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에 구멍 생기는 ‘골다공증’ 에방하려면?

  • 등록 2024.10.29 08:58:33
크게보기

가족력, 완경, 골절 경험 등 위험인자 있으면.. 정기적 골밀도 검사 받아야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강도가 약해져 골절에 취약해지는 질환이다골다공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한 쉽게 알아채기 어렵다대부분 본인이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척추 골절로 키가 줄어들거나 허리가 휘어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전상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골다공증이 무서운 이유는 쉽게 골절로 연결되기 때문이다심할 경우 기침 등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며 특히 고관절 골절의 경우 대부분 수술을 받아야 하고오랫동안 누워 있어야 해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의 발생 위험 역시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골다공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276222명으로 2019년 1079548명 대비 18.2% 늘었다. 2023년 기준 성별로는 여성 비율이 94.3%에 이른다여성은 완경(폐경)을 전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골다공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연령대를 보면 60대가 35.6%로 가장 많고이어 70대 31.5%, 80대 이상 18.7%로 나타난다.

 

골다공증은 노화가족력완경류마티스관절염흡연음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여성의 경우 완경으로 뼈를 보호하던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점차 사라지면서 뼈가 급격히 약해진다칼슘이 부족한 식생활비타민 결핍운동 부족흡연음주 등 좋지 않은 생활 습관도 골밀도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전상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일부 사람들은 골다공증을 노화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여겨 치료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하지만 골다공증은 자칫 방심하다 골절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심할 경우 간단한 움직임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며 평상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영위해 골다공증을 예방해야 한다칼슘비타민 D, 적정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찾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동이 중요하다규칙적인 운동은 뼈와 근육을 강화하고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골다공증과 골절 예방에 효과가 있다그중에서도 체중 부하 운동과 근력운동이 좋다체중 부하 운동에는 걷기조깅계단 오르내리기 등이 있다운동은 관절 상태나 심폐 지구력 등 개인의 상태를 고려해 운동량을 정하고 점진적으로 늘려가야 한다최대 맥박의 40~70% 정도를 유지하면서운동 지속시간은 최소 20분 이상일주일에 3일 이상 실시한다.

 

근력운동은 팔굽혀펴기윗몸 일으키기스쿼트요가 등이 좋고여기에 익숙해지면 기구를 이용하는 웨이트트레이닝도 가능하다웨이트트레이닝은 낮은 강도에서 시작해 차차 강도를 늘리면서 휴식 시간은 점차 줄여 가는 것이 좋다.

 

전상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고령자의 경우 준비운동정리운동유산소 운동근력운동을 모두 합쳐 전체 시간이 1시간 정도 소요되도록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게 좋다며 다만 운동이 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운동을 중단하면 빠르게 사라진다오랜 시간에 걸쳐 꾸준히 시행해야만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습관 관리도 중요하다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칼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우유유제품(치즈요구르트우유 발효음료 등), 뼈째 먹는 생선(멸치 등등이 있다식품만으로 충분한 섭취가 어렵다면 칼슘 또는 비타민 보충제를 사용할 수 있다남녀 모두 칼슘은 1일 800~1000비타민 D는 800IU 이상 섭취를 권고하고 있다.

 

전상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완경 이후 여성과 노년 남성은 골다공증과 골절 발생 위험이 커진다가족력완경골절 경험 등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전문의 상담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며 골다공증은 방치면 심각한 골절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치료를 중단하지 말고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