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 1℃ 높아지면...'콜린성 두드러기' 발생?

  • 등록 2013.11.27 12:37:42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결과, 진료인원 연평균 5.7% 증가, 10∼20대 젊은 남성에게 집중 발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콜린성 두드러기(L50.5, Cholinergic urticaria)’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원은 2008년 약1만명에서 2012년 1만2천명으로 5년새 약 2천명(24.7%)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7%로 나타났으며, 총진료비는 2008년 약 2억9천만원에서 2012년 약 4억3천만원으로 5년새 약 1억4천만원이 증가(47.4%)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2%로 나타났다.

 

 

 

<콜린성 두드러기(L50.5)>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2008~2012년)

 

 

 

<콜린성 두드러기(L50.5)> 성별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8~2012년)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진료인원

(명)

9,629

10,395

10,927

12,161

12,007

5,599

6,106

6,400

7,064

7,136

4,030

4,289

4,527

5,097

4,871

총진료비

(천원)

290,437

328,618

384,938

423,618

428,017

182,115

210,730

247,610

274,493

277,770

108,322

117,888

137,328

149,125

150,246

콜린성 두드러기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약 59.4%, 여성은 40.6%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에 비해 약 1.5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6.3%, 여성이 4.9%로 남성이 1.4%p 더 높게 나타났다.

 <콜린성 두드러기(L50.5)>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증가율(2008~2012년)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

성비(여성대비남성)

1.4

1.4

1.4

1.4

1.5

-

점유율

58.1%

58.7%

58.6%

58.1%

59.4%

-

41.9%

41.3%

41.4%

41.9%

40.6%

-

전년대비

증가율

-

8.0%

5.1%

11.3%

-1.3%

5.7%

-

9.1%

4.8%

10.4%

1.0%

6.3%

-

6.4%

5.5%

12.6%

-4.4%

4.9%

콜린성 두드러기 진료인원의 10세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20대 21.7%, 10대 19.5%, 40대 14.4%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0~20대의 점유율이 41.2%로, 콜린성 두드러기 진료인원의 10명 중 4명은 10~20대의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갑작스러운 온도변화,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은 뒤 심부 체온이 1℃ 이상 높아질 때 나타날 수 있는 열성 두드러기이다.

신체는 부교감신경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이 땀샘을 자극하여 수분을 배출하며 체온조절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세틸콜린이 비만세포를 자극하게 되면 콜린성 두드러기가 발생하게 된다.

10대~20대의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높은 이유는 남성 진료인원이 해당 연령에 집중되기 때문인데, 10대~20대 남성은 타 연령대에 비해 운동 등의 활동량이 많아 체온이 높아지는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

주요 증상은 두드러기와 함께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움을 느끼는 것이며, 증상이 몇 분간 지속되다가 보통 한 시간 내에 가라앉는 편이다.

증상은 1~2㎜ 정도의 작은 팽진과 함께 1~2㎝ 정도의 홍반성 발적이 나타나며,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전체적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특징이다.콜린성 두드리기 발생 시 히스타민 억제를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여 증세를 완화한다.

콜린성 두드러기를 막기 위해서는 과도한 실내운동, 뜨거운 사우나와 찜질, 더운 탕욕 등과 같이 갑자기 체온을 상승시키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다.

김영숙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