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무증상골다공증 60대 이상 여성 10명 중 1명 꼴 앓아....조기 폐경,난소적출술 환자도 위험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 중지되면 칼슘소실 잃어나...규칙적인 유산소와 근력운동, 충분한 칼슘과 비타민 D를 섭취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이 생기면 통증이 생기면서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수 있다. 특히 손목뼈, 척추, 고관절(대퇴골)에서 골절이 자주 발생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 간(2012~2016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골다공증(M80-M82)’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최근 5년 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골다공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79만 505명에서 2016년에는 85만 5,975명으로 8.3%(6만 5,470명) 증가하였다.  


- 건강보험 연령대별 성별 ‘골다공증’ 진료현황  (단위 : 명, 천 원)

구분

진료인원수

진료비

‘12

‘13

‘14

‘15

‘16

‘12

‘13

‘14

‘15

‘16

전체

790,505

808,921

821,733

823,115

855,975

169,097,806

174,087,814

183,730,322

186,285,431

198,646,460

남성

56,815

56,303

55,088

54,004

53,741

10,633,899

10,666,063

11,094,669

11,277,352

11,640,021

여성

733,690

752,618

766,645

769,111

802,234

158,463,907

163,421,751

172,635,653

175,008,079

187,006,439

9 세 이하

22

35

24

33

44

4,768

13,182

14,654

14,240

15,339

남성

18

21

6

13

21

1,999

7,853

11,593

5,223

7,429

여성

4

14

18

20

23

2,769

5,329

3,061

9,017

7,910

10

164

165

200

188

181

33,523

21,295

40,974

56,664

53,715

남성

70

78

94

92

96

20,468

10,235

19,028

29,581

32,487

여성

94

87

106

96

85

13,054

11,061

21,946

27,083

21,227

20

1,809

1,562

1,506

1,500

1,666

153,393

141,848

136,390

145,029

179,793

남성

268

251

274

266

305

34,561

37,514

35,527

41,456

57,179

여성

1,541

1,311

1,232

1,234

1,361

118,832

104,334

100,863

103,573

122,614

30

7,694

6,855

6,247

6,074

6,548

763,717

678,846

639,732

641,177

738,664

남성

1,240

1,064

961

900

1,000

173,675

139,167

134,428

141,391

178,321

여성

6,454

5,791

5,286

5,174

5,548

590,042

539,679

505,304

499,785

560,343

40

28,882

26,820

23,668

21,679

21,654

3,412,338

3,190,008

3,011,998

2,809,775

3,055,648

남성

3,335

3,218

2,834

2,789

2,747

488,724

474,321

444,835

457,347

485,941

여성

25,547

23,602

20,834

18,890

18,907

2,923,614

2,715,687

2,567,163

2,352,427

2,569,707

50

170,412

167,795

159,893

151,449

155,029

28,805,745

28,764,812

28,581,304

27,315,455

28,849,612

남성

8,833

8,491

8,038

7,622

7,677

1,470,525

1,415,893

1,384,177

1,371,259

1,464,745

여성

161,579

159,304

151,855

143,827

147,352

27,335,220

27,348,919

27,197,127

25,944,196

27,384,867

60

259,146

266,150

272,047

278,255

294,553

54,603,317

55,775,415

58,666,816

59,906,434

65,189,570

남성

13,611

12,944

12,660

12,525

12,504

2,370,907

2,359,971

2,461,507

2,490,660

2,539,729

여성

245,535

253,206

259,387

265,730

282,049

52,232,410

53,415,444

56,205,309

57,415,774

62,649,841

70

254,788

265,887

275,366

272,362

275,719

60,179,538

62,778,242

66,940,876

66,528,115

69,062,568

남성

22,476

22,774

22,451

21,456

20,780

4,265,701

4,280,726

4,536,912

4,455,269

4,443,013

여성

232,312

243,113

252,915

250,906

254,939

55,913,837

58,497,516

62,403,965

62,072,846

64,619,555

80세 이상

67,588

73,652

82,782

91,575

100,581

21,141,467

22,724,167

25,697,578

28,868,544

31,501,552

남성

6,964

7,462

7,770

8,341

8,611

1,807,338

1,940,383

2,066,662

2,285,166

2,431,176

여성

60,624

66,190

75,012

83,234

91,970

19,334,128

20,783,784

23,630,916

26,583,378

29,070,375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2년 5만 7천 명에서 2016년 5만 3천 명으로 5.4%(3,074명)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2년 73만 4천 명에서 2016년 80만 2천 명으로 9.3%(68,544명) 증가하였다.


