위는 진료행위별 수진자수 기준


근골격계 질환 관련 주요 수술은 척추수술 12만 명,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 8만 명, 견봉성형술 7만 명, 반월판연골절제술 5만 명으로 나타났다.


[표5] 2019년 근골격계 수술 현황

(단위: )

근골격계 수술

수진자수

관련 질병

척추수술

119,880

M51

기타 추간판장애(허리디스크)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

75,250

M17

무릎관절증

견봉성형술

68,062

M75

어깨병변(오십견, 회전근개증후군 등 포함)

반월판연골절제술 

49,237

M23

무릎의 내부장애(무릎연골의 장애, 무릎인대의 파열 등 포함)

M17

무릎관절증

) 1.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을 주상병으로 청구한 수진자들의 수술별 수진자수2. 근골격계 수술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9장 처치 및 수술료-1절 처치 및 수술료-근골(분류번호 자2594-1, 5152)3. 근골격계 수술 분류 기준 척추수술: 분류번호 자4449-2, 견봉성형술: 분류번호 자93-1, 반월판연골절제술: 82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 수가코드 N2072, N2712, N3712, N4712, N4717, N3717, N2717, N20774. 관련 질병: 해당 근골격계 수술 중 가장 수진자수가 많은 질병(주상병)


세부적으로 근골격계 다빈도 질환을 살펴보면, ‘등통증’이 가장 많고, ‘무릎관절증’, ‘기타 연조직장애’순으로 진료를 받았다.


[표6] 2019년 근골격계 질환 다빈도 질병 진료현황

(단위: 만 명, %, )

순위

질병 명칭

수진자수

전체 대비

비율

1인당 진료비

1

M54

등통증 (경추통, 요통 등 포함)

530

30.1

152,930

2

M17

무릎관절증

294

16.7

494,709

3

M79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장애(근막통증증후군 등 포함)

294

16.7

63,622

4

M75

어깨병변 (오십견, 회전근개증후군 등 포함)

234

13.3

271,450

5

M51

기타 추간판장애 (허리디스크)

202

11.5

351,774

) 1. 순위는 질병별 수진자수 기준2. 비율은 전체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의과 1,761만 명) 대비 질병별 수진자수


최근 10년간 수진자수 증가율이 높은 근골격계 질환은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 증후군인 ‘근통’, ‘경추통’과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외측상과염(테니스 엘보)’등으로 나타났다.


[표7] 수진자수 증가율이 높은 주요 근골격계 질환

(단위: 만 명, %)

순위

질병 명칭

수진자수

연평균 증감률

2009

2019

1

M79.1

근통

151

233

4.4

2

M54.2

경추통

77

140

6.2

3

M25.5

관절통

78

131

5.3

4

M50.1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경추간판장애

42

69

5.0

5

M77.1

외측상과염(테니스 엘보)

42

66

4.6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수진자는 고연령에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며, 30대 이하 저연령에서도 인구 대비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전 연령대의 관심과 주의를 필요로 한다.


김현표 빅데이터실장은“현대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에 주의를 기울이고,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올바른 자세유지 등의 생활 습관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당부한다”고 전하며, 더불어 “근골격계 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에는 근골격계 질환 관련 분야 전문병원 찾기를 참고하여 의료기관 이용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