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2025 임상 데이터톤 개최...의료 AI 응용 확대

  • 등록 2025.10.30 07:27:48
크게보기

서울대병원은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임상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개발 대회 ‘한국 임상 데이터톤 2025(Korea Clinical Datathon 2025)’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임상 데이터톤’은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응용 활성화를 위해 서울대병원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에서 개최하는 데이터 처리 경진대회다. 서울대병원 헬스케어AI연구원, 서울대 의료빅데이터 연구센터, 의료인공지능 융합인재양성사업단이 공동 주최했다.

올해 대회 주제는 ‘에이전틱 AI(Agentic AI in Healthcare: Navigating Risks, Realizing Benefits)’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자율형 AI의 의료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VitalDB(세계 최대 생체신호 데이터셋), MIMIC(MIT 중환자실 빅데이터), K-MIMIC(국내 다기관 중환자실 빅데이터) 등 MIT와 협력해 비식별화와 번역 처리를 거친 글로벌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70명의 참가자가 팀을 구성해 AI의 의료 적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위험성과 가능성을 탐구했다.

대상은 ‘에이전틱 임상시험 모사: 실제 데이터 기반 증거 생성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현 연구’를 수행한 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임상시험의 설계부터 결과 보고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AI를 개발하고,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가능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상 및 우수상은 각각 ‘자동화된 진단검사 결과 요약 및 인계 시스템’ 및 ‘발관(Extubation)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LLM 피드백 에이전트’ 연구를 수행한 팀에게 주어졌다.

한편, 데이터톤과 함께 ‘의료데이터 플랫폼 및 AI에 대한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도 개최됐다. MIT, 하버드, 바르셀로나병원 등 유수의 연구기관에서 초청된 전문가들이 의료데이터 표준화와 AI 윤리 문제에 대해 논의하며 국제 연구협력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화연구소 이형철 데이터혁신센터장은 “이번 행사는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상 현장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응용 가능성을 탐색했던 자리”라며 “나아가 국제 심포지엄을 통해 의료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의 글로벌 연구협력 인프라를 확대 구축할 수 있어 뜻깊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는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글로벌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임상 데이터톤 대회를 개최하는 등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 연구 생태계와 직접 연결되는 기회를 넓히고 있다. 이를 통해 의료데이터 표준화 및 혁신적 AI 응용을 선도하며, 국내 의료 인공지능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