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식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할 수 있다"

  • 등록 2020.11.09 09:41:58
크게보기

경희대학교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궤양성대장염은 식사패턴과 상관관계 없어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등 염증성장질환(IBD)은 중증난치질환으로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기 때문에 원인 치료에 의한 완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염증성 장질환의 최선의 치료방법은 발병의 중요한 위험인자들 중 하나인 식습관을 변화시킴으로써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연구되어 왔다.


최근 미국에서 하버드의과대학계열 병원 구성원, 공중보건대학 직원 등 건강한 성인 약 2만9천명을 대상으로 약 30년간 진행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식사패턴으로 분석한 식사염증패턴(EDIP, empirical dietary inflammatory pattern)점수와 크론병 발병위험도의 상관관계가 발표됐다.


연구에서 사용된 식사염증패턴점수(표 참조)는 18개의 식품군의 섭취 빈도를 설문조사하여 각 식품군의 염증유발 가중치를 합하여 산출한다. 식사염증패턴점수는 3개의 혈중염증지표(C-반응성단백질, 인터루킨-6, 종양괴사인자수용체2)가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식사패턴을 통해 염증유발을 예측할 수 있다.


연구방법은 최초 점수를 측정하고 8년 후 재조사에서 측정된 식사염증패턴점수를 3개 등급으로 나눠 염증성 장질환 발병위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기준은 식사염증패턴점수가 지속적으로 낮은 하위 등급의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했다.


연구 결과, 식사염증패턴점수가 높은 식사패턴을 유지한 상위 등급 그룹은 크론병 발생위험도가 1.7배 높았다. 또한 8년 사이에 점수가 낮은 하위 등급에서 상위 등급으로 식사패턴이 바뀐 그룹은 크론병 발생위험도가 2배 증가했다.


반면 상위 등급에서 하위 등급으로 점수가 낮아진 식사패턴으로 변경한 그룹은 지속적으로 하위 등급 식사패턴을 유지한 그룹과 같은 정도로 크론병 발생위험도가 감소했다. 그러나 식사패턴과 궤양성대장염 발병위험도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학교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김효종 교수는 “식사염증패턴과 크론병 발생위험도를 8년의 기간 동안 연구한 결과로 매우 의미있는 연구”라며, “특히 상위에서 하위 등급의 식사패턴으로 변경한 그룹에서 크론병의 위험도가 감소했다는 것은 발병 이전에 평소 건강한 식사패턴 유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증명한 유용한 역학 연구”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창균 교수는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발병에 환경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라고 평가하면서 “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에서는 이미 크론병 환자들에게 올바른 식사패턴을 적용, 유지하기 위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간의 세균총 차이에 대한 연구를 국책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염증성 식품그룹 [EDIP 점수]

항 염증성 식품그룹 [EDIP 점수]

가공육 [0.24]

붉은 고기 [0.23]

내장육 [0.07]

해산물 [0.06]

채소류 [0.07]

정제곡류 [0.28]

고에너지음료 [0.26]

저에너지음료 [0.19]

토마토 [0.16]

맥주 [-0.19]

와인 [-0.38]

[0.02]

커피 [-0.51]

녹황색채소 [-0.14]

푸른잎줄기채소 [-0.24]

스낵 [-0.06]

과일주스 [-0.04]

피자 [-0.008]

] 식사염증패턴(EDIP) 점수의 구성 성분

] 식사염증패턴점수는 18개 식품그룹의 염증성 잠재력을 평가한다. EDIP 점수는 낮을수록 항 염증성 식사를 하는 것으로 좋고, 높을수록 염증성 식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수자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