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 '공공의 적' 항생제 처방 확 줄어 다는데..

  • 등록 2013.03.27 07:20:06
크게보기

심평원,지난해 하반기 약제급여적정성평가 결과 감기에 항생제 많이 쓰는 의원 수 2년 새 절반으로 줄어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J00-J06)의 전체 항생제 처방률은 44.34%로, 전년대비 1.1%p 감소하였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를 보여 평가 초기(73.64%) 대비 1.7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이같은 사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전국 46,639개 요양기관의 건강보험 외래 처방 약 3억 7천만 건에 대해 항생제처방률, 주사제처방률, 약품목수 등 5개 항목 평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12년 하반기 약제급여적정성평가 결과 밝혀졌다. 

 

표1.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 처방률 현황

(단위 : %)

구 분

'02년

하반기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전 체

73.64

45.44

44.34

-1.10

-2.4

상급종합

57.96

28.28

25.47

-2.81

-9.9

종합병원

58.88

44.11

43.84

-0.27

-0.6

병 원

60.74

46.12

47.18

1.06

2.3

의 원

73.95

45.53

44.26

-1.27

-2.8

주.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을 대상으로 함

분석결과 요양기관 종별로는 의원의 항생제 처방률은 44.26%로, 전년 대비 1.27%p 감소하였으나, 병원(47.18%)은 전년대비 1.06%p 증가하였다.

의원의 지역별 항생제 처방률은 강원 50.12% > 충남 49.47% > 전남 48.24% 순으로 높았고, 경기 42.79% > 대전 40.16% > 전북 40.10% 순으로 낮았다. (표2)


 

표2. 의원 지역별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 처방률 현황

(단위 : %)

구 분

‘10년

하반기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전체

51.99

45.53

44.26

-1.27

-2.8

서울

51.35

44.96

43.29

-1.67

-3.7

부산

51.36

46.83

45.02

-1.81

-3.9

인천

51.46

44.22

43.01

-1.21

-2.7

대구

52.58

47.60

48.20

0.60

1.3

광주

56.08

47.28

47.33

0.05

0.1

대전

47.78

41.59

40.16

-1.43

-3.4

울산

52.60

48.54

44.73

-3.81

-7.9

경기

52.20

44.65

42.79

-1.86

-4.2

강원

54.43

49.80

50.12

0.32

0.6

충북

51.32

44.38

43.60

-0.78

-1.8

충남

54.23

48.87

49.47

0.60

1.2

전북

45.34

39.73

40.10

0.37

0.9

전남

54.02

47.04

48.24

1.20

2.6

경북

54.57

47.70

46.66

-1.04

-2.2

경남

53.65

48.37

45.98

-2.39

-4.9

제주

52.84

43.10

44.06

0.96

2.2

세종

-

-

45.58

 

-

주. 행정구역이 변경됨에 따라 세종시 추가(2012.7.1)

광주지역은 가장 높은 지역 중의 하나였으나 '11년 크게 감소한 후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북지역은 최근 3년 연속 가장 낮은 처방률을 보이고 있다. 전년 대비 감소지역 : 울산(3.81%p), 경남(2.39%p), 경기(1.86%p) 등 전년 대비 증가지역 : 전남(1.20%p), 제주(0.96%p), 대구․충남(0.60%p) 등
으로 나타났다. 

의원의 주요 표시과목 중에서는 이비인후과(54.04%)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나, '11년(56.03%)에 이어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3)이비인후과 1.99%p 감소 > 가정의학과 1.42%p 감소 > 소아청소년과 1.21%p 감소.

표3. 의원 주요 표시과목별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 처방률 현황

(단위 : %)

구 분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의원전체

45.53

44.26

-1.27

-2.8

일 반 의

45.78

45.44

-0.34

-0.7

내 과

37.97

36.87

-1.10

-2.9

외 과

41.37

40.44

-0.93

-2.3

소아청소년과

38.50

37.29

-1.21

-3.1

이비인후과

56.03

54.04

-1.99

-3.6

가정의학과

45.45

44.03

-1.42

-3.1

항생제 처방률이 80% 이상으로 높은 의원은 '12년 하반기 1,208기관으로 '10년 하반기 2,301기관에 비해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표4)

 

표4. 의원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J00~J06) 항생제처방률 구간별 기관분포현황

(단위: 개소, %)

처방률 구간

'10. 하반기

'11. 하반기

'12. 하반기

기관수

비율

기관수

비율

기관수

비율

합 계

14,016

100

13,710

100

13,367

100

0% ~ 10%미만

1,902

13.57

2,153

15.70

2,260

16.91

10% ~ 20%미만

1,477

10.54

1,719

12.54

1,619

12.11

20% ~ 30%미만

1,305

9.31

1,538

11.22

1,508

11.28

30% ~ 40%미만

1,325

9.45

1,513

11.04

1,462

10.94

40% ~ 50%미만

1,337

9.54

1,424

10.39

1,345

10.06

50% ~ 60%미만

1,398

9.97

1,425

10.39

1,386

10.37

60% ~ 70%미만

1,438

10.26

1,351

9.85

1,360

10.17

70% ~ 80%미만

1,533

10.94

1,204

8.78

1,219

9.12

80% ~ 90%미만

1,506

10.74

896

6.54

816

6.10

90% ~ 100%이하

795

5.67

487

3.56

392

2.94

주. 성상기도감염 상병 명세서 건수 100건 이상 기관 대상, 의약분업 예외는 제외, 정신과의원 제외

  '12년 하반기 주사제 처방률은 18.94%로 전년대비 0.62%p 감소하였으며, 평가초기(37.66%, ‘02)에 비해 2배 감소 하였다. (표5)

종별 규모가 작을수록 높은 처방률을 보였으며, 의원은 전년대비 0.74%p 감소한 반면, 종합병원(0.41%p), 병원(0.14%p)은 증가 하였다. 
처방률은 의원 21.00% > 병원 19.27% > 종합병원 9.04% > 상급종합병원 2.87% ㅅ순으로 나타났다.

