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은 지난달 17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AMWC CHINA 2025에서 ‘브이올렛 사이언티픽 포럼(V-OLET Scientific forum)’을 열고 중국 및 글로벌 의료진에게 브이올렛의 임상 데이터와 차별점, 시술 사례를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AMWC CHINA 2025에는 중국 현지 의료진 포함 200여명의 글로벌 연자와 200곳 이상의 기업이 참여했으며, 대웅제약은 포럼 개최와 부스 운영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브이올렛을 확장하는 교두보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여드름성 피부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애크온 딥 클렌징 폼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애크온 딥 클렌징 폼은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 및 효능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심사받은 기능성화장품이다. 주요 성분은 각질제거와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개선에 도움을 주는 살리실산(BHA)과 여드름의 주요 발생원인인 아크네균의 항균 효과가 있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이다. 또한 피지분비 조절과 과다분비 억제 성분인 나이아신아마이드와 ZincPCA를 함유해 여드름성 피부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흉터조직 회복과 보습 강화를 위해 △ 판테놀 △ 알라토인 △ 쑥잎추출물 등을 함유해 트러블 관리부터 보습·회복까지 더블케어가 가능하다. 애크온 딥 클렌징 폼은 인체적용시험 결과, 1회 사용만으로 아크네균 99.8% 제거 효과를 확인했으며 저자극 테스트와 민감성 피부 적합 인증을 완료해 평소 피부 고민이 있는 누구나 데일리로 사용할 수 있다.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은 (사)한국1형당뇨병환우회가 주최한 2025 하반기 성인 1형당뇨 워크숍 ‘당;연(聯)’을 후원했다. 이번 워크숍은 ‘당;연(聯)한 축제’를 주제로 지난 11월 15일 서울 강남 스페이스쉐어 강남센터에서 성인 1형 당뇨병 환우 5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당;연(聯)한 축제’는 성인 1형 당뇨병 환우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건강한 생활 관리 방법과 최신 의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행사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성인 1형 당뇨병 환자의 마음 이야기’를 주제로 한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조별 토론과 희망 편지 작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대감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효과적인 혈당 관리를 위해 연속혈당측정기 바로잰Fit의 올바른 사용법을 소개했다. 한독은 이번 워크숍 후원을 비롯해 한국1형당뇨병환우회와 함께 당뇨병 환우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대학 진학과 사회 진출을 앞둔 1형 당뇨 환우 대상 맞춤형 혈당 관리 프로그램인 ‘당당발걸음 캠페인, My First Step’을 진행했다.
시지메드텍(대표이사 유현승)은 2025년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매출액 357.3억 원, 영업이익 34.9억 원, 당기순이익 32.2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별도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매출액 20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 영업이익 2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 당기순이익 또한 48.5억 원으로 흑자 전환을 기록했다. 이번 실적 개선은 모회사 시지바이오와의 전략적 협업이 주효했다. 시지바이오의 유통망과 시지메드텍의 제품력·생산력 시너지를 기반으로 국내 영업이 강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8억 원의 매출 증가가 있었다. 특히 시지메드텍의 정형외과 임플란트 기술과 시지바이오의 재생의료 기술을 결합한 척추용 골이식재 ‘벨로(Velo)’ 라인업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이 14.6억 원을 기록하며 빠르게 시장에 안착했다.
일양약품이 미국 제약과학자협회 (AAPS, American Association of Pharmaceutical Scientists)가 주최하는 “AAPS PharmSci 360”에서 “놀텍 플러스정”과 “슈펙트”의 약동학적 특성 및 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 지난 11월 9~12일 4일간,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AAPS PharmSci 360”에서 “놀텍 플러스정”의 “우수한 약효발현 제제기술 및 약동학적 특성결과”에 대한 포스터 2건 발표와 함께 아시아 최초 백혈병 신약 “슈펙트”의 “임상 약동학적 특성 및 약물노출과 주요분자학적반응율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결과” 포스터 2건을 발표했다. 먼저, “놀텍 플러스정” 은 기존 PPI(프로톤펌프 억제제)의 약효발현시간 개선을 위해 최신 탄산수소나트륨층 매트릭스 제제기술을 적용하여 장용코팅 없이 투여 1시간 내 신속한 흡수를 구현하고 이는 비임상 연구에서 P-CAB과 동등한 약효발현이 실현 된 결과임을 포스터를 통해 설명했다. 또한, “슈펙트”는 서울대 약대 이장익 교수 연구팀이 “슈펙트”의 임상 PK 1상 시험의 약동학적 특성 분석과 함께 중국 만성골수성백혈병환자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국제약품(대표이사 남태훈)과 셀트리온제약(대표이사 유영호)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Eydenzelt®, 성분명 애플리버셉트)’ 출시 1주년과 PFS(Pre-Filled Syringe) 제형 발매를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심포지엄은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됐으며, 전국 망막 전문의 100여 명이 참석해 임상 경험과 향후 치료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 주제는 ‘From Biosimilar to Innovation: 1-Year Journey of EYDENZELT®’로, 아이덴젤트가 단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넘어 국내 최초로 애플리버셉트 성분의 실리콘오일 프리 COP 플라스틱 PFS 제형을 선보이며 Anti-VEGF 치료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음을 조명했다. 아이덴젤트는 미국 리제네론(Regeneron)의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Eylea)’의 바이오시밀러로,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를 억제해 비정상적 신생혈관 생성을 차단한다. 2024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한 뒤 같은 해 10월 바이알 제형으로 출시되었으며, 2025년 11월 1일 실리콘오일 프리 COP 플라스틱 PFS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의 주요 연구 파트너로 참여하며, 차세대 신약개발 환경 조성에 나선다. 대웅제약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의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국내 신약개발 전 주기 생태계 조성의 일환으로, 대웅제약은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AI SW)’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이번 과제는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며 강북삼성병원, 대웅제약 등 병원 및 제약기업이 함께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체계로 운영된다.
제테마(216080)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14일 제테마가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 제테마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5% 증가한 201.2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7.2% 급증한 10.2억 원에 달했다. 이러한 성과는 필러와 톡신 사업 부문의 동반 성장과 비용 관리 전략이 맞물려 이뤄졌다. 회사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동반 성장을 달성했으며 판관비 효율화로 수익성이 크게 회복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2분기 발생했던 일회성 마케팅 및 프로모션 비용이 3분기에는 해소돼 매출액 대비 판관비율이 44.4%(2분기)에서 40.3%(3분기)로 개선됐다. 필러 사업부는 중국 시장의 신규 매출과 한국 내수 시장에서의 성장 덕에 전사 실적을 견인했다. 중국향 e.p.t.q. 필러 매출이 3분기에 약 13억 원 증가했으며, 국내 필러 매출도 전년 대비 47.9% 늘었다. 톡신 사업부에서는 일본과 중남미 주요 국가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국내 출시된 신제품 'JETEMA THE TOXIN'이 순조롭게 시장에 안착했다. 제테마는 필러 제품의 스펙트럼을 확대해 중국 시장에서 지위를 강화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