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1.9℃
  • 구름조금강릉 8.7℃
  • 흐림서울 3.7℃
  • 구름많음대전 4.3℃
  • 구름많음대구 10.1℃
  • 연무울산 10.7℃
  • 맑음광주 9.0℃
  • 연무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8.2℃
  • 구름많음제주 14.0℃
  • 구름많음강화 2.7℃
  • 맑음보은 4.6℃
  • 흐림금산 5.8℃
  • 맑음강진군 10.1℃
  • 구름조금경주시 10.7℃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ㆍ건강식품ㆍ화장품

이번 여름방학 우리 아이 근시 교정하려면?

여름방학중에 청소년, 어린 자녀들의 눈 건강, 근시 진행 여부를 파악하고자 안경원을 찾는 부모들이 많아졌다.


근시는 눈으로 투과되는 빛이 망막에 맺히지 못하고, 망막 앞쪽에 맺히는 증상이다. 이로 인해 가까운 물체를 보는 데엔 지장이 없지만, 먼 거리의 물체는 흐리게 보인다. 자녀가 먼 곳을 볼 때 자주 눈을 찡그리고 불편을 호소한다면 일단 의심해봐야 한다.


문제는 이러한 어린이 근시 증상은 성장기 신체 성장과 맞물려 진행이 가속 된다는것. 근시를 그대로 방치하면 학습은 물론 일상생활에도 큰 지장이 생기며, 성인이 된 뒤 약시, 고도근시 등 시 생활에 불편한 상태로 발전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자녀에게 근시가 있는지 여부를 수시로 체크하고, 혹 있다면 근시 진행을 억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학생 근시가 의외로 많아 확인은 빠를수록 좋다. 보건복지부의 작년 통계에 따르면 근시가 1~2학년도 38%나 됐고, 4~5학년은 절반을 훨씬 넘는 6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아동 근시가 많은 것은 과도한 학습량과 컴퓨터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과잉 사용으로 눈이 혹사당하는 환경 때문이다. 더구나 어린이들 중에는 시(視) 생활에 별다른 불편을 못 느껴 방치한 채로 지내는 저도 근시자가 많아 근시 상태를 악화시키기 쉽다.


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는 방학중에 최소 6개월에 한 번 정도 안경원을 방문해 전문가(안경사)의 상담을 통해 자녀 시력 및 눈 건강 상태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특히 눈의 성장이 멈추는 18세 이전까지는 근시 예방과 진행 억제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