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6℃
  • 구름많음강릉 11.4℃
  • 연무서울 11.1℃
  • 구름많음대전 9.1℃
  • 구름많음대구 8.4℃
  • 구름많음울산 11.0℃
  • 맑음광주 10.8℃
  • 구름많음부산 13.1℃
  • 맑음고창 13.1℃
  • 흐림제주 15.8℃
  • 구름조금강화 11.2℃
  • 맑음보은 5.3℃
  • 맑음금산 7.4℃
  • 구름많음강진군 8.0℃
  • 구름많음경주시 8.5℃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약시,방치하면 정상시력으로 복귀 어려워

국민건강보험공단,최근 5년간 4세 이하에서 증가율 가장 높아 … 연평균 14.3% ↑ (전체 평균 1.3%↑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 약시(H53.0)’ 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20,220명에서 2013년 21,771명으로 증가하였다.

          [‘ 약시’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성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전체20,22019,77918,74120,80621,771
남성9,7269,7159,23910,09710,690
여성10,49410,0649,50210,70911,081

2013년 기준 인구 100만명당 436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446명, 남성이 42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5-9세가 5,089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10대가 885명, 4세 이하가 821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만명당 연령별 ‘ 약시’ 진료현황(2013년)]

                                                                             (단위 : 명)

구분전체4세 이하5-9세10대20대30대40대50세 이상
전체4368215,089885153695957
남성4258084,767858175675142
여성4468355,433915129716771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5-9세 약시 진료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는 4세 이하의 소아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만 8세 전후까지 약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시력발달이 완성되는 평균 만 8세 이전에 약시인 것을 몰라 치료받지 못했거나, 알고 있음에도 방치하면 시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추어 평생 시력저하상태로 살아야 하기 때문에,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경에는 안과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2009∼2013년 약시로 인한 진료인원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4세 이하로 인구 100만명당 연평균 14.3%씩 증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5-9세에서 연평균 5.7%씩 증가하였다(전체 연평균 증가율 1.3%).

증가율은 남성(연평균 증가율 1.9%)이 여성(연평균 증가율 0.8%) 보다 높게 나타났다.

                     [2009∼2013년 연령대별 인구 100만명당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

                                                                                       (단위 : %)

]
구분전체4세 이하5-9세10대20대30대40대50세 이상
전체1.314.35.7-0.22.3-0.20.8-0.1
남성1.913.96.41.13.9-0.30.8-1.9
여성0.814.85.1-1.50.0-0.20.81.0

약시가 4세 이하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 이유에 대하여 김혜영 교수는 "조기진단의 영향으로, 요즘 매스컴에서 소아의 안과검진이 중요함을 자주 다루고 있고, 특히 영유아검진에서 시력검사를 하여 시력이 나쁜 경우 조기에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 약시’ 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10억8,560만원(급여비, 6억5,375만원)에서 2013년 14억7,985만원(급여비, 8억1,639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약시’ 건강보험 진료비/급여비 현황]

                                                                                                  (단위 : 만원)

구분총진료비공단부담금
2009201020112012201320092010201120122013
108,560110,946111,377136,166147,98565,37565,17664,05475,56981,639
입원6671,1566441,068568563933527894455
외래99,412101,233102,712126,017138,29358,72458,08457,75368,08974,566
약국8,4828,5578,0219,0819,1246,0876,1595,7756,5876,619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 약시(H53.0)’ 의 원인 및 증상, 치료 및 예방법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약시란?

각막, 수정체 등의 매체나 망막, 시신경 등은 정상이지만 시력이 나쁘고 안경으로 교정한 시력이 0.8이하이거나, 교정시력이 좋은 눈에 비해 두 줄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약시라고 진단한다. 소아에서 약시의 진단이 중요한 이유는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약시 발생 원인

양안에 굴절상태의 차이가 있는 굴절부등이나 사시가 있는 경우 굴절이상이 심한 눈이나 사시안에 한 눈 약시가 발생한다. 또는 양안에 심한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두 눈 약시가 발생한다. 눈꺼풀 처짐이 있거나 백내장 등의 질환이 있어 한 눈의 시자극이 차단될 때도 약시가 발생한다.

약시 예방 및 치료법

시력 발달은 평균 만 8세 전후에 완성된다. 시력발달이 완성된 이후에는 약시를 더 이상 치료할 수 없어 시력저하는 일생동안 지속된다. 특히 한 눈의 약시를 가진 소아는 반대편 좋은 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경에는 안과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약시 치료로,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약시치료의 기본이다. 단안 약시는 그 눈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것이므로 강제로 사용하도록 좋은 눈을 가리는 가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며, 가림치료에는 보호자의 정확한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가림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좋은 눈에 조절마비안약을 점안하여 가까운 거리를 주시할 때는 약시안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약시는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면 정상시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시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추어 평생 시력저하상태로 살아가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폐암 사망 없는 사회’ 실현 전국 활동 강화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9일 대구광역시 동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IAT) 1층 대강당에서 ‘폐암제로 기업강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강연은 흡연 외 폐암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알리고,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폐암제로 기업강연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글로벌 폐암 치료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협력기구 ‘폐암 전문가 협의체(Lung Ambition Alliance, LAA)’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한국가스기술공사를 비롯해 총 19개 기업 및 기관에서 약 1,400여명을 대상으로 기업강연을 시행했으며, 폐암 인식 제고와 조기검진 참여 독려를 통해 대국민 폐 건강 증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이날 강연에는 영남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준홍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임직원을 비롯해 대구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임직원과 취약계층 및 시민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강연에서는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 ▲비흡연 폐암의 위험성 및 위험 요인 ▲국가폐암검진 현황 및 한계 ▲저선량 흉부 CT등을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