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 OECD회원국 35개국 중 26위로 하위권

  • 등록 2021.05.28 07:53:05
크게보기

일반 근로자 대비 평균 연봉 역시 OECD 평균 5.3배 보다 낮은 4.8배 수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 코로나19로 인한 의료기관의 고용창출 경제효과 등 분석 발표

코로나 팬데믹 영향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과 고용 위기 등 매우 힘든 상황 속에서 보건산업 종사자는 2019년 1분기 88만1159명에서 2020년 3분기 현재 94만1330명으로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종사자가 2019년 1분기 360만5223명에서 2020년 3분기 354만2953명으로 1.7% 포인트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큰 대조를 보인다. 특히 의료기관 등에 근무하는 의료서비스 산업 분야 종사자 수는 전체 보건 산업 종사자의 82%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의료서비스 산업 분야 종사자 수는 2019년 1분기 72만4359명에서 2020년 3분기 현재 77만7297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우봉식)은  이같은  내용을 담아 코로나19로 인한 의료기관의 고용창출 등 경제효과를 비교하여 발표했다. 


[표 1] 보건산업 및 제조업 종사자 수 현황( 단위: 명)

 구분

구분

2019

2020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보건

산업

의약품

70,227

70,766

71,545

72,193

73,307

73,770

74,239

의료기기

50,135

50,861

51,445

51,887

52,303

52,342

52,770

화장품

36,438

36,713

36,966

37,118

37,227

37,347

37,024

의료서비스

724,359

743,731

751,739

758,697

761,757

767,693

777,297

전체

881,159

902,071

911,695

919,895

924,594

931,152

941,330

제조업

전체

3,605,223

3,607,419

3,601,991

3,595,162

3,577,203

3,556,837

3,542,95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년 3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보건산업전체
제조업 전체

           


자료에  따르면 의료인력 중 가장 대표적인 의사 인력의 급여에 대해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는 ERI 경제연구소(ER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c.)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1년 4월 기준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근로자 대비 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은 OECD 회원국 평균인 5.317배에 비해 낮은 4.786배로, 조사된 OECD 회원국 35개국 중 26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조사된 OECD 회원 국 중 일반 근로자 대비 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가장 높은 나라는 칠레(7.357배)이며, 멕시코(6.854배), 헝가리(6.761배), 일본(6.561배)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ERI 경제연구소(ER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c.)는 영리 및 비영리 단체에 대한 급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1989년 미국의 캘리포니아에 설립되었음.

  ※ 자료: SALARY EXPERT by ER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c.) https://www.salaryexpert.com/


추가적으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2021년 국민 1인당 명목 GDP(추정치) 대비 우리나라 고용 의사의 연봉 수준을 비교한 결과, 일반 근로자 대비 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은 조사된  OECD 회원국 평균인 3.578배에 비해 낮은 2.832배로, 조사된 OECD 회원국 35개국 중 29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OECD 회원 국 중 일반 근로자 대비 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이 OECD 회원 국 중 가장 높은 가장 높은 나라는 코스타리카(5.610배)이며, 칠레(5.296배), 그리스(5.082배), 일본(4.824)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민 1인당 명목 GDP 대비 우리나라 고용직 의사 평균 연봉]
자료: SALARY EXPERT by ER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c.) https://www.salaryexpert.com/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국민 1인당 명목 GDP.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NGDPDPC@WEO/OEMDC/ADVEC/WEOWORLD


2020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보건복지서비스 분야의 매출 10억 원 당 종사자 수는 13.50명으로 전체 산업 평균인 5.73명의 2.36배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보건의료분야가 얼마나 중요한 일자리 창출 보고인지 증명하는 자료이다. 이를 의료기관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면, 의원이 요양급여비용 10억 원 당 종사자 수가 12.10명으로, 7.77명인 상급종합병원보다 약 1.6배 높아, 의원의 고용창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정책연구소 우봉식 소장은 “코로나19 시대에 고용을 새롭게 창출하고 경제효과를 파생시킨 산업분야는 의료분야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적정 수가는 의사만을 위한 주장이 아니라 국민 건강, 보건산업, 보건종사자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수자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