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늘어난 예산으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및 안전관리 최우선 투자

  • 등록 2020.12.03 08:52:24
크게보기

2021년 예산, 정부안 보다 늘어난 6천 110억 원으로 최종 확정
천연물의약품 개발 연구지원도 강화

식약처  내년도 예산이  정부안(  6,044억원) 보다  증액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12월 2일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은  2021년 식약처 예산은  2020년 본예산 대비 518억원(9.3%) 증가한 6,110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2021년도 예산안은 ‘안전한 식・의약, 건강한 국민’을 목표로,코로나19 성공적 극복을 위한 ①치료제・백신 등 방역물품 개발・공급 및 안전관리 예산을 최우선으로 반영하였으며,이외에도 어린이 급식 식중독 예방, 해외직구 식품 검사 등②먹을거리 안전 확보와 ③첨단 의료제품 관리 강화, ④미래대비 안전기반 구축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하였다.  

-코로나19 대응 제품개발・공급 및 안전관리 강화
 
첨단 신기술을 이용한 코로나19백신·치료제의 안전과 효과 검증 및 신속한 국내 공급에 필요한 국가검정 실험장비 등 인프라를 보강한다.
 
코로나19 백신・치료제의 국내 개발 촉진을 위해 임상시험 공동심사 등 신속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임상시험약 안전성 정보보고제’(DSUR: Development Safety Update Report) 운영 등 백신・치료제의 사용단계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또‘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를 통해 국내 필수백신 개발을 지원하고,감염병 진단키트 등 체외진단의료기기 성능검사 실험실을 신규 설치하여 K-방역물품에 대한 품질관리도 강화된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마스크 등 방역물품의 허가·심사 평가기술 연구(R&D)도 확대된다. 

-소비자가 더 건강해지는 ‘먹을거리 안전 확보’
 
어린이 급식 식중독 예방 및 영양・위생관리 지원을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전국 모든 시군구에 설치(228→234개소) 하고, ’소규모(100인 이하) 어린이집‘ 지원 비율을 90%까지 확대하며 생산, 유통 전(全)단계에 걸친 식중독 예방 관리를 위해 식중독 원인균 분석 첨단장비 보강, 어린이 급식소(16,000개소) 전수 점검 등 식중독 예방・대응체계를 고도화한다.
 
해외직구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 검사를 확대(1,300→3,000건) 하고, 수입 배추김치 해썹(HACCP) 의무 적용(’22년~)도 차질없이 준비하고 생산・소비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AI·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이용한 식품 안전관리 연구(R&D)를 추진한다.


-환자가 안심할 수 있는 ‘첨단 의료제품 관리 강화’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센터’를 설치하고 환자에게 사용되는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 등 전주기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혁신의료기기・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제품화 지원 및 맞춤형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제약 스마트 공장에 필요한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Quality by Design) 모델 개발・보급도  확대(6개 제형, 12개 모델)된다.
   
또한, 의료현장에서 생산되는 빅데이터 및 첨단바이오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연구(R&D)를 실시하여 허가・심사 전문성  높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대비 ‘선제적 안전기반 구축’
 
첨단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비대면 업무환경 조성 및 영상기반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민 체감형 안전 데이터 생성 및 식의약 데이터 융합・분석 플랫폼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한다.
 
생명공학 기술 혁신에 대응하여 배양육 등 신개발 식품소재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새로운 통상 환경에 필요한 식품검사 실험실 국제공인(ISO-17025) 인증도 확대(16개 실험실, 30개 항목)한다.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준공 ‘21년 10월)를 통해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른 국내 생약자원 보존 및 천연물의약품 개발 연구지원을 강화하며, 규제과학 인재 양성사업(R&D)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