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1℃
  • 구름조금강릉 17.9℃
  • 구름많음서울 17.8℃
  • 구름많음대전 17.2℃
  • 구름많음대구 19.8℃
  • 구름많음울산 18.7℃
  • 흐림광주 17.0℃
  • 구름조금부산 19.9℃
  • 구름많음고창 16.6℃
  • 구름많음제주 18.0℃
  • 구름조금강화 16.8℃
  • 흐림보은 16.3℃
  • 흐림금산 15.3℃
  • 흐림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5.8℃
  • 구름많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머크와 라이너 부크만의 파트너십 조망한 신간 독일서 출판 화제

최근 출간된 도서 “bb 라이너 부크만(Rainer Buchmann)”은 시간 여행과 자동차 코팅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의 기술 자동차 부문 편집장을 지냈던 게롤트 링나우(Gerold Lingnau)다. 책은 1980년대 자동차 업계 뉴스를 장식한 독일 최고의 튜닝 전문가 부크만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그의 자동차 회사 “bb”에 관한 이야기로 그 당시 머크는 자동차 코팅에 필요한 안료를 공급했다. 
 
부크만은 “레인보우” 포르쉐, 슈퍼카 bb 메르세데스 CW 311과 같은 전설적인 자동차 모델을 선보였는데 그는 최초로 자동 제어되는 조정석 정보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선구자로서의 면모를 발휘했다.
 
“빛나는 파트너십: 머크와 bb (A shining partnership: Merck and bb)”라는 장(障)에서는 부크만과 머크와의 협력이 집중 조명됐다. 1978년 부크만이 머크에 연락을 해왔다. 당시 머크는 이미 수년 동안 안료 전문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어 그의 협력 제안은 당연한 것이었다. 안료는 자동차의 무색 코팅제에 원하는 색상을 입히는 입자 소재로 1960년대에는 코팅제에 반짝이는 메탈 효과를 내는 안료가 개발되었고 10년 뒤 머크는 진주광택 안료 이리오딘(Iriodin®)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선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미약품 ‘롤론티스’, 글로벌 약 되나...다수 국가 진출 협의 중 한미약품이 개발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호중구감소증 치료 바이오신약 ‘롤론티스(미국 제품명: 롤베돈)’가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항해를 지속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미국 시장 외에도 중국을 포함한 중동, 동남아 시장 진출까지 염두에 둔 협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롤론티스는 바이오신약 분야 연구에 관한 한미약품의 오랜 노력의 축적으로 이뤄낸 성과다. 2010년대 초반 첫 연구를 시작해 2012년 미국 스펙트럼사에 기술수출 했고, 미국 등 글로벌에서 진행한 우수한 임상 3상 결과를 토대로 2022년 미국 FDA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롤론티스는 감소한 호중구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단백질의 일종인 G-CSF에, 바이오의약품의 약효를 획기적으로 늘려주는 한미만의 독창적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를 탑재해 투약 사이클을 크게 늘린 바이오신약으로 주목받고 있다. G-CSF에 관한 한미약품의 독특한 연구 이력도 있다. 한미약품은 1990년대 후반 형질전환 유산양(염소)의 젖으로부터 G-CSF를 생산하는 실험적 연구를 진행했다. 의약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형질전환 동물을 국내산 흑염소를 이용해 개발한다는 점에서 당시 학계의 큰 주목을 받기도 했고, 정부는 이 연구를 G7 프로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