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뇌혈관질 등 4대중증질환자 초음파검사 급여 놓고 신경전

  • 등록 2013.08.29 06:23:13
크게보기

의협, 27일 건정심 결정에 행위분류 및 수가 사후 보완 강력 요구

대한의사협회는 27일 건정심이 오는10월부터 암환자, 뇌혈관질환자, 심장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  4대중증질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를 보험급여화 하기 위해, 43개 초음파검사 행위에 대한 수가와 급여기준(아래 표 참조)을 의결한 것과 관련, 내용은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초 조건부 수용이라는 유연한 자세에서 행위분류 및 수가 사후 보완을 전면으로 내세우며 이의 개선을 강력 요구하고 나서 그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이는 정부가 2009년과 2012년에 초음파에 대한 급여화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의협은 행위분류 전문가와 초음파 임상가의 조력을 바탕으로 1년 이상의 연구를 거쳐 168개의 행위분류(안)을 마련한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 대한의사협회(회장 노환규)는 27일 열린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에서 초음파검사 급여화 안건에 대한 의결과 관련하여 행위분류 및 수가에 대한 사후 보완을 전제 조건으로 강력히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의협은 특히, 이 과정에서 검사 이외의 유도, 치료, 수술중 초음파는 급여화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행위 항목도 축소되었으나, 심장초음파, 복부초음파 등은 검사 항목에서 전문가의 의견이 적절히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기에, 이에 대한 사후 검토와 보완이 전제되어야 정부에서 상정한 분류안을 논의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의협은 이어, 초음파검사 수가 역시 일부 행위들에 대해 저평가된 부분이 있어 근거자료를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검토하고 보완하는 절차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의협 송형곤 대변인은 “초음파검사를 급여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준비와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159만명에 달하는 암환자, 뇌혈관질환자, 심장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가 하루라도 빨리 건강보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제안하고 가입자단체가 동의하는 안이 어렵게 통과된 것이라”고 설명하며,   “그러나 의료서비스는 적정한 방식과 수준으로 수가를 책정하여 보상해야 해당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성과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수가를 의료산업과 국민건강에 대한 투자로 인식해 줄 것을 정부 및 가입자 단체에 요구했다. ”고 강조했다.

 

초음파검사 행위분류 및 수가, 급여기준

분 류

점수

(단위:점)

금액(단위:원, 종별가산적용)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

[초 음 파]

초음파 검사

주 : 1. 만8세 미만의 소아에 대하여는 소정 점수의 20%를 가산한다(산정코드 첫 번째 자리에 3으로 기재)

2. 다태아의 경우에는 제2의 태아부터 소정점수의 80%를 산정한다(산정코드 세 번째 자리에 1로 기재)

3. 검사시 사용된 조영제는 별도 산정한다.

가. 두경부

(1) 경동맥혈관초음파

680.06

59,680

57,380

55,080

54,820

(2) 뇌초음파

332.40

29,170

28,050

26,920

26,800

(3) 안초음파(편측)

 

(가) 안구

257.00

22,550

21,680

20,820

20,720

(나) 안와

222.13

19,490

18,740

17,990

17,910

(다) 계측

222.13

19,490

18,740

17,990

17,910

(4) 경부초음파

452.96

39,750

38,220

36,690

36,520

(5) 후두초음파

278.84

24,470

23,530

22,590

22,480

(6) 비부비동초음파

236.49

20,750

19,950

19,160

19,060

 

나. 흉부

 

(1) 흉막ㆍ폐초음파

426.13

37,390

35,950

34,520

34,350

(2) 유방ㆍ액와부 초음파

865.01

75,900

72,990

70,070

69,730

 

다. 심장

 

(1) 경식도 심초음파(TEE)

주 : 선천성심질환의 경우 해당 검사료 소정점수에 210.50점을 가산하여 산정한다.

((가)13), (나)23))

 

(가) 일반

1,179.56

103,510

99,530

95,540

95,090

(나) 정밀(strain, 3D 이상)

1,562.90

137,140

131,870

126,590

125,990

(2) 경흉부 심초음파(TEE)

주 : 선천성심질환의 경우 해당 검사료 소정점수에 168.39점을 가산하여 산정한다.

