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적정성 평가 효과분석‘을 위하여 임상 연구자들과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연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적정성 평가 효과 분석을 위한 공동 연구 과제
평가 항목 | 연구과제명 | 연구자 |
천식 | ․ 천식 적정성 평가 결과분석 및 활용 방안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진국 교수 |
당뇨병 | ․ 당뇨병의 적정성 평가가 병․의원급의 치료지속성 및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 | 영남의대 정승필 교수 |
대장암 | ․ 2기 대장암 환자에서 항암치료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성 평가로 인한 변화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인규 교수 |
․ 대장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적정성 평가 지표 |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이상철 교수 | |
혈액투석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와 연관된 혈액투석 진료변화 분석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진동찬 교수 |
심사평가원은 평가효과 분석, 평가기준 타당성 입증 등 평가에 대한 제언과 방향성을 도출하기위해 임상전문가들과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하게 됐으며,
이 연구를 통해 그간 축적된 평가정보 및 심사평가원이 보유한 빅데이터와 외부데이터를 융합․활용하여 평가정보의 활용가치를 넓히고 임상의학발전에도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지난 해(’15.11.19∼12.11) 평가항목 관련 임상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정성 평가의 효과분석 및 평가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과제를 공모했으며,
연구계획의 구체성, 연구방법의 타당성 및 연구자의 전문성 등 ‘평가 연구 논문화 자문 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한 천식·당뇨병·대장암·혈액투석 평가분야 5편이 선정됐다.
⃞
연구는 올해 8월말까지 임상 전문가인 연구자와 심사평가원 상근평가(심사)위원 및 평가담당 실무자가 팀을 이루어 공동으로 진행하며,심사평가원이 평가자료 및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여 보건의료 빅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하면, 연구자가 원격접속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 및 결과 산출 등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공동연구의 결과는 2016년 10월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발표하고, 국내·외 학술지(SCI급)에 연구 논문을 게재할 계획이다. 심사평가원 윤순희 평가2실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적정성 평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산출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평가정보의 효용가치를 극대화하고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임상연구 지원활동을 지속적으로 발전․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