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회

복지부, 의료기기산업 육성에 2조 6,853억원 투자하고도..."성과는 미미"

백종헌 의원, “당초 목표치 설정부터 문제, 현실적인 목표와 추진 전략 필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국회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지부는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해 2조 6,853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산업 육성 성과가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기기 국가연구개발(R&D) 투자 현황]  

            (단위: 억원)  

국가연구개발비 

2021 

2022 

2023 

2024 

총계 

의료기기 전체 

6,601.8 

6,632.2 

6,767.5 

6,851.9 

26,853.4 

 

                      출처 : 보건복지부(백종헌의원실 재구성) 

 

      그동안 복지부는 의료기기 글로벌 수출 강국 도약을 위한 ⌜제1차 의료기기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수출 확대 ▲선도형 기업 육성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 제고 ▲전문 인력 일자리 창출 등을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그러나 실제 의료기기 수출 목표 대비 성과는 오히려 달성률이 점점 저조해지고 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모두 의료기기 수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뿐만 아니라 목표 달성률은 2022년 82%에서 2024년 53%로 급격히 감소했다. 

 

[의료기기 수출 목표 대비 실적 현황] 

       (단위 : 억원)            

구분 

2021 

2022 

2023 

2024 

수출액 

목표 

120,400 

134,400 

105,000 

140,000 

현황 

120,400 

110,600 

72,800 

74,200 

달성률 

100% 

82% 

69% 

53% 

 

         ※ 원달러 환율 1,400원 적용                   출처 : 보건복지부(종헌의원실 재구성) 


      수출 선도형 기업 육성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기준 연매출 5천억원 이상 기업을 13개로 성장시키겠다고 공언했지만, 2023년부터 매출액 5천억원 이상 기업 수는 대폭 감소했다. 2023년 해당 기업 수가 전년도 대비 1/3 수준으로 줄어들어 목표 달성률은 20%에 그쳤고, 2024년 목표 달성률은 23%로 매출 5천억원 이상 기업은 3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선도형 의료기기 기업 육성 현황] 

구분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5,000억원 이상 기업(개소) 

목표 

6 

8 

10 

13 

현황 

6 

6 

2 

3 

달성률 

100% 

75% 

20% 

23% 

 

                                            출처 : 보건복지부(백종헌의원실 재구성)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 제고도 마찬가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까지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에서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을 24%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으나 실제 사용률은 22.1%에 머무르며 그 간극을 메우지 못했다. 

 

[국산 의료기기 국내 사용률 현황] 

구분 

2021 

2022 

2023(e) 

2024(e) 

종합병원 이상 국산 누적 사용률(%) 

목표 

21.2 

22.0 

23.0 

24.0 

현황 

19.6 

20.7 

21.3 

22.1 

차이 

-1.6 

-1.3 

-1.7 

-1.9 

 

  출처 : 보건복지부(백종헌의원실 재구성)      

 

        또한 일자리 창출 성과 역시 보건복지부는 2024년까지 의료기기 분야에서 11만 5천개의 전문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는 달성한 상황이다. 

 

[의료기기 분야 전문 일자리 창출 현황] 

                                   (단위 : 만 명)       

구분 

2021 

2022 

2023 

2024 

의료기기 생산인력 

목표 

8.5 

9.5 

10.0 

11.5 

현황 

8.5 

8.9 

9.0 

9.2 

부족인원 

0 

0.6 

1.0 

2.3 

 

 출처 : 보건복지부(백종헌의원실 재구성)       


       백종헌 의원은 이에 대해 “복지부가 의료기기산업 육성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작년 목표를 단 한 건도 달성하지 못한 것은 성과 관리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애초에 목표 설정 자체도 현실과 괴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이어 백 의원은 “복지부는 이제라도 목표 수립 과정을 재점검하고, 면밀한 성과 평가를 통해 현실적인 지원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유한양행, 여성 유산균 ‘엘레나 테아닌’ 약국으로 채널 확대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프리미엄 여성 유산균 건강기능식품 ‘엘레나 테아닌’이 약국으로 판매 채널을 확대했다고 2일 밝혔다. 엘레나 테아닌은 지난 1월 출시 이후 그간 온라인으로만 구매가 가능했으나, 오프라인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9월부터 약국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약국 입점을 통해 소비자들은 약사와의 상담을 통해 엘레나 테아닌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자신에게 맞는 복용법을 안내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엘레나 테아닌은 여성의 ‘질 건강’, ‘장 건강’ 그리고 ‘마음 건강’까지 한 번에 케어 가능한 유한양행의 건강기능식품이다. 여성의 질과 장 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UREX® 프로바이오틱스에 스트레스 완화와 심리적 안정 효과를 주는 테아닌 성분을 더해 현대 여성들이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돕는데 중점을 뒀다. 테아닌은 녹차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에서도 기존의 질건강 유산균에 심리적 안정까지 고려한 점이 인상적이며, 최근 늘어나는 멘탈 건강 제품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제품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15년 첫 선을 보인 엘레나는 엘레나 퀸,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