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콘텐츠 ‘먹방’, 시청자 건강도 위험?

  • 등록 2021.11.05 08:07:00
크게보기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시간 미만인 사람보다, 14시간 이상인 사람 체중 더 나가

미국 먹방 유튜버 달라진 근황 보니

유튜브 동영상의 홍수 속에서 가장 인기있는 콘텐츠를 꼽으라면 단연 ‘먹방’이다. 인기 먹방 유튜버의 콘텐츠는 조회수가 적게는 수십 만, 많게는 수백 만 건에 이른다. ‘푸드 크리에이터’라는 먹방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도 있다.
 
하지만 먹방은 주인공인 유튜버나 그것을 보는 시청자 모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먹방이 줄 수 있는 건강 상 문제나, 고도비만 치료법 등에 대해 조민영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인기 콘텐츠 ‘먹방’, 시청자 건강도 위험?
 
구독자 약 264만명을 보유한 28살 먹방 유튜버 ‘니코카도 아보카도’는 급격한 체중 증가로 건강이 악화됐다.  그는 피자나 햄버거, 불닭볶음면 등 칼로리·지방이 높고 자극적인 음식을 대량으로 먹는 ‘익스트림 먹방’으로 인기를 끌었다. 먹방을 처음 시작할 때 68~72kg였던 그의 몸무게는 현재 154kg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니코카도 아보카도는 한 때 뮤지션을 꿈꾸는 채식주의자였지만 2016년부터 패스트푸드 위주의 먹방을 시작했다. 방송 초기에만 해도 그의 얼굴은 턱선이 보일 정도로 날렵했지만 살이 급격하게 찌면서 예전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결국 과도하게 찐 살로 호흡에 문제가 생기자 그는 산소호흡기를 착용하고 방송을 해야 했다. 구독자들은 “이제 먹방 그만해라”며 우려했지만 그는 “계속해서 먹방을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먹방에 대해서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방송을 보는 시청자 건강에도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복미 전남대 식품영양학부 교수팀이 지난 6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당 먹방 시청 시간이 7시간 미만인 사람보다, 14시간 이상인 사람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시간 이상인 남성과 14시간 이상인 여성의 평균 BMI는 과체중 상태였다.
 
또 주당 먹방 시청 기간이 긴 사람은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반면 먹방 시청 시간이 짧은 사람은 채소나 과일을 선호한 게 특징이었다.
 
영국 리버풀대 애나 콧츠 박사팀의 연구에서도 몸에 좋지 않은 정크푸드를 먹는 영상을 본 어린이들은 영상을 보지 않은 아이들보다 평균 26% 높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 이견이 많지만 조금이라도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면 가급적 시청 시간을 줄이고 자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조 대표원장은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음식을 먹는 먹방을 보면 식욕 촉진 호르몬인 ‘그렐린’이 분출돼 평소보다 식욕이 커질 수 있다”며 “시각적 자극으로 보상심리가 발동, 식욕이 왕성해지고 맛있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어 이 식욕을 해결하면 쾌감이 상승해 결국 폭식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어어트 어려운 고도비만, 해결법은
 
즉 먹방과 비만은 적잖은 연관성을 지닌다는 게 의학계의 중론이다. 비만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특히 단기간이 아닌 오랜 시간에 걸쳐 고도비만이 된 경우 다이어트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국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도비만의 경우 식이요법·운동만으로 체중 감량에 성공하는 경우는 2~3%에 불과하다.
 
비만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 기준, 아시아태평양 국내 기준, 대한비만학회 기준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이 중 2018년 대한비만학회의 비만 진료지침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35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최근 10년간 국내 고도비만 환자는 빠르게 늘고 있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국내 고도비만율은 2009년 3.5%에서 2018년 6.01%로 10년간 약 72%나 증가했다. 이 정도 상승세라면 2030년에는 국민 10명 중 1명이 고도비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도비만은 외적으로 답답하고 둔해 보이는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니코카도 아보카도’의 사례처럼 각종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해 생명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의학적으로 체질량지수가 5㎏/㎡ 증가할 때마다 사망 위험은 29%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 대표원장은 “비만 환자와 고도비만 환자의 당뇨병 위험은 각각 2.5배, 4배나 높고 또 고도비만 환자는 고혈압 위험이 최대 2.7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고도비만 시 하루라도 빨리 치료에 들어가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고도비만으로 인해 건강 상 문제가 우려된다면 지방흡입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지방흡입은 단기간에 신체 사이즈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고 무엇보다 다이어트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향후 장기적인 건강관리에 긍정 효과를 줄 수 있다.
 
비만클리닉∙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가 2020년 내원한 고도비만 고객 23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술 후 평균 11.3kg을 감량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줄인 사람은 36.4kg을 감량했다.  시술받은 고객의 절반가량인 118명은 고도비만 지수에서 벗어났다. BMI는 평균 4.2 감소했다.
 
조 대표원장은 “지방흡입으로 일단 육안으로 개선된 신체 사이즈를 보게 되면 다이어트 의지가 더욱 커질 수 있다”며 “동기가 부여되면 다이어트를 중도 포기하거나, 보상적 폭식 등으로 인해 요요현상이 올 위험이 훨씬 낮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세포가 과도하게 많은 고도비만 환자도 지방흡입을 통해 충분한 체중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시술을 통해 신체 사이즈를 줄이고 전문가의 도움으로 행동수정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면 다이어트 효과를 꾸준히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