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환자 감소 추세라는데..숨겨진 진실은?

  • 등록 2013.12.05 12:02:09
크게보기

심평원 분석결과, 최근 3년간 진료 환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하지만 호흡기 약한 어린이 '천식' 주의해야 천식 진료인원은 겨울철 중 12월에 가장 많고 3명 중 1명은 소아‧아동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천식(J45, Asthma)’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천식'의 진료경향은 연도별로 증감의 편차가 있지만, 최근 3년간은 감소 추세이며, 진료인원은 매년 연평균 233만명, 총 진료비는 매년 연평균 1,767억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J45)>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2008~2012년)

 

<천식(J45)> 성별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2008~2012년)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진료인원

(명)

2,396,160

2,447,561

2,305,952

2,308,321

2,178,257

1,106,818

1,126,957

1,069,038

1,066,160

995,393

1,289,342

1,320,604

1,236,914

1,242,161

1,182,864

총진료비

(천원)

180,928,464

188,075,110

179,920,116

178,242,956

156,321,095

85,809,228

88,461,367

84,459,496

82,701,610

69,974,180

95,119,236

99,613,743

95,460,620

95,541,346

86,346,915

주1) 월별 자료는 진료개시월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요양기관의 추가 청구에 따라 추후 수치가 변동될 수 있음

주2) 환자가 월을 달리하여 진료 받을 경우 인원수가 중복 집계될 수 있음.

 

 

<천식(J45)> 월별 진료인원 추이(5개년도 평균수치)

 

천식 진료인원의 10세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10세 미만 36.4%, 70세 이상 13.0%, 50대 10.9%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미만의 점유율이 36.4%로, 천식 진료인원의 3명 중 1명은 10세 미만의 소아·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0~9세 진료인원을 구간별로 나누어 점유율을 살펴본 결과, 1세 미만이 9.1% (70,593명), 1~4세가 57.3% (446,538명), 5~9세가 33.7%(262,786명)로 나타났다.

10세 미만의 아동의 호흡기는 발육이 완전하지 않아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고 상기도 감염에서도 기도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발생하게 된다.

 

구 분

진 료 인 원 ()

연령별 점유율 (%)

2008

2009

2010

2011

2012

2008

2009

2010

2011

2012

0~

9

988,812

980,273

914,628

902,107

793,632

41.3%

40.1%

39.7%

39.1%

36.4%

545,176

539,407

504,256

496,497

435,357

49.3%

47.9%

47.2%

46.6%

43.7%

443,636

440,866

410,372

405,610

358,275

34.4%

33.4%

33.2%

32.7%

30.3%

10~

19

172,803

214,436

194,251

191,647

166,258

7.2%

8.8%

8.4%

8.3%

7.6%

99,151

121,175

110,206

108,576

93,514

9.0%

10.8%

10.3%

10.2%

9.4%

73,652

93,261

84,045

83,071

72,744

5.7%

7.1%

6.8%

6.7%

6.1%

20~

29

114,787

119,041

109,595

104,606

101,482

4.8%

4.9%

4.8%

4.5%

4.7%

42,561

44,665

42,229

41,285

41,408

3.8%

4.0%

4.0%

3.9%

4.2%

72,226

74,376

67,366

63,321

60,074

5.6%

5.6%

5.4%

5.1%

5.1%

30~39

205,011

204,374

189,571

184,733

178,724

8.6%

8.4%

8.2%

8.0%

8.2%

72,540

71,058

67,388

65,614

65,506

6.6%

6.3%

6.3%

6.2%

6.6%

132,471

133,316

122,183

119,119

113,218

10.3%

10.1%

9.9%

9.6%

9.6%

40~49

222,466

219,481

201,934

201,037

195,616

9.3%

9.0%

8.8%

8.7%

9.0%

81,634

79,731

74,080

73,932

73,333

7.4%

7.1%

6.9%

6.9%

7.4%

140,832

139,750

127,854

127,105

122,283

10.9%

10.6%

10.3%

10.2%

10.3%

50~59

217,291

221,385

221,010

235,845

237,807

9.1%

9.0%

9.6%

10.2%

10.9%

82,319

82,301

82,607

87,843

89,472

7.4%

7.3%

7.7%

8.2%

9.0%

134,972

139,084

138,403

148,002

148,335

10.5%

10.5%

11.2%

11.9%

12.5%

60~69

230,746

232,000

221,514

222,880

222,521

9.6%

9.5%

9.6%

9.7%

10.2%

92,578

92,379

90,484

90,437

89,998

8.4%

8.2%

8.5%

8.5%

9.0%

138,168

139,621

131,030

132,443

132,523

10.7%

10.6%

10.6%

10.7%

11.2%

70

이상

244,244

256,571

253,449

265,466

282,217

10.2%

10.5%

11.0%

11.5%

13.0%

90,859

96,241

97,788

101,976

106,805

8.2%

8.5%

9.1%

9.6%

10.7%

153,385

160,330

155,661

163,490

175,412

11.9%

12.1%

12.6%

13.2%

14.8%


천식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으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호흡곤란, 천명음(쌕쌕거리는 숨소리), 심한 기침 증세가 발생한다.

천식은 반복적·발작적으로 일어나는 만성질환으로,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 차게 된다.

봄철 천식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겐에 의한 기도의 염증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며 황사, 미세먼지에 의한 기도 자극도 문제가 된다. 겨울철 천식은 차고 건조한 날씨와 실내 생활로 인한 잦은 감기로 기도염증이 심해져 많이 발생하게 된다.

천식은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원인 물질과 악화 요인이 있다. 원인 물질은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며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식품, 약물 등이다.악화 요인은 감기, 기후 변화, 실내 및 대기오염, 담배연기, 황사, 운동 등 다양하다.

천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 속 환경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천식환자의 경우 겨울철 찬 공기에 갑자기 노출되거나, 감기에 걸리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적정 실내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여 증상을 잘 조절하고 지속적인 천식치료로 폐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김영숙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