2016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남녀 모두 50대에서 진료인원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진료인원 중 40대 이하 비율은 3.5%로 전체 96.5%(3만 93명)가 50대 이상 연령대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60대(29만 5천 명, 34.4%)에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70대(27만 6천명, 32.2%), 50대(15만 5천 명, 18.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2만 1천 명, 38.7%)가 가장 많았고, 60대(1만 3천 명, 23.3%), 80대 이상(9천 명, 16.0%) 순으로 많았다.여성은 60대(28만 2천 명, 35.2%)가 가장 많았고, 70대(25만 5천명, 31.8%), 50대(14만 7천 명, 18.4%)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이수진 교수는 최근 5년간 골다공증 질환의 진료인원 등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우선 65세 인구가 14% 넘으면 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즉, 인구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면서 골다공증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교적 건강한 60대 이상 노인들이 많아졌고, TV, 광고 등 언론을 통해서도 골다공증에 대한 대중,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져서 환자들이 골다공증 검사를 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아진 점, 건강 검진 및 보건소 등에서 골밀도 검사를 해서 골다공증 의심된다고 하여 병원에 내원하여 다시 검사를 받는 경우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70대 여성은 10명 중 1.5명은 ‘골다공증’ 앓아… 2016년 기준 남자는 80세이상, 여자는 70대가 진료인원 가장 많아

 

2016년‘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수는 1,686명이었다. 이를 성별로 구분하면 여성 3,175명, 남성 211명으로 여성이 약 15배(2,964명) 더 많았다.

 

2016년 기준으로‘골다공증’질환의‘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분석해 보면 여성은 70대가 1만 5,229명(약 10명 중 1.5명)이 골다공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가 1만 593명, 80세 이상이 1만 304명(약 10명 중 1명)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는 고연령대 일수록 진료인원이 많았는데, 80세 이상에서 2,007명으로 가장 많은 진료인원을 나타내었고 뒤이어 70대 1,575명 순이었다.


 
 이수진 교수는 최근 5년간 골다공증 질환의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인원이 더 많은 이유에 대해“실제로 남성에서 골다공증 빈도가 여성보다 낮은 것은 남녀 간의 골격차이 때문인데, 남성이 여성보다 골의 크기가 크고, 이는 피질골(단단한 부분)이 더 두껍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남성 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또한 폐경을 한 이후 에스트로겐 저하로 인한 골흡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골밀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빠른 속도로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골다공증’전체 진료비 중 외래진료비 비중 92.6% … 2016년 기준 외래(약국포함) 진료비 1,840억 원, 입원 진료비 146억 원

 

진료형태 별 ‘골다공증’ 질환의 진료비 지출(2016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비 1,986억 원 중 외래 진료비(약국포함)가 1,840억 원으로 전체 중 92.6%를, 입원 진료비가 146억 원으로 7.4%를 차지하였다.


- ‘골다공증’ 질환의 원인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골밀도의 감소는 뼈의 대사 즉,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골 생성과 오래된 뼈를 제거하는 골소실 속도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과정으로, 골 소실에 비해 골 생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간과 신장기능이 저하되면서, 비타민 D를 활성상태인 1,25-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칼시트리올)로 전환하는 기능이 낮아져 뼈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칼슘의 장내 흡수가 제한되며,

 

신장에서 칼슘 배설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은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지된다. 이 에스트로겐은 뼈의 강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지되면 뼈로부터 칼슘 소실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젊은 여성이라 할지라도 조기 폐경 또는 폐경 전이라도 난소적출술을 받은 환자는 골다공증이 발생될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제, 헤파린, 리튬, 항암화학요법, 항간질약 및 알루미늄이 함유된 제산제, 갑상선암으로 갑상선절제술 후 재발억제를 위해 과다복용하는 갑상선약제, 유방암으로 유방절제술 후 복용하는 항호르몬제와 같은 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장기사용으로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갑상선항진증,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 간/신장 질환, 신경성 식욕부진, 용혈성 빈혈 등 다양한 기전으로 골소실을 증가시키는 질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가족 중에 부모 골다공증 병력이 있는 환자는 골다공증의 발생위험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경미한 외상에 의해 골절되거나 척추가 휘어져 있거나 키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골다공증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가계에서는 골다공증의 가족력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 밖에 흡연은 골 손실 속도를 가속화하여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주로 앉아서 일하는 경우, 알코올 남용 일조량 부족 등도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골다공증’ 질환의 증상

골다공증은 ‘조용한 도둑’이라고 불릴 정도로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어 있지 않는 한 증상이 없다. 대부분 오랜 기간 동안 증상이 없이 진행이 되어 본인이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척추의 압박골절로 인해 키가 줄어든다거나, 허리가 점점 휘고, 허리통증으로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폐경 후 노인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최근 20~30대에서 출산 후 태어난 아이를 들지 못할 정도로 매우 극심한 허리 통증을 호소하여 병원을 방문한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관련 골다공증을 진단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골다공증 질환’의 진단방법 및 치료법

골다공증의 진단에는 다양한 영상 진단법이 이용될 수 있다. 주로 골밀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게 되-는데 에너지X선흡수계측법(DXA),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QCT), 정량적 골초음파(QUS) 등이 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골밀도 검사범으로는 DXA가 있으며 척추, 대퇴골 골밀도을 측정하여 진단하게 된다.