 

표5. 주사제 처방률 현황

(단위 : %)

구 분

‘02년

하반기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전 체

37.66

19.56

18.94

-0.62

-3.2

상급종합

3.96

2.87

2.87

0

0

종합병원

9.53

8.63

9.04

0.41

4.8

병 원

32.84

19.13

19.27

0.14

0.7

의 원

40.50

21.74

21.00

-0.74

-3.4

주. 전체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을 대상으로 함

의원의 지역별 주사제 처방률을 보면 최근 3년 연속 전남지역과 경남지역은 가장 높았으며, 서울지역이 가장 낮았다.(표6)

 

표6. 의원 지역별 주사제 처방률 현황

(단위 : %)

구 분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전체

21.74

21.00

-0.74

-3.4

서울

16.87

16.40

-0.47

-2.8

부산

27.53

26.31

-1.22

-4.4

인천

19.32

18.88

-0.44

-2.3

대구

22.60

22.06

-0.54

-2.4

광주

18.52

18.01

-0.51

-2.8

대전

21.58

20.53

-1.05

-4.9

울산

25.70

25.32

-0.38

-1.5

경기

17.64

17.19

-0.45

-2.6

강원

21.48

21.00

-0.48

-2.2

충북

24.01

22.70

-1.31

-5.5

충남

26.76

25.53

-1.23

-4.6

전북

22.26

21.86

-0.40

-1.8

전남

30.66

29.47

-1.19

-3.9

경북

27.84

26.52

-1.32

-4.7

경남

30.99

29.16

-1.83

-5.9

제주

21.07

20.52

-0.55

-2.6

세종

-

28.82

 

-

주. 행정구역이 변경됨에 따라 세종시 추가(2012.7.1)

주사제 처방률이 60% 이상으로 높은 의원은 '12년 하반기 1,181기관으로 '10년 하반기 1,800기관에 비해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표7)
1,800기관('10년 6.99%) → 1,370기관('11년 5.28%) → 1,181기관('12년 4.5%)

표8. 종별 처방건당 약품목수현황

(단위: 개, %)

구 분

'02년

하반기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개)

증감률(%)

전 체

4.15

3.75

3.68

-0.07

-1.9

상급종합

3.11

3.15

3.07

-0.08

-2.5

종합병원

3.74

3.65

3.55

-0.10

-2.7

병 원

3.78

3.72

3.67

-0.05

-1.3

의 원

4.26

3.82

3.75

-0.07

-1.8

주. 전체는 평가받은 모든 요양기관 종별이 대상임

표9. 6품목이상 처방비율 현황

(단위: %)

구 분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전 체

13.19

12.37

-0.82

-6.2

상급종합

12.66

11.94

-0.72

-5.7

종합병원

16.03

14.69

-1.34

-8.4

병 원

13.28

12.61

-0.67

-5.1

의 원

13.42

12.60

-0.82

-6.1

주. 전체는 평가받은 모든 요양기관 종별이 대상임

표10. 의원 표시과목별 6품목이상 처방비율

(단위 : %)

구 분

'11년

하반기

'12년

하반기

전년대비 증감

차이(%p)

증감률(%)

의원전체

13.42

12.60

-0.82

-6.1

일반의

14.35

13.72

-0.63

-4.4

내과

18.00

17.11

-0.89

-4.9

신경과

12.98

12.17

-0.81

-6.2

정신과

6.57

6.03

-0.54

-8.2

외과

11.42

11.09

-0.33

-2.9

정형외과

2.51

2.45

-0.06

-2.4

신경외과

5.61

5.80

0.19

3.4

마취통증의학과

4.07

3.85

-0.22

-5.4

산부인과

4.17

3.45

-0.72

-17.3

소아청소년과

20.75

18.31

-2.44

-11.8

안과

4.85

4.74

-0.11

-2.3

이비인후과

14.71

14.62

-0.09

-0.6

피부과

5.72

5.44

-0.28

-4.9

비뇨기과

4.27

4.02

-0.25

-5.9

영상의학과

10.26

9.13

-1.13

-11.0

재활의학과

3.57

3.53

-0.04

-1.1

가정의학과

15.75

15.43

-0.32

-2.0

주. 요양기관수가 100기관 미만인 표시과목은 제외함

  '12년 하반기 전체 처방건당 약품목수는 평가초기(4.15개, '02)에 비해 0.47개 감소한 3.68개로, 전년 대비 0.07개 감소하였다.(표8)

6품목이상 처방비율은 12.37%로 전년대비 0.82%p 감소하였다. (표9)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전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표시과목 중 가장 높았고(18.31%), 일반의, 내과,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도 평균보다 높았다.(표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올바른 약제사용을 위하여 다빈도 처방 의약품 등에 대하여 “약! 처방 한번 더 생각하기” 브로셔를 요양기관에 제공하고 있으며, 항생제처방률, 주사제처방률, 6품목이상처방비율이 높은 기관은 '지표연동관리제'와 연계하여 중재 활동을 하는 한편, 가감지급사업 방안을 마련 하는 등 향후에도 약제급여적정성평가를 확대·강화하여 계속 추진 할 계획이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