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하루 열량 섭취 권장량은 남자 2,500kcal, 여자 2,000kcal

  • 등록 2015.02.12 09:41:24
크게보기

건협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 칼로리는 낮추고, 영양은 높인 설날 요리 추천

명절에 음식을 만들어 나누어 먹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하지만 설날 명절 음식은 기름을 사용하는 부침요리가 유난히 많다. 산적이나 꼬치전, 동그랑땡, 부침개 등 명절 음식은 대부분 고칼로리 음식이기 때문에 설 연휴 동안 2~3kg 정도 살이 찌는 건 기본이다. 나누는 음식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차례 상에 올리는 음식은 전통방식을 지키더라도 친지들과 함께 먹는 음식은 튀김, 전 등 기름에 부치는 요리보다 조림, 구이, 찜처럼 기름을 적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조리하면 칼로리가 낮아진다. 설날 명절 음식이 눈앞에 있어도 배가 부를 때까지 먹는 것은 금물이다. 명절은 연휴이기 때문에 평소보다 활동량이 줄어들고 차례상에 놓았던 약과, 한과, 식혜 등을 간식으로 먹기 때문에 배가 꺼지지 않는다. 음식이 많이 있어도 평소처럼, 평소보다 약간 덜 먹었다는 느낌이 들도록 식사량을 조절하자.

성인의 하루 열량 섭취 권장량은 남자 2,500kcal, 여자 2,000kcal다. 이대목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발표한 열량으로 본 차례 음식 구성표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산적, 떡국, 삼색나물, 잡채, 식혜를 먹고 후식으로 배, 사과, 단감, 약과 등을 먹으면 한 끼에 섭취하는 열량만 2,000~3,000kcal가 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명절 음식은 고열량식이기 때문에 명절 하루 동안 삼시세끼 명절 음식을 먹는다면 하루 열량 섭취 권장량의 세 배를 넘게 섭취하게 된다. 심혈관질환이 있다면 기름진 음식과 과식은 금물이다. 명절 음식의 열량을 확인하고 식사량을 조절하면서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차례상에 올릴 전을 요리할 때는 두부, 버섯, 채소를 많이 넣어서 조리하고 부침요리의 튀김옷은 될 수 있으면 얇게 입힌다. 부침요리는 키친타올을 이용해서 기름을 제거하면 섭취하는 기름의 양을 다소 줄일 수 있다. 명절 다음날 전을 데울 때는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데우기보다 전자렌지에 데우는 것이 좋고, 나물무침에도 기름이나 양념은 적당히 사용해야 한다.

설날 대표음식

칼로리를 낮춘 설날 음식

비고

음식

칼로리

음식

칼로리

떡국

440

미역조랭이떡국

234

1그릇(430g)

잡채

191

우엉잡채

63

1접시(80g)

채소전

148

채소꼬치

41

1접시(91.5g)

돼지고기 삼겹살볶음

271

돼지고기수육

168

1인분(60g)

북어양념구이

118

북어찜

70

1토막(38.4g)

두부부침조림

430

단호박두부찜

128

1인분(100g)

차례 음식

열량

차례 음식

열량

산적(300g)

653

꼬치전 1

186

갈비찜(300g)

531

포도 1송이

182

만둣국 1그릇

480

약과 1

172

불고기(300g)

471

1

160

떡국 1그릇

440

사과 1

140

갈치구이 1토막

498

고기완자전 1

91

삼색나물 1접시

397

고추전 1

91

조기구이 1마리

305

동태전 1

87

고등어구이 1토막

302

단감 1

75

쇠고기무국 1그릇

266

동그랑땡 1

45

식혜 1

250

호박전 1

35

녹두빈대떡 1

194

도미구이 1토막

31

잡채 1접시

191

1

16

<자료: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김용발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