 

골다공증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로는 뼈의 흡수를 막아주거나, 뼈 형성을 촉진시키는 두 가지 기전의 약물이 있다. 폐경 시기 및 여부, 골다공증 정도 및 골다공증의 원인에 따라 약제를 선택하게 된다.

 

전문의에게 골다공증을 제대로 진단받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노력으로 바뀔 수 있는 운동, 식이요법 등 생활습관의 변화 등의 비약물치료도 중요하다.


- 예방법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충분한 칼슘과 비타미민D를 섭취해야 한다. 칼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우유, 유제품(치즈,   요구르트, 우유발효음료 등), 멸치 등과 같은 뼈째 먹는 생선 등이 있다. 하지만, 식품만으로는 충분한 칼슘 섭취가 어려워 칼슘 및 비타민 D 보충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남녀 모두 칼슘은 1일 800~1000mg 섭취  비타민 D는 1일 800IU 이상 섭취하는 것이 권고되고, 골다공증이 진단되어 골다공증 약제를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은 필수적이다.

 

적절한 유산소 운동과 스트레칭, 빠르게 걷거나 제자리 뛰기 등 근력 운동을 규칙적,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골밀도 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자외선에 의하여 17-히드록시콜레스테롤이 피부로부터 뼈의 생성에 요구되는 비타민 D로 전환되기 때문에 적절한 일조량이 요구된다.


  -골다공증 예방위해 권장되는 음식

권장되는 음식

피해야 음식

저지방 우유,

음식,

생선( 푸른 생선), 해조류

탄산음료, 커피

, 두부, 들깨,

알코올

신선한 야채, 과일

과다한 양의 단백질 (산성 식품)

 

과량의 곡류나 섬유질


균형 잡힌 식습관과 금연, 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매일 맥주 800cc 이상, 증류주 3잔 이상(90cc), 중간 정도 크기 와인(360cc)은 골절 위험을 높인다. 특히 낙상처럼 골절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가능한 한 피하도록 해야 한다. 전문의사를 통한 적절한 진단을 받고, 환자 개인에 맞는 약물을 선택하여 복용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1차 의료기관 중심, 높은 수준 예방접종률 유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4년 세계예방접종주간*을 맞이하여 4월 22일(월)부터 4월28일(일)까지 예방접종주간을 운영한다. 올해는 세계예방접종주간이 지정된 지 열세번째 되는 해이며, 특히 올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역,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에게 공평한 백신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EPI)*을 시작한지 50주년이 되는 의미있는 해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촘촘한 예방접종 시스템과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높은 예방접종률을 유지하고 있고, 이를 위해 정부는 예방접종 대상자 확대, 신규백신 도입 등 국민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예방접종 정책을 지속 추진 중이다. 작년에는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을 국가예방접종에 포함하여 195천명의 어린이가 무료로 접종을 받았고, 488억 원의 가계 부담 완화에도 도움을 준 바 있다. 현재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통해 12세까지의 어린이에게 18종의 예방 접종을,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인플루엔자 및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임신부 청소년에게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등을 지원하고 있다.올해 예방접종주간에는 일주일 동안 국민, 지방자치단체, 전문가와 함께하는 다양한 행사를 통해 예방접종의 중요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전남대병원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인연...의외의 깜짝 성과 “정 신 병원장님. 저는 병원 박스 만들고 친구들과 재미나게 노는 게 너무 좋아요. 선생님께서 병원상자 배달이 많아져서 돈을 더 준다고 했어요. 친구들도 많이 놀러오고 돈도 만나저서(많아져서) 너무 좋아요. 친구들이 마나지게(많아지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남 곡성의 중증장애인기업에서 일하는 한 장애인이 전남대학교병원 정 신 병원장에게 감사편지를 보내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편지를 보낸 주인공은 동악포장재사업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송성호(31)씨. 송씨는 발달장애인으로 지난 2018년부터 7년째 근무 동악포장재사업소에서 근무 중이다. 이 업체는 곡성군의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로 지난 2022년까지만 하더라도 22명의 경증·중증 장애인이 근무하는 농산물 포장박스 전문 제작업체였다. 하지만 전남대병원에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박스 제작을 의뢰해 계약한 이후 현재는 10명의 장애인을 추가 고용, 모두 35명의 장애인들이 근무하고 있다. 전남대병원과 거래 이후 안정적인 수입원이 생기자 장애인 고용을 대폭 늘릴 수 있었던 것. 뿐만 아니라 최저임금 적용 제외 기업이지만 10명의 장애인에 대해서 최저임금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 때문에 편지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