((가)33), (나)43))

 

(가) 일반

981.74

86,150

82,830

79,520

79,140

(나) 정밀(strain, 3D 이상)

1,484.94

130,300

125,290

120,280

119,710

(3) 부하심초음파

 

(가) 약물부하

1,530.56

134,310

129,140

123,980

123,390

(나) 운동부하

1,189.43

104,370

100,360

96,340

95,890

(4) 심장내 초음파

2,021.39

177,380

170,550

163,730

162,950

(5) 태아정밀 심초음파

1,644.18

144,280

138,730

133,180

132,550

(6) 심근조영초음파

1,170.20

102,690

98,740

94,790

94,340

 

라. 복부, 골반

 

(1) 복부초음파

 

(가) 간ㆍ담낭ㆍ담도ㆍ비장ㆍ췌장

808.34

70,930

68,200

65,480

65,160

(나) 신장ㆍ부신ㆍ방광

692.71

60,790

58,450

56,110

55,840

(다) 충수돌기

585.62

51,390

49,410

47,440

47,210

(라) 소장ㆍ대장

619.35

54,350

52,260

50,170

49,930

(마) 직장

495.57

43,490

41,810

40,140

39,950

(바) 골반장기

610.88

53,600

51,540

49,480

49,250

(2) 남성생식기 초음파

 

(가) 전립선ㆍ정낭

552.53

48,480

46,620

44,750

44,540

(나) 음경

673.58

59,110

56,830

54,560

54,300

(다) 음낭

457.87

40,180

38,630

37,090

36,910

 

마. 근골격, 연부

 

(1) 사지관절 초음파(편측)

 

(가) 견관절, 고관절, 슬관절, 주관절, 완관절, 족관절

299.08

26,240

25,230

24,230

24,110

(나) 수부, 족부

255.76

22,440

21,580

20,720

20,620

(2) 말초신경초음파(편측)

325.70

28,580

27,480

26,380

26,260

(3) 연부조직 초음파

456.11

40,020

38,480

36,940

36,770

 

바. 혈관

 

(1) 상지혈관초음파(편측)

 

(가) 동맥

375.90

32,990

31,720

30,450

30,300

(나) 정맥

355.49

31,190

29,990

28,790

28,660

(2) 하지혈관 초음파(편측)

 

(가) 동맥

378.78

33,240

31,960

30,680

30,540

(나) 정맥

367.86

32,280

31,040

29,800

29,660

(3) 복부혈관초음파(대동맥, 복부장기 혈관)

588.92

51,680

49,690

47,700

47,480

(4) 동정맥루 초음파

 

(가) 혈류 및 협착 측정

410.19

35,990

34,610

33,230

33,070

(나) 혈관지도검사

428.17

37,570

36,130

34,680

34,520

 

사. 임산부

 

(1) 산모초음파

 

(가) 임신 제1삼분기

438.32

38,460

36,980

35,500

35,340

(나) 임신 제2, 제3분기

529.60

46,470

44,690

42,900

42,690

(2) 태아정밀 초음파

 

(가) 임신 제1삼분기

728.24

63,900

61,450

58,990

58,710

(나) 임신 제2, 제3분기

1,009.63

88,600

85,190

81,780

81,390

□ 급여기준

 ○ (급여대상) 초음파 급여대상을 4대 중증질환관련 본인부담 산정특례자로 하고 적용시점은 등록부터 산정특례 적용 기간으로 설정

 ◆ 중증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 등록 암환자(V193)
  ▪ 뇌혈관질환자가 해당 수술 받은 경우 1회 수술당 30일 (V191)
  ▪ 심장질환자 해당 수술 받은 경우 1회 수술당 30일 (V192)

 ◆ 희귀난치성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 등록 희귀난치성 질환자 (V001 ~)

 ○ (일반원칙) 급여대상 질환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요양급여하지 않으며(비급여), 급여대상 질환자에 해당되나 산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액본인부담

 ○ (산정횟수) 의학적으로 평균적 보장 범위를 기준으로 산정횟수 설정


< 상병별 산정횟수 >

구분

기준내용

등록암환자

치료 전․후 각 1회, 추적검사시 6개월마다 1회

뇌혈관 질환자

산정특례 적용기간 내 2회

심장 질환자

수술(시술) 전․후 각 1회 포함하여 산정특례 적용기간 내 최대 3

희귀난치성 질환자

1년에 2회 범위 내

    * 장기이식은 타 희귀난치성 질환과는 다르게 장기이식 수술이 발생하는 점 등을 고려 암환자와 동일하게 인정

노재영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