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장의 게실병' 안전지대인줄 알았는데..충격!

  • 등록 2013.07.19 06:00:33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 결과,진료인원 연평균 10.1% 증가하고 30~50대가 65.3% 차지

서구병으로 알려지고 있는 ‘장의 게실병’ 진료인원이 국내의 경우 연평균 10.1% 증가하고 있으며 30~50대가 65.3%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장의 게실병(K57)’에 대해 분석한 결과 확인됐다.

 자료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2만5천명에서 2012년 4만명으로 5년새 약 1만5천명이 증가(61.7%)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1%로 나타났으며,총진료비는 2008년 약 133억원에서 2012년 약 217억원으로 5년새 약 84억원이 증가(63.5%)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3%로 나타났다.


표1. <장의 게실병(K57)>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8~2012년)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진료인원

()

25,074

28,549

32,317

35,516

40,534

14,225

16,015

18,060

20,144

23,018

10,849

12,534

14,257

15,372

17,516

총진료비

(천원)

13,280,776

15,998,744

19,345,617

20,395,923

21,710,294

7,369,390

9,106,853

10,797,632

11,596,862

12,047,627

5,911,385

6,891,891

8,547,984

8,799,061

9,662,667

 ‘장의 게실병’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약 56.8%, 여성은 약 43.2%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에 비해 약 1.3배 더 많았다. 2008년~2012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 10.1%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의 게실병’ 진료인원의 10세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50대가 24.1%로 가장 높고, 40대 23.8%, 30대 17.5%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의 중년층에서 47.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장의 게실병을 앓고 있는 진료인원 2명중 1명(47.9%)은 40~50대의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미만에서는 2.7%로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30대에서부터 많은(17.5%) 진료인원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주로 중년층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장의 게실병(K57)>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8~2012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령별 점유율 (%)

2008

2009

2010

2011

2012

2008

2009

2010

2011

2012

20

미만

762

949

987

1,015

1,110

3.0

3.3

3.1

2.9

2.7

406

547

539

516

598

2.9

3.4

3.0

2.6

2.6

356

402

448

499

512

3.3

3.2

3.1

3.2

2.9

20~

29

2,400

2,873

3,165

3,129

3,290

9.6

10.1

9.8

8.8

8.1

1,253

1,452

1,630

1,649

1,760

8.8

9.1

9.0

8.2

7.6

1,147

1,421

1,535

1,480

1,530

10.6

11.3

10.8

9.6

8.7

30~39

4,968

5,608

6,185

6,407

7,080

19.8

19.6

19.1

18.0

17.5

3,031

3,406

3,710

3,919

4,284

21.3

21.3

20.5

19.5

18.6

1,937

2,202

2,475

2,488

2,796

17.9

17.6

17.4

16.2

16.0

40~49

6,417

7,027

7,949

8,690

9,632

25.6

24.6

24.6

24.5

23.8

3,922

4,187

4,700

5,323

5,901

27.6

26.1

26.0

26.4

25.6

2,495

2,840

3,249

3,367

3,731

23.0

22.7

22.8

21.9

21.3

50~59

5,075

5,854

6,903

8,345

9,775

20.2

20.5

21.4

23.5

24.1

2,960

3,283

3,895

4,719

5,426

20.8

20.5

21.6

23.4

23.6

2,115

2,571

3,008

3,626

4,349

19.5

20.5

21.1

23.6

24.8

60~69

3,198

3,628

4,172

4,708

5,686

12.8

12.7

12.9

13.3

14.0

1,717

1,978

2,266

2,571

3,184

12.1

12.4

12.5

12.8

13.8

1,481

1,650

1,906

2,137

2,502

13.7

13.2

13.4

13.9

14.3

70

이상

2,254

2,610

2,956

3,222

3,961

9.0

9.1

9.1

9.1

9.8

936

1,162

1,320

1,447

1,865

6.6

7.3

7.3

7.2

8.1

1,318

1,448

1,636

1,775

2,096

12.1

11.6

11.5

11.5

12.0

장의 벽이 바깥쪽으로 동그랗게 꽈리(주머니) 모양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게실증’이라 하며, 게실 안으로 오염 물질이 들어가서 염증이 생기는 것이 ‘게실염’이다. 이를 통칭해서 ‘장의 게실병’이라고 한다.
 


게실이 발생하는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령, 식사습관, 변비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돌출되는 게실이 장벽의 일부(점막과 점막하조직)에 국한되는 경우를 ‘가성 게실’이라 하고,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전층이 돌출되는 경우를 ‘진성 게실’이라 한다.

장의 게실은 구미지역 국가, 즉 고지방, 저섬유질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국가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인의 경우 장의 게실병이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지만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장의 게실병이 증가하고 있다. 

장의 게실병은 그 자체로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게실에 염증(게실염)이 발생하면 통증, 발열, 구역, 배변습관의 변화 등을 호소하며, 합병증(천공, 출혈, 누공, 복막염 등)이 생기면 그에 따른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합병증 없이 대장내시경 등을 통해 발견된 게실병의 기본치료는 고섬유질 식사이며, 치료효과를 위해서는 하루 20~30g의 섬유질 섭취가 필요하다. 다만 증상이 없으면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실염의 치료는 염증과 감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인 내과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으면 합병증 여부 및 다른 질환의 동반 가능성을 조사해야 한다. 또한, 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내과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게실염은 치료된 후 20~30%에서 재발되므로 지속적으로 섬유질 많은 식사가 추천된다.

장의 게실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일, 채소 등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방 및 육류의 섭취는 게실증의 위험도를 높이므로 피해야 한다.

장건오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