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rming, 레니올리십 2상/3상 결과 발표

  • 등록 2022.04.03 21:50:57
크게보기

 Pharming Group N.V.가 원발성 면역결핍증 질환인 활성화된 PI3K 델타 증후군(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PI3K Delta) syndrome, APDS) 치료제인 레니올리십(leniolisib)에 대한  2상/3상 시험의 새로운 데이터를 발표했다. 연구 책임자이자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위치한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rimary Immune Deficiency Clinic의 간부 의사인 V. Koneti Rao, M.D.가 임상면역학회(Clinical Immunology Society, CIS)의 2022년 연례 회의[https://cis.clinimmsoc.org/education/meetings/am22 ]에서 이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고, 시험 결과를 공유했다.

지난 2월 2일에 발표된 바와 같이, 노바티스(Novartis)가 진행한 3상 시험 파트인 다국적, 삼중 눈가림, 위약 대조, 무작위 시험은 공동 일차 종점을 달성했다. 이 공동 일차 종점에서는 림프샘 크기와 면역결핍증 억제를 평가했다. 이 집단에서는 림프샘 장애 병변의 크기 감소와 순수 B세포의 비율 증가가 중요 요인인데, 이는 바로 APDS 질환 표지의 감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표 림프샘 장애 병변에서, 레니올리십 투여 환자군의 경우, 지름 제곱의 log10 변환 합계(SPD)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보정 평균 변화는 -0.30이었다. 위약 투여 환자군은 -0.06이었다(95% CI: -0.37, -0.11; p=0.0012).

기초선 수준 <48%를 기준으로 할 때, 레니올리십 투여 환자군의 순수 B세포 비율은 34.76% 증가했다. 위약 투여 환자군은 -5.37% 감소했다(95% CI: 28.51, 51.75; p<0.0001).

이 연구 약물은 내약성도 우수했다. 연구 치료를 중단해야 할만한 이상반응이나 사망 환자는 없었다. 중대한 이상반응(SAE) 발생률은 레니올리십 환자군이 위약 환자군보다 낮았다. 중대한 이상반응 중 연구 치료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것은 없었다.

뉴욕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David S. Gottesman 면역학 교수인 Charlotte Cunningham-Rundles, M.D., Ph.D.는 "APDS를 대상으로 한 이 3상 연구에서 레니올리십이 이처럼 긍정적인 결과를 거둔 것은 매우 좋은 소식"이라며 "레니올리십이 치료가 어려운 APDS 질환의 원인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결과는 매우 고무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레니올리십은 치료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증상도 감소시켰다"면서 "APDS 환자를 위한 맞춤형 치료제를 향한 진전은 오랜 세월 기다려온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Pharming은 올 2분기에 레니올리십에 대해 전 세계 규제 당국에 서류 제출을 시작하고, 그 승인 여부에 따라 2023년 1분기에 미국에서 치료를 시작할 계획이다. 2023년 하반기에는 유럽에서도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